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 체제의 근본적인 해악은 자본가계급의 사치가 아니다.
공급과 수요의 법칙은 상당한 기간 동안 필요한 물질적 기초로 남아 있을 것이며 경제정책의 오류를 교정하는 데 필수불가결한 요소가 될 것이다.
개별 농민기업에 대한 우유부단, 거대 계획에 대한 불신, 최소 경제개발 속도의 옹호, 국제문제에 대한 방기 등이 전부 모여서 "일국 사회주의" 이론의 핵심을 구성하였다.
집단화의 진정한 가능성은 농촌의 위기의 깊이나 정부의 행정적 열정에 의해서가 아니라 존재하는 생산자원에 따라 주로 결정된다. 즉, 대규모 농업에 필요한 기계를 제공해주는 공업의 능력에 달린 문제이다.
이미 달성된 노동생산성과 무관하게 소유형태만 가지고는 이 문제가 완전히 해결될 수 없다는 것이 바로 마르크스주의자들의 견해이다.
소련이 생산과 분배의 안정을 확보한 사회주의의 첫 단계에 결코 도달하지 못했다는 중요한 사실 때문에 소련의 발전과정은 순조롭게 진행되기 보다는 모순에 가득찬 것일 수 밖에 없다.
프롤레타리아 독재는 자본주의 사회와 사회주의 사회를 이어주는 교량이다. 따라서 근본적으로 이 체제는 일시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사회주의는 인간의 욕구를 가장 잘 만족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여 계획 생산을 도모하는 체제이다. 그렇지 않다면 사회주의라는 이름은 필요가 없을 것이다. 암소가 사회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암소의 수가 너무 적거나 암소의 유방이 너무 왜소할 경우는 불충분한 우유 공급으로 인하여 분쟁이 일어난다.
도급제의 비밀을 발명한 것은 소련 관료들이 아니었다. 이 제도는 외부적인 강제가 가해지지 않으면서 노동자를 옥죄는 제도인데, 이것을 마르크스는 "자본주의 생산 방식에 가장 적합한 제도" 라고 생각했다.
루블화를 더 많이 손에 넣기 위해 노동할 경우 사람들은 "능력에 따라" 즉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신경과 근육의 상태에 맞추어 노동하지 않는다. 차라리 자신의 몸을 망치면서 일하게 된다. 도급제 방식은 조건적으로 그리고 엄혹한 필요 상황에서만 정당화 될 수 있을 뿐이다.
노동자국가에서 대중에 의해서 행사되는 강제력의 강도는 착취의 경향 즉 자본주의로의 복귀 위험과 정비례한다. 그리고 사회적 연대와 새로운 체제에 대한 대중의 충성심의 정도에 반비례한다.
우리는 유토피아를 꿈꾸고 있지 않다. 개개인에 의한 비리난 권력남용의 가능성과 불가피성을 부인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그리고 이러한 남용들을 억압해야 할 필요성 역시 마찬가지로 부인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런 조치를 취하는데 있어서 특별한 억압기구는 필요치 않다. 이것은 무장한 인민들 스스로가 알아서 할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문명화된 인민이 싸움하는 사람들을 뜯어말리고 여성을 폭행하는 행위를 그치게 하는 것과 같이 아주 단순하고 쉽게 인민들은 문제를 해결할 것이다.
10월 혁명에 의해서 확립된 혼인법과 가족법은 당당한 긍지의 대상이었는데, 이제 부르주아 국가들의 법률창고로부터 대대적인 차용을 하면서 고쳐지고 찢겨졌다.
사회주의는 금욕주의가 아니다. 정반대로 기독교의 금욕주의와는 아주 적대적이다. 사회주의는 번영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지 않는다. 반대로 이러한 관심의 부재에서 출발한다.
프롤레타리아의 독재체제는 미래의 문화가 아니라 과거의 야만상태를 반영할 뿐이다.
소련 정부가 제국주의 정부와 상업적 외교적 군사적 협상에 들어간다 하더라도 이것이 해당 자본주의 국가 노동자계급의 투쟁을 제한하거나 약화시켜서는 안된다는 것이 볼셰비키당의 원칙이었다.
평화주의 구호, 자본주의 하에서의 국제적 군비축소, 중재재판소 등은 반동적인 유토피아일 뿐만 아니라, 근로인민에 대한 노골적인 기만에 지나지 않는다.
일반적인 합의를 통해 군비축소가 실현된다고 가정하는 것은 명백히 화상에 지나지 않으며, 결코 새로운 전쟁을 피할 수는 없다. 무기가 있기 때문에 전쟁이 발발하는 것이 아니다. 이와 반대로 전쟁이 필요하기 때문에 무기를 생산하는 것이다.
검열은 군사기밀을 방어해야 한다. 그리고 다른 어떤 일에 대해서도 간섭해서는 안된다.
중요한 것은 계급이 아니라 지휘할 수 있는 위치이다. 엔지니어와 의사들을 계급이 없다. 그러나 사회는 이들을 필요한 위치에 배속시키는 수단을 찾아낸다.
어떤 군대로 군대를 양성하는 사회체제보다 더 민주적일 수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