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려 공민왕과 원-명 사이의 갈등, 이성계의 북벌 4대 불가론
- 1392년 조선 건국
※ 1396년 종묘와 궁궐 도성의 완성: 궁문(건춘문, 영춘문, 광화문, 신무문) 대문(흥인문, 돈의문, 숭례문, 숙청문)
- 이방원 왕자의 난
- 계유정난: 단종과 수양대군, 한명회, 사육신, 생육신
- 갑자사화/언문투서/: 성종과 연산군, 폐비 윤씨
- 중종과 조광조
- 명종과 임꺽정
- 선조: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통신사(1590), 홍의장군 곽재우, 고경명, 유정(사명당)
- 광해군과 후금의 건설(1616): 친청친명
- 인조반정과 이괄: 친명배금, 정묘호란(1627), 병자호란(1636)과 삼전도의 치욕
- 효종: 북벌
- 현종: 예론논쟁
- 숙종: 장희빈과 인현황후, 상평통보 발행(1678)
- 영조: 탕평책, 박문수, 사도 세자
- 정조: 박제가 <북학의>, 정약용과 수원성, 이수광 <지봉유설>과 천주교
- 순조: 천주교 금지, 신유박해, 안동 김씨의 세도정치, 홍경래의 난(1811)
- 고종: 흥선군과 안동 김씨, 서원 철폐, 경복궁과 원납전 당백전, 병인박해(1866), 병인양요(1866), 오페르트 도굴사건(1868), 신미양요(1871), 운요호 사건(1875), 임오군란(1882), 갑신정변(1884)과 톈진 조약, 동학농민운동(1894), 갑오경장(1894), 을미사변(1895), 아관파천(1896), 헤이그특사(1907), 한일합병조약(1910)
---------------
- 태종: 토지조사, 호패법
- 세종: 집현전
- 세조: 궁에 잠실 설치, 상평창(물가 조정), 중앙군 재편성, 호패법 정비, 강원 3도 북방이주
- 중종과 조광조: 공신칭호 박탈과 토지 노비 몰수
- 광해군: 대동법, 창덕궁 재건(서울 종로)
- 숙종: 대동법 확대실시, 양전 마무리, 백두산 정계비, 왜인의 울릉도 출입 금지 보장, 상평통보 발행(1678)
- 영조: 균역법, 노비종모법
- 정조: 규장각
- 순조: 관노비 해방, 천주교 금지
- 고종: 신분세습법 폐지, 군포세를 호포세로 변경, 서원 철폐, 갑오경장(과거 폐지, 신분제 철폐, 연좌법 폐지, 조혼 금지)
--------------
- 교육기관: 서당 - 4학/항교 - 과거 - 복시 - 생원/진사 - 성균관
- 내용: 한문과 글쓰기, 4서 5경(논어 맹자 중용 대학 시경 서경 주역 예기 춘추)
- 무과: 궁술, 창술, 격구 / 경서 병서 - 선달
- 잡과: 역과 음양과 의과 율과
- 신분제도: 양반, 중인, 상민, 천민
- 유교: 삼가 금지법, 서얼 금지법
- 농업: 직파법/이앙법, 상업과 육의전,
---------------
- 성종: 훈구파와 사림파
- 선조: 서인(사림파 구세력) 동인(신세력), 동인이 북인과 남인으로 분리
---------------
- 경복궁: 서울 종로
- 창덕궁: 서울 종로
- 덕수궁: 서울 중구
- 창경궁: 서울 종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