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영화 최고의 10경>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한국영화 최고의 10경 - 영화평론가 김소영이 발견한
김소영 지음 / 현실문화 / 201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소영 교수가 쓴 <한국영화 최고의 10경>은 작품을 선택한 안목, 그 작품들을 횡단하는 사유 모두 나무랄 데 없어 보였다. 특히, 소수자로 내몰린 사람들과 소수자들이 밟고 있는 아슬아슬하고 위험천만한, 그럼에도 눈에 잘 띄지 않는 숱한 경계들에 대한 사유는 영화평론가라는 이름보다 철학가라는 이름이 더 어울릴 듯 싶었다. 나는 내심 작가의 사유에 질투를 느꼈지만, 닿을 수 없는 것들을 포기할 줄 아는 지혜를 이미 몸소 배운 지라, 이내 유순한 독자의 탈을 쓰고 즐거운 영화의 풍경속으로 빠져들었다.  

책을 좀 들여다 보자. 이 책은 경계_근대의 원초경_미묘한 감흥_근접 섹스_이만희 무드_트라우마의 지형_백 번째 경관_홍상수가 발견한 경관_김기덕의 집과 시간_섹슈얼리티의 경계라는 소제목으로 분류되어 있다. 각 소재목에 따른 영화들은 인쇄물을 통해서건 실제적인 관람을 통해서건 개인적으로 그리 낯선 영화들은 아니었다. 다행이었다. 물론, 일제 강점기에 제작된 영화들은 주로 영화와 관련된 잡지들에서 그 내용을 엿보았을 뿐이지만, 간혹 운좋게 EBS를 통해 다시 볼 수 있었던 영화들도 있었다. 여튼, 작가가 서문에 밝힌 것 처럼 한국영화를 이해하고, 조선영화와 한국영화에 바치는 헌정물이라는 작가의 포부에 적지 않게 동의하고 동감한다.  

그럼에도, 작가의 빛나고 영특한 사유가 부럽고, 작가의 안목을 높이 평가하고, 때로는 흥미롭게 때로는 진지하게 책이 읽혔음에도 불구하고, 나는 몇 번이고 책을 내려놓았다. 책에 몰입할 수 가 없었다. 좀 더 직설적으로 표현한다면 불편했다. 작가가 차용한 적확하지 않은 개념, 모호한 정의, 독자를 배려하지 않는 현학적 문장, 생경한 어휘들. 물론, 이 불편함은 온전히 개인적인 것 일 수도 있다. 그러나, 정작 이 문제를 개인적인 불편함이라고 규정한다 할 지라도, 지식 생산체계 밖에 존재하는, 수적으로는 다수자이지만, 지식을 생산할 권위도 능력도 없는 소수자 집단의 일원으로서 내 불편함을 항변하고 싶다. 왜냐하면, 이 책은 나 같은 대중, 지식 생산체계의 밖에 서 있는 소수자도 접근할 수 있는 대중 서적이기 때문이다. 작가 자신이 영화평에서 그렇게 천착한 소수자의 문제가 그저 특정한 영역에 대한 사유로만 그친다면, 정작 실천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여지가 없는 사유라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그것을 모를 리 없는 작가가 취한 글쓰기 방식은, 좋은 이야기거리를 담고 있음에도, 야박하게 표현하면 오만하고 덜떨어졌다.  

김소영이 쓴 <한국영화 최고의 10경>을 두고 봉준호 감독은 "실로 근래 보기 드문 풍경이다."라고 평했다. 나도 봉준호 감독의 흉을 내어 이 책을 평한다면 "실로 근래 보기 쉬운 낯선 풍경이다."라고 일갈하고 싶다. 내 평가가 매우 불손하다는 것을 알지만, 내 불손함은 작가에 대한 적의가 아니다. 오히려 안타까움에 가깝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