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매일노동뉴스)

“‘이론’과 ‘실천’을 잇는 긴장 유지할 것”

"전체 노조조직률 11.6%, 민주노총 조직률 4.3%, 2000년대에 들어 더 뚜렷해진 정규-비정규직간의 갈등과 시민사회에서의 주변화 속에서 한국노동운동이 정치세력화를 이루어낸 동력은 어디에 있는가?”
사노맹(남한사회주의노동자동맹) 중앙위원 겸 정책실장 은수미씨(41). 그가 지난 2월 <한국 노동운동의 정치세력화 유형연구>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은 뒤, 3월부터 한국노동연구원에서 부연구위원으로서 본격적인 연구자 생활을 시작했다.

80, 90년대 급진적 노동운동의 한 자락을 차지하고 있는 은수미씨의 박사논문은 무엇이 ‘위기의 노동운동’으로 하여금 정치적 진입을 가능하게 했는가라는 질문에서 출발한다. 97년 감옥에서 나와 보게 된 노동운동 현실은 상상했던 것과 전혀 달랐다. 은 박사는 연구를 시작하기 전 대기업 노동운동이나 정파갈등 등에서 ‘위기’를 실감하면서 문제의식을 발전시켰다.

은 박사는 지난 12일 한국노동사회연구소에서 주최한 노동포럼에 발제자로 참가해 석·박사과정 6년만에 출고한 이 논문 내용을 처음으로 노동계에 소개하기도 했다. 하지만 은 박사의 지도교수도 “5번을 읽고나니 내용을 좀 알겠다”고 말할 정도였으니, 1시간여 발제로 논문내용을 설명하기는 쉬운 일이 아니었다. 논문에서 사용된 핵심분석틀인 ‘연결망 분석’이 학계에 도입된 지 얼마 되지 않은 데다, 관계구조, 사회적 연대, 정치적 연대, 상징, 조직구조 등과 같은 개념은 일반인에게는 익숙하지 않기 때문이다.

더구나 기자나 청중들 모두 노동계 토론에서 나오는 ‘주장’과 ‘정책과제’에 익숙한 사람들이었으나, 은 박사의 논문엔 이같은 내용이 거의 없다. 박사논문에 ‘정책’을 담는게 ‘마이너스’가 되는 이유이기도 하지만 은 박사의 문제의식도 반영돼 있는 결과다. 은 박사는 다음날 노동연구원에서 기자를 만나 “연구자가 할 수 있는 최대지점은 현실을 극명하게 드러내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연구자가 더 나갈 때 ‘감히 내가’라는 두려움도 들고, 한편으론 노동운동 활동가들이 연구내용을 안 받아들이거나 추상적이라고 치부하는 경우도 많다”고 말했다.

은 박사가 한국노동연구원에 들어가겠다고 했을 때 주위 반응은 찬반 양론으로 나뉘었다. 이에 대해 은 박사는 “이론과 실천에서 긴장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브릿지’ 역할을 하고 싶었다"고 전제한 뒤, "그런 면에서 연구원이 적절한 곳이라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노동연구원은 "이론을 필요로 하면서 현실의 요구에 답해야 하는 곳이자 현장을 접할 수 있는 곳"이라는 게 은 박사의 설명. 실제 은 박사는 12일 보건의료노조의 올해 첫 산별교섭 현장에 나가보기도 했다. 사노맹 사건으로 6년간의 수감생활과 6년간의 석·박사 학위과정으로 아주 오랜만에 '현장'을 접한 소감은 감동적이었다고 한다.
“A를 이야기하면 A브랜드로 인식되는” 현재 노동판도 한국노동연구원을 택한 한 이유였다. 은 박사는 “난 오픈마인드로 이야기하고 있다"면서, "A를 이야기하면서도 B나 C나 D도 함께 생각하고 있는데 A를 이야기하면 A브랜드로 낙인찍히는 것 같다"고 답답해 했다. 특히 "사노맹 출신이라는 것으로 규정된 느낌”이라는 것.

연결망 분석이 1차 자료를 기본으로 하는 것이다보니 이번 논문은 자료수집에만 4년여가 걸렸다. 반면 하루도 쉬지 않고 새벽부터 자정까지 집중적으로 써 집필기간은 6개월이 소요됐다. 은 박사는 1차 자료로 1983년부터 현재까지 활동한 조직 중 전국적 연합사건에 참여한 1,609개 조직의 결성선언문, 주요구성원, 강령, 조직체계 및 규약, 내부회의록, 보도자료, 정책보고서, 기관지 등을 활용했다. 자료수집 과정에 쏟아부은 돈만 2천만원 이상. 은 박사는 자료수집이 가장 어려웠다며 노동계가 역사가 될 수 있는 자료를 중요하게 다룰 필요가 있다고 당부하기도 했다. 이는 노동계에서 ‘자료의 소중함’을 알지 못하거나 알더라도 여력이 없어 간직하지 못하는 탓이 크지만 자료를 스스로 폐기하게 만들었던 국가보안법 영향도 있다. 사노맹 같은 급진노동단체는 더 그러했다.

이와 관련 은 박사는 급진노동운동의 경험에 대한 성찰도 하고 있었다. “의회민주주의가 아닌 정치세력화 움직임은 대중적 동의를 못받고 이념이 대안적이지 못했다. 그래도 그때는 혁명적 건강성이 있었는데, 지금 흐름에 대해선 그 부분도 의문을 갖는다.”

은 박사는 모주간지와 인터뷰에서도 사노맹 활동의 오류를 인정한 바 있다. “점조직화된 지하활동이다보니 조직 내 인간적인 소통이 약했다. (…중략…) 소통이 없는 연대의 나약함을 고민하지 못한 것도 돌이켜 보면 잘못”이라고. 그러나 은 박사는 “급진적 노동운동은 노동운동 내에서 배제됐을 뿐만 아니라 국가 차원에서 배제됐다. 급진적 노동운동이 과대평가되는 면도 있고 과소평가되는 면이 있는데 앞으로 이 부분을 제대로 평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한편 노동사회연구소 포럼에 토론자로 참여했던 김윤철 진보정치연구소 연구기획실장은 “상징과 구조의 분석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의문이 든다"면서 "상징과 구조의 인과성이 뒷받침돼야 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김 실장의 문제제기는 “행위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지 않겠냐”는 것이다. 이에 대해 은 박사는 “민주노동당의 원내진출 이후 빨리 논문을 써야겠다는 생각으로 그 부분을 담지 못했으나 이 논문을 책으로 발간하자는 제안이 있어 책으로 낼 때 인과관계도 밝혀낼 예정”이라고 답했다. 은 박사의 이번 논문에는 '향후 과제'로 둔 문제들이 곳곳에 있었다.

김 실장은 “민주노동당이 원내진출 한 뒤 ‘상징정치’를 잘하기 위해서는 아이디어가 필요하다”며 인과성에 대한 연구를 재주문했다. “연구자가 제기한 명확한 현실을 보고 민주노동당과 민주노총이 연구자에게 문제제기를 다시 던지는 방식이 필요하다”는 은 박사에 말을 떠올리면, 바로 이런 ‘소통’이 비로소 은 박사의 역할에 의미를 부여할 듯 싶다. 은 박사는 앞으로 조만간 ‘민주노동당의 의회진출이 민주노총에 미친 영향’과 ‘사회적 교섭의 전제조건’ 등에 연구할 계획이라고 한다. 급진적 노동운동가에서 연구자로 돌아온 은 박사가 만들어갈 새로운 ‘역할모델’이 기대되고 있다.

송은정 기자  ssong@labortoday.co.kr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b 2006-09-20 11: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혁명적 건강성을 오로지 자신들만의 것이라고 주장하는 오만함은 대체 어디서 나오는지. 의회민주주의는 대중적인 동의를 받는데 있어 필요조건도, 충분조건도 아닙니다. 그것은 단지 관습적인 우선순위를 의미할 뿐이지요. 본질적으로 중요한 것은, 오로지 이념의 대안성입니다. 점조직적 지하활동이나 의회민주주의에 대한 태도는 이념을 실현하기 위한 현실적인 어려움일 뿐이지, 이념 자체에 내제된 것은 아니지 않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