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혁명사
이완종 지음 / 우물이있는집 / 200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혁명가 트로츠키의 사상이 빛을 발하는 이유는, 그의 사상과 실천이 소련의 해체와 러시아의 자본주의화를 바라보며 낙담한 나머지 이성적 판단을 상실해버린 이들에게, 소련에 대한 비판적 분석과 실천의 방향을 제시해주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1905년 혁명 이후 페테르부르크 소비에트 의장, 1917년 10월 혁명의 주역이었던 군사혁명위원회 지도, 혁명 정부의 외무인민위원, 적군 사령관, 망명 이후의 4인터내셔널을 조직, 등 활발했을 뿐 아니라 비중 있었던 그의 실천활동이 그의 사상에 대한 권위를 뒷받침해주고 있지만,
무엇보다 스탈린의 서기장 집권 이후에 유일하게 조직적으로 당내 비판을 했던 세력으로서 그의 저작과 실천경험은, 혁명 이후의 러시아를 분석하는데 있어서 반드시 연구할 가치가 있는 것이다.

물론, 트로츠키주의에 대한 비판도 만만치 않다. 1930년대 트로츠키주의자들은 반당분자, 소부르주아 급진주의자, 심지어 미국의 간첩이라는 당내 비판을 받으며, 직위 해임, 당원자격 박탈, 투옥과 숙청을 당해야 했고, 그의 저작이 스탈린과의 당내 권력투쟁 과정에서 나와 지나치게 편향적이고 자기중심적이라는 비판도 있다.

<10월혁명사>의 저자 이완종의 출발점은 여기에 있다. 그는 이제 공개된 소련의 문서들을 기초해 1917년 혁명 이후 부터 1939년까지의 러시아 및 소련 내의 여러 정책과 세력관계를 분석하고 있는데, 그의 연구의 중심에는 스탈린이 놓여있다.
그는 과거 트로츠키주의 내지는 부하린주의에 편중되어 있던 혁명 러시아에 대한 연구가 객관적이지 못함을 지적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트로츠키와 부하린 역시 제3자가 아닌, 스탈린과 함께 혁명 러시아를 누볐던 핵심주체일 뿐 아니라, 심지어 스탈린과 대립했던 당내 비판세력이었으며, 심지어 이들의 주장을 뒷받침할 객관적인 자료가 충분히 제시되지 않고 있다는 이유 때문이다.

스탈린이 집권했던 혁명 러시아의 숱한 과오들은, 집권 이전의 볼셰비키당의 역사와 정책, 혁명 러시아의 아버지로 불리우는 레닌의 사상으로 부터 분리하여 규정할 수는 없다는 지적은 무척이나 타당하다.

소련을 비롯한 현실 사회주의 국가들의 몰락으로 부터 자본주의를 정당화하는 논리나, 스탈린 집권 하의 혁명 러시아의 과오로부터 사회주의를 분리하려는 논리는, 모두 반비판에 불과하다. 반비판에 기대어 있는 기존의 논쟁들을 스스로 일으켜세우는 데에 <10월 혁명사>의 의의가 있다.

<10월 혁명사>는 우선, 집권 이전의 스탈린의 행보를 추적하는데 충실하다. 스탈린은 1914년 볼셰비키당의 독자 당대회의 중앙위원, 볼셰비키당 기관지인「프라우다」의 편집진을 역임했고, 1918년부터 시작된 내전에서 활약했다. 레닌의 신임을 받으며 혁명 러시아에서 노농방위회의를 비롯한 중요 직책을 역임했고, 민족문제에 정통했다. 무엇보다 그가 서기장에 집권하고, 레닌 사후에 실제적인 당내 최고지위에 오를 수 있었던 것을 단지 권력투쟁의 측면에서만 바라볼 수는 없으며, 그가 계승하고 있던 사상적 정통성에 대한 당내의 승인이 있었다는 것이 그의 분석이다.

따라서, <10월 혁명사>는 스탈린 집권 이전의 레닌주의의 행보(국가자본주의, 전시공산주의, NEP)를 추적하는 것을 통해서, 스탈린이 권력을 승계한 이후의 정책(NEP, 농업집단화, 당내 숙정)을 분석하며, 마찬가지 측면에서 스탈린 집권 이후에 부각되었던 당내 비판세력인 민주집중파, 노동자반대파, 트로츠키주의, 부하린주의에 대해서도, 그 과거의 행보, 즉 레닌주의에 대한 반대 움직임을 추적하는 것을 통해서 분석한다.

<10월 혁명사>는 분명 연구할 만한 가치가 충분하다. 과거 70년 가까이 전 세계의 절반을 풍미했던 현실 사회주의 국가들의 의의는, 외면되어서도 안되고, 자본주의의 모순 앞에서 외면될 수도 없기 때문이다.

# 더 읽어야 할 책

<국가와 혁명> (레닌) : 국가자본주의론에 대한 레닌의 기본적 구상.
「노동조합의 역할과 과제」(트로츠키): 혁명 이후 민주집중제 논쟁의 일면. 노동조합의 군사화에 대한 당내 비판.
<좌익소아병> (레닌) : 혁명 러시아에서의 당내 반대파에 대한 레닌의 비판.
「사회주의로의 길과 노농동맹」(부하린) : 부농에 대한 수탈에 반대했던 부하린의 견해.
「식량세론」「협동조합론」(레닌) : 레닌의 농업정책 기본 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