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권력이동 - 앨빈 토플러
앨빈 토플러 지음 / 한국경제신문 / 1990년 12월
평점 :
품절
1970년대 <미래쇼크>, 80년대 <제3물결>에 이은 엘빈 토플러의 미래학 시리즈 최종판입니다. 그의 저작은 언제나 그렇듯이, 읽는 이를 질리게 할 정도로 방대한 자료들에 기초하고 있습니다. 그는 각국의 문헌과 통계, 르포기사를 참고하고, 각계 각층의 인사들을 인터뷰하였습니다. 그의 성실함에 박수를 보내고 싶군요.
사회 전반이 변화하는 근본적인 힘이 산업과 경제의 변화로 부터 기인한다는 그의 견해는, 그의 시리즈를 관통하는 핵심 관점입니다. 이 관점은 <권력이동>에서도 그대로 유지됩니다.
다만, <권력이동>은 <제3물결>에서 묘사한 사회의 변화에서 권력에 좀 더 초점을 맞추고 있을 뿐입니다.
<제3물결>에서, 그가 3차 산업으로의 발달에 대해서 과대평가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했었습니다. 물론, 제조업의 발달 못지 않게 정보산업의 발달은 무척이나 많은 변화들을 불러일으켰지만, 그것 역시 제2물결 사회에 속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죠.
그런데, 이 관점은 <권력이동>에서도 그대로 유지됩니다. 그는 권력을 구성하는 3대 요소를 폭력, 부, 지식으로 정의한 뒤, 제2물결 사회에서 제3물결 사회로 이동하면서, 권력에서 지식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고 설명합니다.
그리고, 지식의 특성, 즉 폭력이나 부와는 달리 분산적인 특성에 의해, 미래사회의 권력은 집중이 아니라 분산될 것이라는 낙관입니다. 어떤 국가이든 정보산업 내지는 지식산업 발달에 집중한다면, 그곳으로 권력의 축이 이동할 것이라는 예측입니다.
하지만, 정보산업 중심의 사회가 과연 농업이나 제조업 중심의 사회와 근본적으로 다른가에 대해서 회의적이지 않을 수 없습니다. 달리 표현하자면, 지식은 폭력이나 부에서 분리되어 개별적으로 작동하는 가치가 아니니까요.
그것은 의존적으로 작동하죠. 산업의 측면에서 보면 자본에 의존하고, 권력의 측면에서 보면 폭력이나 부에 의존하구요. 주목받는 지식이란, 지식 일반이 아니라 산업지식이니까요. 누가 인문학을 거들떠보기나 하나요.
많은 세계적 기업들이 연구 분야와 마케팅 분야를 제외하고 생산은 외주나 하청의 방식으로 하고있다지만, 연구와 마케팅이 부를 창출하고 권력을 창출한다고 말할 수는 없는 것이지요. 그것은 어디까지나 생산에 대한 지배를 전제로 하는 것이니까요.
따라서, 지식의 비중이 아무리 높아진다 한들, 생산이나 권력 자체가 분산되지는 않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칼 마르크스 역시 자본주의를 분석하면서 '자본의 유기적 구성' 을 지적했습니다.
자본의 유기적 구성이란, 생산자본에서 노동이 차지하는 비중을 뜻하는데, 마르크스 역시 이것이 기술의 발달과 함께 점차 줄어들 것이라고 주장했죠. 100명 1,000명의 노동자에게 지속적으로 지급해야 할 임금으로, 1,000명분의 일을 할 수 있는 기계(기술)을 도입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니까요.
하지만, 마르크스는 기술과 노동을 분리하지 않고, 유기적으로 자본을 구성하는 요소로 보았습니다.
달라지는 것은 비중일 뿐, 근본적으로는 자본이라는 데에는 변함이 없다는 것이죠. 그래서, 그는 토플러와는 다른 결론을 내렸습니다. 기술의 발달, 지식의 발달은 자본의 유기적 구성을 낮춰 이윤율을 떨어뜨리고, 체제의 위기를 가져올 것이라는.
여러분은 어찌 생각하시는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