지난 토요일 목포로 향했다. 고속도로는, 명절만큼 막혔다. 효심이 넘치는 고속도로에서 나는 짜증이 넘쳤고, 짜증은 신록의 푸르름으로도 쉬이 가라앉지 않았다. 그렇지만 또 그렇게 엄마와 아빠를, 또 그렇게 목포의 짠내를, 또 그렇게 민어와 돔을 떠올리면서 참고 또 참고, 산 넘고, 강 건너, 못된 딸년은 툴.툴.툴. 흘러가고 있었다. 실로 이렇듯 나를 찾아올 자식이 없음에, 나는 감사했다.
#. 에피소드 하나
보현이와 만났다. 고모와 고모부를 향해 활짝 웃는 보현이는 너무 커버려서 안아주기도 버거웠다. 예쁜 곱슬머리는 더 풍성해졌고, 턱은 갸름해졌고, 일곱살이 보현이에게 가져다준 기적은 눈부셨다. 찡긋거리는 콧잔등에 몇 번이고 뽀뽀를 해주었는데, 먼 훗날 이 콧잔등을 사랑할 아무개 녀석을 상상하니, 내가 다 울렁거렸다.
나 : 보현아, 유치원에서 우리 보현이를 특별히 좋아하는 친구가 있니?
보현 : 네!
나 : 누군데?
보현 : 지웅이요.
나 : 지웅이는 우리 보현이의 어떤 점이 좋대?
보현 : 음.... 남자들은 아름다운 여자를 보면 사랑에 빠질 수 밖에 없어요.
나 : 아..........
#. 에피소드 둘
아빠와 나는 한동안 말이 없었다. 아빠는 뭔가 궁금하실 때, 주로 이렇게 뜸을 들이시는 걸 잘 알고 있기에 나도 부러 아무 말 없이 애먼 딸기만 축내고 있었다.
아빠 : 아픈건 좀 어떠냐?
나 : 이제 멀쩡해요.
아빠 : 뇌수막염이라고? 그건 아이들 걸리는 병 아니냐?
나 : 에이~ 그냥 재수없으면...아무나 걸려요.
아빠 : 스트레스로 머리가 더 아픈건 아니냐?
나 : 원래 편두통이 심했잖아요. 괜찮아요.
아빠 : 사업은?
나 : 음.....뭐, 음......., 그러니까,....딸기 죽이게 맛있네요!
아빠 : 내 생각에 뇌수막염이 아니고, 화병같다.
나 : 엥? 왜요?
아빠 : 아빠도 그랬다.
나 : 뭘요?
아빠 : 사업 망한 걸로 치면, 너는 아직 멀었다....
나 : 아....예......
생의 은밀한 위험도, 은밀한 기쁨도 아직 모르는 내 조카는, 눈부시게 사랑스러웠다. 그러나 나는 그 사랑스러움에 치근이 시큰거렸고, 내 치통을 눈치 챌 수 없는 조카는 곱슬거리는 머리카락 사이사이에 땀방울이 맺히도록 마당을 뛰었다.
절망의 끝에서 고통의 무심함을 몸소 익힌 내 아버지는, 어린 손녀와 반쯤 늙어버린 딸년을 가끔 쳐다보며 마당 한 켠 텃밭에서 상추를 골랐다. 나는 상추를 고르는 늙은 아비의 등을 바라보다 이내 먹먹해진 마음을 붙들지 못해 또 그렇게 가만가만 딸기즙처럼 붉은 울음을 꾸역꾸역 삼켰다.
라일락은 무심하게 치를 떨며, 향을 뿜고, 장미는 꽃 필 날을 잡기 위해 여투어 둔 초록으로 온 몸에 칠갑을 하느라 여념이 없는 그런 오월. 살아갈 날이 제 각기 다른 내 아비와 나와 내 조카는 그렇게 한 마당에서 서로 다른 기쁨과 서글픔과 안쓰러움을 모른 채 하고 있었다. 기겁하게 눈부신 오월의 하루가 또 그렇게 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