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한겨레)

토머스 프리드먼은 <세계는 평평하다>(창해)에서 세계화의 과정을 세 단계로 나눴다. 세계화 1.0 시기는 콜럼버스가 대서양을 항해해 구세계와 신세계의 장벽을 허문 1492년부터 1800년 전후까지다. 이 시기에 지구적 통합을 이뤄내는 변화의 동력은 마력이나 풍력, 화력으로 표시할 수 있는 국력과 그 힘을 얼마나 적절하게 배치하는가에 관한 창조적 재능이었다.

2.0 시기는 1800년부터 2000년까지로 이때의 동력은 다국적 기업에서 나왔는데 변화의 강력한 추진력은 초기의 화력선과 기차에서부터 전화와 컴퓨터에 이르기까지 주로 하드웨어에서 나왔다. 개인이 전 세계적 차원에서 협력하고 경쟁하게 된 지금의 3.0 시기에 동력은 하드웨어가 아닌 광케이블을 통한 네트워크와 여러 가지 새로운 형태의 소프트웨어에서 나온다.

계몽서이기에 당대의 특성이 고스란히 드러날 수밖에 없는 우화 또한 시대적으로 달랐다. 국가가 평균적 능력의 신민을 요구하던 1.0 시기에는 ‘이솝우화’나 ‘라퐁텐 우화’가 안겨주는 윤리적 교훈과 재미가 안성맞춤이었다. 전세계 국가들이 일제히 석유 확보에 나섰던 1970년대 말의 오일쇼크가 엄청난 불경기를 불러왔을 때만 해도 대중은 리처드 바크의 <갈매기 조나단> 같은 책에서 크나큰 위안을 얻었다. 대부분의 갈매기들이 오로지 먹이를 더 많이 찾기 위해 날았지만 주인공 조나단은 남보다 높고 멀게 나는 게 꿈이었다. 그러나 조나단은 결국 자신의 꿈이 남들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는 ‘같음’의 미학을 깨닫게 된다.

2.0 시기에 전 세계를 강타한 우화는 1998년 미국에서 출간된 스티브 존슨의 <누가 내 치즈를 옮겼을까>다. 이 우화가 강조하는 것은 미로(기업주)는 결코 변하지 않으니 남보다 ‘빨리’ 치즈가 있을 법한 미로를 찾아내라는 철저한 환경순응의 철학이다. ‘변화’라는 교훈은 결국 스스로 ‘차이’를 만들어내라는 것에 다름없다.

올해 상반기에 치열한 3파전을 벌이고 있는 세 우화는 누구도 가지 않은 길, 곧 ‘외길’을 갈 것을 요구한다. <마시멜로 이야기>(호아킴 데 포사다 외, 한국경제신문사)는 마시멜로라는 달콤한 과자를 먹고 싶은 욕구를 참아내는 자만이 미래에 누구보다 많은 마시멜로를 지닐 수 있다고 말한다. <핑>(스튜어트 에이버리 골드, 웅진윙스)에서 주인공인 개구리 핑은 부엉이(멘토)의 도움을 받아 누구도 가지 못하는 ‘황제의 정원’으로 향한다. <배려>(한상복, 위즈덤하우스)에서는 남을 위한 배려나 나눔의 철학을 강조하지만 그것도 결국 개인의 성공을 위한 것일 뿐이다.

오늘날 개인은 국가도 통제할 수 없는 눈에 보이지 않는 외부의 강력한 힘에 지배받는다. 그 힘을 가진 이는 토마스 프리드먼이 <렉서스와 올리브나무>(창해)에서 말한 ‘초강대 개인’일 수 있다. 프리드먼은 초강대 개인은 ‘초강대 국가’나 ‘초강대 자본’과도 맞설 수 있다고 말하며 개인의 능력을 한껏 띄워놓았다.

하지만 <누가 내 치즈를 옮겼을까>를 기업주들이 대량 구매해서 직원들에게 나눠준 ‘쓰나미’가 지나간 후 이 땅에는 전국민의 임시직화가 진행되었다. 이제 대중은 원초적인 인간관계만을 그린 소설 또는 최상의 멘토는 자기 자신이라고 유혹하는 자기계발서, 외길을 가라는 우화 등에서나 겨우 ‘개인’의 힘을 느낄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