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코니>는 남성과 여성 혹은 이를 대체하는 것들사이에 존재하는 근본적 착취와 억압을 건드리지 않는 혁명이란 아무 쓸모가 없음을 보여준다. 주네는 섹슈얼리티라는 근원적 인간관계를 그로부터 생겨난 모든 정교한 사회적 구성물의 핵심 모델로 간주함으로써, 그것이 그 자체로 가망 없이 타락했을 뿐만아니라 제도화된 불평등의 원형 그 자체임을 깨닫는다. 인간을 두 집단으로 나누고 생득권에 따라 그중 한 집단에 지배권을 주면서 사회 질서는 이미 억압 체제를 확립한 동시에 정당화했다고 주네는 확신한다. 이러한 억압 체제는 인간의 사유와 경험의 영역뿐만 아니라 모든 다른 인간관계의 형태에 잠재하여 타락하게한다. - P64

일반적으로 서구 가부장제는 궁정풍 연애와 낭만적 사랑이라는 관념으로 인해 많이 약화되었다고 생각되곤 한다. 물론 어느 정도는 사실이다. 하지만 그 영향은 지나치게 과대평가되었다.
동양의 풍습이나 ‘남자다움‘에 대한 노골적 주장과 비교해보면전통적 기사도 행동이 얼마나 여성에게 많이 양보하고 있는지를알 수 있다. 즉 그것은 종속된 여성에게 어느 정도 체면을 세워주는 일종의 유희적 보상이다. 기사도는 또한 여성의 사회적 지위의 부당함을 일시적으로 완화해주는 동시에 그 부당함을 위장하는 기술이기도 하다. 기사도는 지배 집단이 종속 집단을 어느 정도 높여주는 척하는 일종의 놀이임을 인식해야 한다. 궁정풍 연애를 연구하는 역사가들이 강조하는 바에 따르면, 여성에 대한 음유시인의 도취는 정작 여성의 법적·경제적 지위에 하등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여성의 사회적 지위에도 전혀 기여한 바가 없다. - P93

사랑은 여성의 성행위가 (이데올로기적으로) 용인되는 유일한상황이어서 낭만적 사랑이라는 관념은 남성이 자유롭게 활용 가능한 정서적 조작 수단이 된다. 또한 낭만적 사랑에 대한 신념은성적 금기로 여성이 받아온 훨씬 더 강력한 조건화를 극복할 수있는 유일한 상황이므로 실상 양쪽 모두에게 편리한 구실이 되어주었던 셈이었다. 낭만적 사랑은 여성의 현실적 지위와 경제적 의존이라는 부담을 모호하게도 만든다. 아직도 중산층에 잔존한 ‘기사도‘와 같은 여성에 정중한 태도는 이제 지루한 관행으로 격하되어 현재 양성 지위를 은폐하는 데 그리 도움이 되지않는다. - P94

38
‘백인 여성성이라는 순결한 꽃‘은 최소한 백인 인종 차별주의자인 주인에게 때로 실망스럽게 보였을 수도 있다. 낙태 폐지론과 여성 운동의 역사적 제휴가 이에 대한 증거다. 백인 남성과 흑인 여성의 결혼에 비해 백인 여성과 흑인 남성의 결혼 발생 비율이더 높다는 사실도 이에 대한 증거다. 인종 혼합의 수치는 파악하기 매우 어렵다. 구두(앞의 책, p.37)의 추산에 따르면 백인 여성이 흑인 남성과 결혼하는 비율은 백인 남성이 흑인 여성과 결혼하는 비율에 비해 세 배에서 열 배 정도 더 높을 것이라 한다. 로버트 K. 머튼은 "대부분의 결혼이 아닌) 신분 간 성관계는 백인 남성과 흑인 여성 사이에 일어난다"라고 말한다. Robert K. Merton, "Intermarriage and the SocialStructure," Psychiatry, Vol.4, August 1941, p.374. 백인 남성과 흑인 여성 간의성 접촉은 대부분 혼외정사일 뿐만 아니라 (백인 남성의 입장에서는) 굉장히 착취적이그라는 사실을 강조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그것은 노예제에서의 강간이나 다름없었다. - P97

지식이 권력이라면, 권력은 또한 지식이기도 하다. 그리고 가부장제가 여성에게 부과한 체계적 무지는 여성이 종속적 위치를 갖게 된 중대한 요인이다. - P102

가부장제 속의 여성은 대부분 시민으로 인정된다고 할지라도 주변적인 시민에 불과하므로 실제 여성의 상황은 소수 집단의상황과 유사하다. 여기에서 소수 집단은 수적 규모가 아니라 사회적 지위에 근거하여 정의된다. "소수 집단은 자신의 신체적·문화적 특성 때문에 다른 사람들과 구분되어 차별적이고 불평등한대우를 받으며 살아가는 사람들이다." 몇몇 사회학자들만이 여성의 소수자 지위에 대해 의미심장하게 언급하고 있을 뿐이다. - P12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