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쪽 성별 위주로 개발된의약품이 다른 쪽 성별에게 더 위험하다는 사실은성차가 실재한다는 것을 입증한다. 성차에 따른 의약품 효과는 생식 기관이나 기능에 한정되지 않고몸 전체에서 나타난다. - P37
출간을 앞두고 이 책의 핵심내용을 발표하는자리에서 입덧의 생물학적 기제를 설명하자 한 청중이 질문했다. "남편도 입덧한다고 하는데, 이 경우에 입덧의 원인은 사랑인가요?" 대답은 "그것은입덧이 아닙니다."였다. - P72
모든 남성 과학자가 노벨상을 타는 것은 아니듯 여성과학자라고 해서 모두 노벨상을 타야 하는것은 아니다. 2007년 미국 국가 과학상을 수상한핵물리학자 페이 에이젠버그셀러브는 이렇게 말했다. "하버드든 다른 어느 대학이든 이류밖에 안 되는 남자 교수가 많다. 나는 이류밖에 안 되는 여성연구자가 대학 정년직을 받는 것을 봐야만 성차별이 없어졌다고 믿겠다." - P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