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우스 푸어 - 비싼 집에 사는 가난한 사람들
김재영 지음 / 더팩트 / 2010년 7월
평점 :
절판


역설적이지만, 하우스푸어는 부동산 시장이 합리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자본주의에서는 수익이 있으면 위험이 있다. 위험을 말하지 않는 자본주의는 거짓이다.

의류시장에서 의류상품(옷)을 고를 때 디자인, 박음질, 가격을 고려하는 것 처럼, 금융시장(은행)에서 금융상품(주택담보대출)을 고를 때에도 금리, 물가상승률, 상환능력을 고려해야 한다. 고려할 수 있어야 한다.

결국, 부자 아빠와 가난한 아빠는 결국 한 사람이었다. 그것이 레버리지의 양면성, 금융의 양면성이다.

그래서, 저자의 선분양에 대한 편향적 접근이 아쉬웠다. 선분양이든 후분양이든, 금융 위험을 한쪽에게 일방적으로 전가하는 '후진적 금융'이라는 점에서 동일하기 때문이다. 정답은 금융 위험의 합리적 배분.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지 않는 경우, 2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은 10년 만기 복리저축과 동일하다. 금리가 올라가면 저축만기는 더욱 단축된다."
"재건축 시장은 소비재 시장이 아닌, 유가증권 시장과 다름없다."
"용적률을 내 재산처럼 생각해서는 곤란하다."
"빚으로 집을 산다는 것은, 집값이 떨어진다는 가능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행위이다."
"시가총액 4조원의 주식시장이라면, 이런 식으로 분석하지는 않을 것이다."
"아파트 이야기는 시청률 40%가 넘는 드라마였다. 이 이야기는 단순한 구전동화가 아니었다. 이야기의 생산자들은 권력을 가지고 있었다."
"자본주의에서는 수익이 있으면 위험이 있다. 위험을 말하지 않는 자본주의는 거짓이다."
"모든 자산은 금리 대비 가치로 계산되어야 한다."

댓글(0) 먼댓글(1)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2012년 당신의 집, 당신의 재산이 위험하다!
    from 도서출판 부키 2012-09-20 17:26 
    당신의 집은 안녕한가요? 한 때 빚 없이 집 사면 바보라는 말이 있었습니다. 은행의 저축이자보다 부동산 가격 상승률이 훨씬 높았으니까요. 또 집값이 워낙 비싸 대출 없이 집을 사는 것 자체가 ‘미션 임파서블’이기도 했고요. 그런데 지금 어떤가요? ‘집 가진 가난뱅이’ 하우스푸어가 넘쳐나고 있습니다. '하우스푸어' 500만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