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저체온증 ㅣ 에를렌뒤르 형사
아르드날뒤르 인드리다손 지음, 김이선 옮김 / 엘릭시르 / 2017년 3월
평점 :
에를렌뒤르는 우연이란 삶 그 자체로, 사람들에게 간악한 술책을 펴거나 기분 좋은 놀라움을 선사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우연이란 비와 같아서, 바르게 사는 사람에게도 바르지 않게 사는 사람에게도 똑같이 내린다. 좋을 수도 있고 나쁠 수도 있다. 때로는 소위 운명이라는 것을 형성하기도 했다. 우연이란 난데없이 등장했다. 예상치 못하게, 기이하게, 설명할 수 없게. (p.272)
영화 《엘리자베스 타운》에서 '올랜도 블룸'은 자살을 결심하는데, 자살을 실행에 옮기기 직전 핸드폰이 울린다. 그 전화를 받을까 말까를 고민하다 전화를 받았는데, 전화기 너머로 누나가 그에게 아버지가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전한다. 이에 올랜도 블룸은 자살하려던 걸 중단하고 아버지의 장례식에 참석하게 된다. 그러다가 '커스틴 던스트'를 만나게 되고 그녀와 오랜 시간 대화를 지치지도 않게, 매일 하게되고, 그러다가 그녀와 함께 뜨는 해를 바라보기도 하고, 그렇게 소중한 인연을 만들어 나간다.
어쩌면 올랜도 블룸에게는 자살하려는 생각이 그리 크지 않았던 건지도 모른다. 만약 컸다면, 전화가 오는 것을 무시하고 그대로 자살을 해야 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하필 그때 전화가 왔고, 결코 무시할 수 없게, 아버지가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접한다는 거다. 이런 일들이 겹쳐 그는 자살하지 않았고, 그리고 소중한 인연도 만들어내게 된다. 그러니까 '나'라는 한 사람이 매일 아침에 눈을 뜨고 다시 세상 바깥으로 걸어나가는 데는, 나 하나만의 의지로 되는 게 아닌 것이다. 우린 수없이 많은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 살고있고, 그 사람들로 인해서 절망하기도 하지만, 또 그 사람들 때문에 그 절망을 이겨내기도 한다. 에를렌뒤르는 이런 우연에 대해 말하고, 그 우연에 기댄다. 그는 사후세계를 믿지 않는다고 하지만, 사후세계를 믿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을 알고, 그들의 믿음을 받아들인다. 아이를 잃고 혹은 동생을 잃고 오랜 세월을 안타까운 마음으로 살아가는 가족들을 위해, 에를렌뒤르는 누가 시키지도 않았는데 어떻게 그들을 찾아야할까를 고민하고, 그 과정에서 우연은 우연을 만나고 그 우연은 또 우연을 만들어내서, 결국은, 조금 늦긴 해도 간절한 마음에 닿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 우연은 그 간절한 마음을 표현하기 위한 억지수단이었을까. 아니, 전혀 그렇지 않다.
에를렌뒤르가 경찰로 있는 지역에서 한 여자가 자살한다. 자살에 한 점 의심도 없고 그렇게 그 일은 지나가는 듯 보였는데, 그녀의 절친한 친구가 에를렌뒤르를 찾아와서는, 그 애가 자살할 애가 아니다, 라고 말하면서 이미 끝난 일에 대해 에를렌뒤르는 한 번 개인적으로 조사해보기로 한다. 한 사람이 직장에서 자기의 보직에 맡은 바 일을 다할 때, 그것이 하나의 일만 주어진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에를렌뒤르가 자살사건에 대해 혼자 조용히 조사하려고 하지만, 아직 30년 전에 잃어버린 아들의 소식을 모르는 할아버지는 여전히 그를 찾아와 새로운 소식이 없는지를 묻는다. 30년전에 행방불명된 여대생은 또 어찌된일일까. 이 일들이 책장을 넘길수록 조금씩 얽혀나간다. 전혀 관계없을 것 같은 일들이 조금씩 섞여서 각각의 사건에 실마리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인간이 인간이게 할 수 있는 최소한의 수단은 죄책감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자살한 마리아는 평생을 죄책감을 안고 살았다. 그리고 큰 돈 때문에 살인을 저지른 한 남자는 분명 죄를 저지른 터. 그가 그 돈을 차지할 수 있었을지는 모르지만, 그리고 벌을 받지 않을지도 모르지만, 그에게는 죽을 때까지 누군가를 죽게 했다는 사실이 그를 따라다닐 것이다. 누가 그의 옆에서 계속해서 속삭이는 게 아니라도, 그 스스로가 가장 잘 알고 있으니까. '우디 앨런'의 영화 《매치 포인트》에서 남자는 부유한 여자와 결혼하기 위해 살인을 저질렀는데, 아무도 모르는 채로 전망 좋은 부유한 아파트에서 지낼 수 있게 되었지만, 끊임없이 자기가 죽인 여자의 유령을 본다. 내가 한 나쁜 짓은 내가 가장 잘 알것이다.
자살과 실종사건, 그것을 풀어나가는 것이 이 소설의 전부가 아니다. 그 과정에서 에를렌뒤르를 포함한 그 가족의 각각의 상처. 에를렌뒤르가 어릴 적에 잃어버린 동생, 에를렌뒤르를 최선을 다해 사랑했지만 그 사랑을 돌려받지 못한 전아내, 부모가 다정하게 함께 있는 걸 보지 못해 불행하다고 생각하는 딸, 사랑하는 남자의 옆에 공식적으로 서고 싶었던 여자, 그리고 평생을 잃어버린 자식에 대한 그리움을 간직한 아버지까지. 이 책 속에는 한 인간이 가질 수 있는 다양한 감정과 그에 섞인 상처들까지 조용하게 보여준다. 실종사건이 차가운 겨울에 일어났던 것처럼, 소설은 시종일관 서늘한 분위기이지만, 에를렌뒤르가 자꾸만 다른 사람들의 상처를 보듬으려고 해서 결코 춥지가 않다. 결국, 조금 늦었지만, 간절한 마음이 바라는 곳에 닿았을 때는, 잠깐 울컥 하기도 했다.
우리가 자신의 상처에 집중하고 그걸 치유하는 데 애쓸 수 있다면 좋겠지만 그게 그렇게 잘 되는 건 아니다. 나만해도 내게 일어난 일들에 대해 무방비 상태로 당하고 엉엉 주저앉아 울었던 경험이 있었지만, 다른 사람들의 일에는 거침없이 나설 때가 있었으니까. 에를렌뒤르는 사건을 해결하는데 최선이었고 상실을 경험한 사람들의 이야기에 최대한 귀를 기울였지만, 자신의 상처에 맞닥뜨리는 일은 피해왔다. 그러나 그가 이 모든 사건들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종국에는 자신의 상처를 들여다볼 생각을 한다. 이 조용하고 차분한 소설이, 추운 분위기를 계속 보여주면서도(얼음 얘기가 나올 때마다 너무 추웠다!), 결국 목도리 하나 두른 것 같은 느낌을 주고야 만다.
뜬금없이, 엘리자베스 타운도 다시 보고싶어졌다. 이 영화와 이 책은 전혀, 아무런 상관이 없는데도.
올랜도 블룸과 커스틴 던스트가 계속계속 계속계속 이야기하던 장면들, 밤새 이야기하던 장면들을 보고싶다.
우리는 결국 누군가와 끊임없이 이야기를 나누면서, 그러니까 나의 이야기를 들려주고 상대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한 발짝 더 앞으로 나갈 수 있는 걸지도 모르겠다.
차갑지만 아름다운 소설이다.
우리는 비밀리에 만나기 시작해, 이유는 알 수 없지만 사랑에 빠졌어요. 처음에는 그가 안됐다는 생각으로 시작했을 거예요. 그러다 같이 살고 싶어지자 레오노라에게 알려야 했죠. 저는 레오노라 모르게 그와 불륜으로 엮이고 싶지 않았습니다. 그렇게 작당하고 싶지 않았어요. 모든 걸 밝히고 싶었어요. 저는 견딜 수가 …… 우리 사이를 비밀로 둘 수가 없었죠. 마그누스는 말하는 걸 미루고 싶어 했지만 제가 밀어붙였어요. 결국 그 사람이 레오노라에게 그 주말 싱그베들리르에서 진실을 말하기로 했죠.(p.325)
그는 그녀에게 평소보다 조금 많은 양의 수면제를 주었다. 그녀가 알지 못하는 다른 약물도 주었다. 정신을 혼란스럽게 만드는 환각제였다. 마리아는 그를 믿었기에 약을 먹었다. 그는 남편인데다가 의사였다. (p.37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