랍스터를 먹는 시간
방현석 지음 / 창비 / 200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랍스터를 먹는 시간, 소설과 드라마

이원익 연출, 권민수 극본의 TV문학관 <랍스터를 먹는 시간>은 베트남 전쟁을 소재로 하고 있는 두 편의 소설 <랍스터를 먹는 시간>(방현석)과 <터널을 벗어나며>(김미라)를 옴니버스 형식으로 묶어서 연출하고 있다.

옴니버스(omnibus)란 본래 ‘많은 사람들이 함께 탈 수 있는 자동차’를 뜻하나, 영화나 연극에서는, 하나의 주제를 중심으로 몇 개의 독립된 짧은 이야기를 동시에 보여주는 양식을 지칭한다.
다른 소재, 다른 플롯, 다른 서사구조로 쓰인 개별 작품들의 만남은, 그것만으로도 무척 흥분되는 일이다. 팔레트 위에 색을 만들 때, 더 많은 물감을 섞을수록 색감이 진해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개별 작품들이 이루어낸 교집합은, 주제를 강조할 뿐만 아니라, 개별 작품들의 구성요소 또한 선명하게 부각시킨다. 
하지만, 옴니버스 양식이 개별 작품의 나열 혹은 물리적인 결합으로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개별 작품들은 하나 이상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연출 의도에 따라 수많은 조합을 이룰 수 있다. 그 결과, 옴니버스가 만들어 내는 다채로운 색감이, 오히려 기존 작품에 새로운 해석을 부여하는 단초가 되기도 하는 것이다.

TV문학관 <랍스터를 먹는 시간>은 “베트남 전쟁이 끝나고 난 후 사람들의 마음속에서 펼쳐지는 전쟁”에 초점을 맞춰 옴니버스를 구성하고 있다. 드라마가 위와 같은 중심축을 설정함에 따라, 원작소설 <랍스터를 먹는 시간>의 인물 및 갈등구조에도 약간의 지반변동이 발생한 것으로 보여 진다.

원작소설 <랍스터를 먹는 시간>은 ‘상처 받은 개인 간의 연대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상처’의 배경은 다양하다. 그것은 전쟁이기도 하고, 노동 현장이며, 가정이기도 하다. 같은 배경 속에서도 상처는 또한 다양하다. 누군가는 전쟁에서 청춘과 인간으로서의 존엄을 빼앗겼고, 누군가는 사랑하는 가족과 연인을 잃었다. 누군가는 노동 현장 속에서 인간의 기본적인 권리를 빼앗겼고, 누군가는 인격적인 모욕을 당해야 했다. 이렇듯, 원작소설은 다양한 개인의 상처들을, 몇몇 사회적 공간(전쟁, 노동 현장, 가족) 속에서 재조명하는 방식으로, 상처들이 서로 만나고 위로받도록 하고 있다. 소설의 인물과 사건, 배경의 유기적인 배열과 구성이 이러한 주제의식을 뒷받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TV문학관 <랍스터를 먹는 시간>의 상처는 오로지 전쟁만을 배경으로 하는 것으로 보여 진다. 이것은 전쟁이 남긴 상처를 강조하고 싶었던 연출자의 기획의도를 반영한 것이며, 이에 따라 소설 <랍스터를 먹는 시간>이 가진 구성요소들은 취사선택 내지는 축소되는 경향을 보인다. 아래에서는 이러한 경향을 구성요소별로 살펴보도록 한다.

# 인물

인물 구성 면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은, ‘건석’과 ‘건찬’에게서 나타난다.
우선, 극중 건석의 역할이 다소 약화되었다. 등장인물로서의 비중은 큰 변화가 없지만, 사건을 전개하고 갈등을 드러내는 적극적인 역할은 줄어들었다. 원작소설의 건석은, “개인의 욕망 때문에 형의 삶을 외면했던 과거”를 가진 인물이다. 베트남에서 건석의 일상은, 끊임없이 형과의 기억, 즉 자신의 상처를 불러낸다. ‘兄’의 기일이 쓰여진 달력, 아버지와 형이 함께 나온 바랜 흑백사진이 배치되었고, 베트남의 욕조는 동네 뒷산과 시골집을, 베트남 노동자들에게 보낼 전보는 D중공업에서 온 전보를 상기시킨다. 그리고, ‘보 반 러이’에게 전해들은 베트남 전쟁의 참상과 그의 연인이었던 ‘이니’에 대한 이야기는, 결국 건석이 노동조합 소식지를 통해 읽은 D중공업의 파업투쟁과 현장에서 죽어간 형에 대한 기억으로 이어지게 된다. 각기 다른 배경과 다른 원인의 상처를 가진 두 사람이 조우하며 연대의 단초를 마련하는 순간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 드라마에서 건석의 상처는 뚜렷하지 않다. 어린 시절 건찬과의 기억이 종종 오버랩 되긴 하지만 극중 효과가 지속적으로 이어지지 못하는데, 이것은 극중 건찬(우옌 카이 호앙)의 존재가 희미하기 때문이다. D중공업에서 보내진 전보와 파업 현장을 통해서 드러났던 건찬의 사건들은 드라마에서는 거의 드러나지 않고 있다.
원작소설에서 건석과 보 반 러이의 상처를 이어주는 건찬의 역할이 사라진 결과, 건석은 김 부장이나 보 반 러이와 같은 참전 세대의 상처를 매개하고 수긍하는 역할로 다소 축소되었고, 이것은 ‘베트남 전쟁이 사람들의 마음속에 남긴 상처‘를 강조하고자 했던 연출의도가 반영된 결과라고 보여 진다.

# 사건

사건 구성 면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은, D중공업의 파업에서 나타난다.
원작소설에서, 베트남 노동자들에게 보낼 전보문안의 번역을 망설이는 건석은, 건찬이 일하는 공장으로부터 받은 전보를 기억해낸다.

건석: “니가 뭔데 우리 엄마를 괴롭혀!”
건찬: “난 이 공장이 좋다. 넌 내 이름이 뭔지 아니? 여기서는 모두 내 이름을 부르지. 최건찬. 물론 나에게는 먼저 우옌 카이 호앙이라는 이름이 있었다. 째보, 베트콩이라는 말을 들을 때마다 나는 되뇌었다. 우옌 카이 호항. 하지만 최건찬인가 우옌 카이 호앙인가 하는 건 중요치 않아. 난 내 이름을 비겁하게 만들며 살아가지 않아.”


‘전보 사건’은 그간 감추어져 있었던 건찬의 캐릭터가 극명하게 드러나는 사건이기도 하고, 건석과 건찬 사이의 갈등이, 탄생배경을 둘러싼 가족 간의 갈등에서 노동권을 둘러싼 사회적인 갈등으로 옮아가는 사건이며, 결국, 전보에 반발해 사직서를 제출하는 보 반 러이가 건찬을 통해 건석과 만나게 되는 지점이기도 하다.
이렇게 만난 건석과 보 반 러이는, 각각 D중공업 노조의 파업투쟁과 혁명군대의 대부대작전이라는 사건을 나란히 전개하며, 형 건찬과 연인 이니를 불러낸다. 개인의 공간에서 시작된 상처가 사회적 공간으로 옮아가고, 또 다시 개인의 공간으로 돌아가지만, 이제 더 이상 사회와 개인의 구분이 무관한 ‘연대감’에 이르는 것이다.
반면, 드라마에서는 위의 두 가지 사건이 배제되어 있어, 후반부에 이를수록 건석 보다는 보 반 러이가 사건과 갈등을 주요하게 전개할 수밖에 없는 것으로 보여 진다.

# 배경

원작소설에서 건석의 기억에 따라 한국과 베트남을 오가던 배경 구성은, 드라마에서는 베트남에 좀 더 비중을 둔 것처럼 보인다. 이것은 ‘베트남 전쟁이 남긴 상처’를 중심으로 하는 주제의 설정에 따라 소설 내 사건을 취사선택한 필연적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원작소설에서는 한국과 베트남이라는 두 개의 공간, 그리고 각각에서 다시 일터와 가정, 사회로 나뉘어 지는 공간 구획이 필수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출생국가를 제외하면 아무런 기억을 공유하고 있지 않은 건찬과 보 반 러이가, 한국과 베트남이라는 공간적 한계를 뛰어넘어 서로 마주할 수 있는 것은, 한국과 베트남 모두에 일터라는 배경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한국의 일터와 베트남의 일터가 수평으로 만나는 지점에서 기억의 연대가 가능했다고 할 수 있다.
반면, 드라마에서는 베트남 전쟁을 중심으로 사건을 선택하였고, 자연스럽게 전쟁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한국 내 배경들은 배제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러한 공백은 또 하나의 단편 <터널을 벗어나며>의 70년대 한국을 통해서 메워지고 있다. 물론, 드라마는 한국이나 베트남이라는 ‘지리적’ 공간배경 보다는 참전세대의 ‘사회적’ 공간배경에 더 집중하였다고 할 수 있지만, 극중 ‘삼촌‘의 자살사건이 베트남이 아닌 한국에서 일어났다는 점을 볼 때, 한국이라는 공간배경은 필수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