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현은 아내와 함께 아들 영재를 만나러 가고 있었다. 그들은 지난 삼 년 동안 서로를 보지 못했다. 영재는 호주 남서부 끝에 있는 퍼스라는 곳에서 지내고 있었다. 인천에서 그곳까지 가는 직항이 없었으므로 그들은 싱가포르를 거쳐가기로 했다. 그는 조금 더 편안한 자세를 찾기 위해 몸을 뒤척였다. -우리[畜舍]의 환대, 장희원, p.301



《2020 제11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의 가장 나중 실린 단편, 장희원의 <우리[畜舍]의 환대>는 위의 문장으로 시작한다. 재현과 아내가 호주 퍼스에서 워킹홀리데이로 가있는 아들 영재를 만나러 가는 장면. 시작은 이토록이나 평범했다. 그러니까, 워킹홀리데이를 가있는 사람도 또 가고자 하는 사람도 얼마나 많은가. 대한민국에서 태어났다고 대한민국에서만 공부하기를 선택하는 사람들만 있는 것도 아니고. 내 주변에만 해도 공부며 어학연수로 미국에, 캐나다에, 호주에, 스페인에 다녀온 사람들이 많았다. 그리고 그렇게 이국에서 공부를 하면서 가족들과 가끔 연락하며 안부를 주고받고 어쩌다가 시간을 내어 가족들을 만나기도 하는 것은, 그리 드문 이야기도 아니다.


재현과 아내가 아들 영재를 만나러 가는 것도 그러니까 특별한 일은 아니었다. 아들 영재가 호주에 가기전 고등학생때 포르노를 본 것도, 재현은 웃어넘겼다. 뭐, 아들은 그럴 때도 있지. 그러나 재현이 평소보다 일찍 귀가했을 때, 그런데 아들 영재가 헤드폰을 끼고 남성들간의 포르노를 보고 있었을 때, 그 때 재현은 그럴 수도 있지, 라고 넘기지 못하고 아들을 흠씬 두들겨팼다. 그것은 안될일이어서 팼다. 포르노를 보는 것은 자연스러운 것인데, 남자와 남자가 발가벗고 뒤엉켜 안는 포르노는 안되는 거라서 팼다. 이것이 재현이었고 이것이 영재의 아버지였다.


한 가족 안에서 이런 일들은 칼로 물베기 같은 것이었을까. 그들 부자와 그들 가족은 그 뒤로도 별 일 없이 아들이 대학에 진학을 하고 또 워킹홀리데이를 가겠다고 하는 걸 보내주면서 일상을 보냈다. 그리고 아들이 호주, 퍼스에 간지 2년째 되던해, 재현 부부는 아들을 만나러 가는 것이었다. 예의 아내는 아들에게 필요할 것 같은 것들을 바지런히 챙겼고 그렇게 먼 길을 날아 아들이 머무는 곳에 도착했다. 아들은 자신이 머무는 집의 집주인인 흑인 노인과 마중을 나와 있었다. 숙박은 호텔로 정햇지만 그전에 잠시 아들이 사는 곳에 들러 한끼 식사를 함께 하는데, 흑인 노인이 집주인인 곳에서 셰어하우스를 하는 자신들의 아들 말고도 스무살 한국 여자애가 있었다. 다리에 문신을 한 발랄한 여자아이.


이들 부부는 불편하고 불쾌하다. 재현은 재현대로 아들과 흑인 노인을 바라보기가 불편하고 아내는 아내대로 아들과 스무살 소녀를 바라보기가 불편하다. 정작 흑인노인과, 아들과, 소녀 사이는 친근하고 다정하기만 한데, 이 부부가 보기에는 아들이 자기들로부터 떠난 것 같고, 그리고 저 낯선 사람들에게 안착한 것 같다. 그들은 마치 아주 오래전부터 같이 살았던것처럼 가족의 형태를 이루고 있었고, 그리고 아들이 자신들에겐 털어놓지 않았던 자신이 간직한 상처-아버지로부터 연유한-도 이들에겐 털어놓았다는 것도 역시 알게 된다. 아들은 이곳에서 오히려 편안하고 좋은 시간을 보내는 것 같은데, 그러나 이들 부부는 자신이 이제 아들과는 더 멀어졌다는 걸 느낀다.



호주 퍼스에 있는 아들은 자신이 다른 사람들과 집을 셰어해서 살고 있다고 얘기했었다. 그리고 전화로 종종 안부를 전했었다. 또한 이들은 가족이다. 한국에 있는 영재의 부모는 아들이 그곳에서 살고 있고 공부하고 있다는 걸 알고 있었고 자주 통화했다. 물리적 거리가 멀긴 하지만 어쨌든 그들은 사랑하는 아들을 둔 부부였고 그리운 마음을 가득 안고 그곳으로 출발하지만 도착하고 나서는 거리감을 느껴야했다.



'이노우에 타케히코'의 만화 《베가본드》에서 주인공 '미야모토 무사시'는 동네에서 함께 자란 '오츠'를 좋아하는데, 오래 못보고 지내면서 그런 말을 한다. 안보면 잊혀진다고들 하지만, 안보니까 오히려 더 가슴에 새기게 된다고. 나는 이 말이 사실이며 진실이라고 생각한다.

그런 한편, 눈에서 멀어지면 마음에서 멀어진다는 오랜 격언도 있다. 나는 이 말 역시 사실이며 진실이라고 생각한다.

눈에서 멀어지면 마음에서 멀어진다.

안보이니 오히려 가슴에 더 새긴다.

위 두 문장은 상반되지만 같이갈 수 있는 것.

우리의 거리가 멀리 떨어져있는 것은 어찌할 수 없는 마음의 거리두기를 만들고야 만다.

영재와 재현이 아버지와 아들로서 자주 통화하며 안부를 묻고 또 그곳에서의 생활을 이야기한다고 해도, 보이지 않는 곳에서 상대가 어떤 시간을 보내는지 모두다 파악할 수는 없다. 재현이 그랬던것처럼, 아들이 룸메와 살고 있다는 건 알고 있지만 주인이 흑인 노인인걸 몰랐고 또 같이 셰어해 사는 또 한명이 스무살 여자인 것도 몰랐다. 아들이 그곳에서 살고 있다는 건 알았지만, 집을 그렇게나 지저분하게 해놓고 살고 있는지도 몰랐다. 아들과 수시로 연락하였지만 한 집에 사는 타인들과 그토록이나 친근한 사이인 것은 몰랐다.


그렇다.


멀리 떨어져있고 사랑하고 그리워하는 마음은 맞다. 정말 그렇다.

멀리 떨어져있고 그리워하는만큼 자주 연락하면서 서로의 소식을 전하는 것은 우리가 서로에게 할 수 있는 최선이겠지만, 그러나 서로의 생활을 낱낱이 고할 수도 없을 뿐더러 매 순간 느끼는 모든 감정을 다 알릴 수도 없고 또한, 순간순간 선택하는 것들까지 모두 말할 수는 없다. 함께 겪을 수도 없고 옆에 있을 수도 없는 많은 시간들이 한국에 있는 재현과 호주에 있는 영재와의 사이에 일어난다. 그러니 자주 연락했어도 도착했을 때 보게 되는 것들은 내가 생각한 것과 많이 다를 수밖에 없다. 어쨌든 현재 영재의 가까이에 있는 사람, 아침에 일어나서 학교에 갔다가 혹은 쇼핑을 했다가 혹은 산책을 했다가 돌아왔을 바로 그 때 옆에 있는 사람, 식사를 할 때 옆에 있는 사람, 친구랑 싸우고 왔을 때 옆에 있는 사람, 코메디 프로를 보며 웃고 있을 때 옆에 있는 사람은 재현이 아니다. 영재의 엄마도 아니다. 흑인 노인이고 스무살 민영이다. 힘들때 다독여주고 같이 수영하고 같이 해를 쬐는 사람은 흑인 노인이고 민영이다.

내 아들을 만나러간다, 고 바리바리 짐을 챙겨 그 먼 곳으로 갔건만 아들과 더 친근한 타인들을 봐야했을 때의 그 감정은 어떤 것이었을까.




멀리 있다는 건 이런 거다. 서로의 말만으로 서로에 대한 신뢰를 쌓아야 하는 것. 그곳에 있는 당신과 이곳에 있는 내가 아무리 자주 서로의 소식을 전하고 일상을 공유하려고 노력해도, 그것은 '노력해야만'하는 것에서부터 서로에게 닿기 힘들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옆에 있다면, 우리가 공유하려고 '노력할' 필요조차 없었을 테니까. 우리가 이렇게나 멀리에 있고 서로를 그리워하고 그러다 마음을 먹고 서로가 있는 곳으로 날아갔을 때, 그 때 보게 될 것은 내가 생각하고 기대한 것과 아주 다를 수 있다. 집을 나누어 쓰는 사람과 내 생각보다 더 친근한 게 보였을 때, 나보다 그 사람과 더 가족같았을 때, 그 때 내가 느낄 마음의 거리를 어떻게 감당할 수 있을까. 우리는 매일 안부를 전하고 오늘 서로에게 어떤 일들이 있었는지, 오늘 서로가 어떤 감정들을 오고갔는지 시간과 에너지를 들여 얘기해도, 전화를 끊고 나면 문을 열고 나가 하늘을 바라볼 때 옆에 있는 사람이 될 수가 없다. 옆집의 레몬나무에서 레몬을 따왔을 때, 거기에 내가 없다. 옆집 아저씨가 쓰러져 응급차를 불러야했을 때, 그 옆에서 같이 놀라주는 건 내가 아니다. 나는 파운드 케이크를 만들었는데 뻑뻑했다고 당신에게 말할 순 있겠지만, 내 옆에서 스콘같은 케이크를 먹고 우유가 필요하다고 우유를 꺼내오는 사람은 당신이 아니다. 사소하고 작은 것들까지 당신에게 말할 수 있음으로 미나리삼겹살을 먹었다고 당신에게 말할 순 있겠지만, 내 옆에서 미나리 삼겹살을 같이 먹으면서 미나리 향 정말 좋다, 고 감탄할 수 있는 사람은 당신이 아니다. 이런 우리가 서로 만났을 때, 그리고 서로의 옆에 있는 사람을 만났을 때, 그 때 느껴야 할 허전함과 괴리감과 그리고 마음의 거리는, 우리가 무시하기에 힘들수 있다.



내가 당신을 찾아가 요즘 서핑을 즐긴다며, 라고 아는척 할 순 있지만, 물에 잔뜩 젖은 생쥐꼴로 집에 왔지 뭐예요, 라고 말하는 건 다른 사람일 것이다.

당신이 찾아와 요즘 알라딘에서 커피 사마신다며, 라고 아는척 할 순 있지만, 말도 마요 하루에 두잔씩 내려서 향 맡아보라고 설레발이라니까요, 라고 말하는 건 다른 사람일 것이다.

가까이에 있다는 것이 반드시 최선은 아니지만, 그러나 가까이에 있기 때문에 가능해지는 것들이 분명히 있다.




물리적으로 먼 거리, 그곳과 이곳은 어쩔 수 없이 필연적으로 마음의 거리도 만들어낸다.

그러나 마음의 거리가 만들어졌다고 해서 마음에서 사라져버리는 건 아니다. 미야모토 무사시가 그런것처럼, 가슴에 새길 수 있다.

그러나 가슴에 새기는게 무슨 소용이람.



드라마 <디어 마이 프렌즈>에서 한국에 사는 고현정은 슬로베니아에 사는 조인성과 매일 영상통화를 하다가, 충동적으로 공항으로 달려가 비행기티켓을 끊고 슬로베니아로 날아간다. 먼 길이다. 그러나 닿지 못할 길은 아니다. 고현정은 그 후에 조인성에게 말한다. 열네시간만 날아오면 돼. 열네시간이면 만날 수 있어. 열네시간만 들이면 만날 수 있다고.


그렇다. 아무리 멀다고 해봤자, 열네시간 이면 되잖아. 그러면 만나지 못할 것도 없잖아. 백사십일도 아니고 일년사개월도 아니야. 고작 열네시간 이라고. 열네시간이면 닿을 수 있어. 열네시간이면 괜찮잖아.



당신이 거기에 있고 내가 여기에 있어도 내가 당신을 가슴에 새기는 일은 가능하지만,

당신이 고개를 돌렸을 때의 그 작은 바람과 당신의 체취를 맡는 일을 가까이에서 느끼는 사람이 나였으면 좋겠다.

다른 사람이 아니라.

당신의 실체가 나이고 내가 당신의 실체라면.



《새벽 세시, 바람이 부나요?》를 다시 읽을 때가 된 것 같다.
















당신은 감히 자기 피아노가 어떻게 생겼는지도 묘사하지 않아요. 피아노가 내 세계와는 아무 관계도 없으니까요. 하지만 미아는 저랑 50센티미터밖에 떨어지지 않은 곳에 앉아 작은 탁자 위로 몸을 숙이고 숟가락에 스파게티를 돌돌 말고 있어요. 미아가 고개를 옆으로 휙 돌리면 공기의 움직임이 느껴져요. 저는 미아를 보고, 듣고, 만지고, 그녀의 체취를 맡는 것, 이 모든 것을 동시에 할 수 있어요. 미아는 실체예요.
-218-21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