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름다운 가짜, 대중문화와 센티멘털리즘 ㅣ 책세상문고 우리시대 101
김혜련 지음 / 책세상 / 200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 ‘대중’과 ‘대중적인 것’
‘대중’이라는 단어는,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이해될 수 있다. 형식적으로는, 공식적인 지위에 있지 않은 사람들을 모두 지칭(popular)하는 것이지만, 평가적인 관점에서는, 주체적이지 못하고 합리적이지 못한, 수동적이고 종속적인 집단(mass)을 일컫기도 하였다. 흔히 ‘대중적인 것’이라 함은 평가적인 의미를 띠는 경우가 더 많았다.
또한, ‘대중적인 것’이라 함은, 한꺼번에 정보를 전달하는 매체의 방식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러한 방식은 기술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이지만, 역으로 전달되는 정보의 내용, 대중의 취미와 가치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중적인 것’을 이해하고자 한다면, 위의 두 가지 지점을 모두 고려해야 할 것이다.
# 문화의 예술화와 예술의 문화화
문화가 우리가 살아가는 삶의 양식이라면, 예술은 특정한 매체, 기법, 스타일, 등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오늘날 복제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예술의 독점적 영역이 해체되자, 예술과 문화 사이의 경계도 조금씩 허물어졌다. 순수예술은 대중을 만날 수 있게 되었고, 대중문화는 예술적 형식을 만날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러나, 기술의 발전이 열어준 가능성의 공간에서, 예술과 문화는 각각의 영역을 개척하며 더욱 발전해나가기 보다는, 서로의 영역을 다툼하는 경쟁의 구도를 이룬 것으로 보인다. 문화는 예술이 가진 매체적 형식과 미적 아우라만을 차용하려하고(문화의 예술화), 예술은 그 스스로 작품의 형식성과는 괴리된 채 감상자의 관심사와 욕구충족에만 매달리는 현상(예술의 문화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최근 이슈가 되었던 인문강좌 붐도 이와 같은 맥락에서 바라볼 수 있을 것이다. 실용강좌(문화)와 인문학(예술)의 만남은 분명 가능성의 공간이지만, 대가와 석학의 이름과 작품만 나부끼는 일회성 인문강좌와 외딴섬과 같은 인문대학들의 현실을 직시한다면, 그것을 또 하나의 문화의 예술화라고 부를 수 있지 않을까.
# 도식성, 통속성, 관능성
대중예술은 상품이기에 앞서, 제작과정과 소비방식에서 비롯된 구조적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도식성과 통속성, 관능성이 그것이다.
도식성은 익숙한 플롯 형식을 통해 감상자들로 하여금 별다른 노력 없이 유사한 만족감을 느끼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측 가능한 구성과 종지부, 감정이입이 손쉬운 성격 묘사, 현실과 분리되는 별세계의 경험, 사생활에 대한 관음증적 욕망과 같은 것들이다. 대중예술의 도식성은 현실의 불확실성과 모호함을 단순화하면서 심리적 안정감을 주지만, 진지한 성찰과는 거리가 멀다고 할 수 있다. 이런 방식이 내면화되고 습관화된다면 센티멘털리즘의 핵심인 자기기만이 내면화될 수 있다.
통속성이란, 흔하고 저급한 소재를 통해 사람들을 모두 같은 부류로 만들어, 감상자들로 하여금 동류에 속하는 안도감을 느끼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는 문화적으로 획일화이며 하향평준화라는 점에서 퇴행적인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심리적, 신체적, 도덕적인 면에서의 노력과 투자를 최소화하는 것을 통해, 즐거움과 만족감을 극대화하는, 스스로를 속이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끝으로, 관능성이란 성적 판타지를 조성하여 감상자들에게 구체적인 만족감을 느끼게 하는 것을 뜻한다. 그러나, 성적 판타지는 상대를 자신의 필요나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한 수단으로만 취급한다는 점에서, 도덕적 이기주의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태도가 내면화된다면, 우리는 인격성에 대해 무감각해지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