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가 그립다 - 스물두 가지 빛깔로 그려낸 희망의 미학
유시민.조국.신경림 외 지음 / 생각의길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실린 모든 글들이 다 좋지는 않았다. 그보다는 몇몇 글들만이 좋았다고 하는 게 정확할 것이다. 특히 마음에 들었던 글, 이 책을 읽고자 했던 나의 의도에 부합했던 글은 '정주영', '신충진', 그리고 '노항래'의 글이었다. 정주영(전속 이발사)과 신충진(전 청와대 요리사)이 가까이에서 노무현 대통령과 함께 했던 시간을 회고해서 울림을 주었다면, 노항래는 노무현 대통령의 서거 뒤에, 스스로 싸움을 지속해 나간 것이 묵직하게 다가왔다. 노항래는 검찰청에 있을 노 전대통령을 작게나마 위로하고자 검찰청 앞에서 기다리고 있다가 경찰들에게 잡혀갔고 다음날 풀려났는데, 다음해에 집시법 위반으로 30만원의 벌금을 내라며 검찰이 기소를 한거다. 이에 노항래는 정식재판을 청구한다. 



재판을 받으며 나는 거듭 "그날 '집회'에 참석한 바 없다."라고 주장했다. 구호를 외치지도 않았고, 주관적으로 집회에 참석한다는 생각도 없었다. 나는 그냥 팬클럽 회원 같은 사람이었다. 이런 주장을 거듭했다. 그러면서 나는 기회 있을 때마다 검찰을 비난했다. "전직 대통령을 죽음으로 내몬 세력이…….", "석고대죄 드려야 할 집단인데…….", 뭐 이런 주장들이었다. 이런 말을 내뱉으면 공판검사는 제지하려 하고 판사는 흥분하지 마시라고 훈계했다. 그러나 나는 공판 때마다 거듭 검찰을 비난했다. 그것이 내가 내 수고를 스스로 위안받는 유일한 길이었기 때문이었다. (p.214-215)



30만원의 벌금을 내는 것이 재판을 청구하고 재판을 받는 것보다 훨씬 '편했을' 것이다. 그러나 그는 대신 싸움을 택한다. 2심 판결에서 벌금은 10만원까지 내려갔지만, 그는 무죄 판결을 받아내고 싶어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냥 30만원 내고말지' 할 일에 맞닥뜨렸을 때, 그는 두 해동안 그 재판을 받는다. 그는 이 과정을 스스로 '이건 내 존엄을 지키기 위한 의로운 항거'(p.216) 라고 명명하는데, 나는 이 일을 대하는 그의 고집이 무척 좋았다. 이런 고집이 더 많아져야 된다고도 생각했다. 



아이러니하게도 내가 노무현 대통령을 알게되고 그리워하게 된 것은, 그의 서거 직후가 아니라 지금이다. 나는 무지했고, 무관심했으므로, 그에 대한 그리움이 없었다. 그러나 이명박정부를 지내고 박근혜정부를 보내고 있는 지금, 필리버스터를 보면서 자꾸만 언급되는 노무현을 알고 싶어졌다. 많은 사람들이 그를 그리워하는 이유를 이제는 잘 알것 같다. 우리가 어떤 사람을 잃은 건지도. 그리고 그의 살아생전 그를 알지 못했던 나도 그가 그립다.






저는 오랫동안 민주주의의 자폐증에 걸려 있었던 것 같습니다. 제가 살고 있는 작은 커뮤니티 안에 웅그린 채,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나 또한 필요 이상의 관심을 받지 않기를 빌며 조용히 엎드려 살아야지 했습니다. 그 변명의 끝에는 항상 이런 문장이 있었죠. 나는 소심하니까, 나는 겁이 많으니까. 하지만 `겁 많고 소심하다`고 스스로를 몰아세우는 자기변명 속에는 잘못된 전제가 깔려 있음을 알게 되었지요. 남보다 더 잘 상처받고, 남보다 더 자주 겁에 질리는 저 같은 사람에게야말로 민주주의가 절실히 필요하다는 것을 저는 너무 늦게 깨달았습니다. 세상이 무서울 때마다, 사람들이 무서울 대마다, 더 깊이 저만의 누에고치 속으로 숨었던 저는 잊고 있었지요. 겁 많고 소심하고 힘없는 사람에게도 지켜야 할 민주주의, 지켜야 할 인간의 도리, 지켜야 할 사랑하는 것들이 있다는 것을. 이제 저는 사랑하는 것들을 지켜 내기 위해 아주 작은 용기부터 내 볼 작정입니다. (정여울, p.20-21)

우여곡절 끝에 당신은 대통령 후보가 되셨고 이때는 저도 이발사로서 당신에게 도움을 준 것 같아 무척 기뻤답니다. 그리고 진짜 대통령에 당선이 되어, 그 이틑날 오셔서 "사장님 덕분에 됐습니다."라고 하셨을 대는 지금껏 살아오면서 가져 본 감정 중에 감격이라는 것이 무엇인지를 처음 느껴 본 순간이었습니다. (정주영, p.107)

"선거철이 되면 `이번에는 누가 이렇다, 저렇다` 얘기하는 자리가 나오잖아예. 그때는 이렇게 말할 수 있을 거 같아예. 옛날에 노무현이라는 사람이 말하더라. 우리도 조금 더 좋은 세상을 만들고자 하면 투표를 잘해야 한다. 그러면 내 자식이 좀 수월케 살고 내 손자가 수월케 산다 하더라. 그러니까 앞에 있는 것만 보지 말고, 정치인 싫어서 투표 안 한다 하지 말고 먼 날을 생각해서 조금 더 좋은 사람에게 투표하러 가야 한다. 그렇게 말을 하고 싶습니다." (김상철, p.121)

그녀와 나는 부부이고 매우 친한 사이지만 함께 살지는 않는다. 바퀴벌레처럼 엉켜 사는 것이 피차 취향에 맞지 않아서 결혼하고 몇 년이 지나자 우리는 거처를 따로 두기로 결정했다. 나는 `작업실`이라는 공간에서 밥 해 먹으면서 따로 산다. 주말이면 아내와 아이가 사는 집에서 가족 상봉을 하는데 날마다 비비적대는 것보다 낫거니 싶은 때가 많다. 서로 반가워하니까. (김갑수, p.140)

토론은 길어졌다. 그리고 찬성 일곱 표, 반대 두 표로 반전 의견서를 채택했다. 당연히 파란이 일었다. 민주당 여러 의원이 인권위원회를 비난했다. 다음 날 <동아일보>는 의견서 채택 과정을 자세히, 그리고 가장 크게 보도했다. 나는 책임을 추궁당할 것을 각오했다. 거기서 그쳤으면 좋았으련만 나는 여기저기 방송에도 나가 반전 의견서의 내용을 되풀이했다.
"가령 큰 댐을 건설하려고 하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적극 추진하겠지만 환경부는 반대할 수도 있지 않나요? 인권위는 헌법 가치를 지키고자 합니다."
한바탕 회오리를 각오하고 있었는데 노무현 대통령의 예상 외 반응에 크게 허를 찔리고 말았다. 그는 평상시 어조로 지극히 낮게 말했다.
"인권위원회, 그런 일 하라고 있는 거 아닙니까?" (유시춘, p.168)

제가 3년간 국정원 안에 설치된 위원회에서 일했기 때문에 잘 압니다. 대통령 노무현은 단 한 번도 국정원을 자신의 개인적 이해 때문에 이용한 일이 없습니다. 대통령과 국가 최고 정보기관의 관계로 본다면 더할 수 없이 바람직한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착각이었습니다. 관계라 한다면 양측의 손발이 맞아야 하는데 대통령만 그랬지, 국정원은 변하지 않았습니다. 국정원을 변하게 하려면 제도의 개혁과 사람의 개혁이 반드시 필요했습니다. 해외 정보와 국내 정보의 분리, 대공 수사권 폐지와 같은 제도 개혁의 중요성을 얕잡아 보는 것은 아닙니다만 아무리 좋은 제도라 해도 제도를 운영하는 것은 사람이기에 사람의 개혁이 반드시 필요했습니다. 그러나 대통령 노무현은, 그리고 그가 지휘했던 과거 청산은 사람의 개혁에는 손도 대지 못했습니다. (한홍구, p.19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