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조선)

폴 케네디의 ‘강대국의 흥망’
“강대국은 경제력과 군사력을 잘 조화시켜”

“경제대국조차 힘에 부치는 군사력을 시도하기 때문에 국력이 쇠퇴하고, 적정한 군사력을 유지하는 나라가 새로운 강국으로 부상한다.”  - 본문 중에서

역사를 관찰하면 어떤 국가들은 강력해진 반면 어떤 국가들은 쇠퇴했다. 이러한 사실은 역사적 흥밋거리일 뿐만 아니라 오늘의 세계를 이해하고 미래를 전망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역사학자인 폴 케네디(Paul M. Kennedy·1945~) 예일대 교수는 ‘강대국의 흥망(The Rise and Fall of the Great Powers)’에서 지난 5세기 동안의 세계적인 정치행태를 광범위하게 분석하여 경제력과 군사력 간의 긴밀한 관계를 규명하여 강대국의 흥망성쇠를 설명하고 있다.

정교한 학술서적임에도 불구하고 본서는 1987년 여름 발간되자마자 미국 독서시장의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책이 출간되었던 1980년대 후반은 아직 냉전은 끝나지 않았고, 미국 경제는 불황의 긴 터널을 지나고 있을 무렵이었다. 많은 지식인이 ‘미국이라는 초강대국이 과연 지속될 수 있을까’에 대해 의문을 품기 시작한 시점이기도 했다. 이러한 의문에 대한 답을 찾고자 저자는 역사상의 강대국들의 성장과 몰락을 분석하면서 미래를 예견하고자 했다.

1500년대 세계에서 가장 막강한 국가는 유럽 제국이 아니라 중국의 명나라였다. 그렇게 막강하던 명나라는 왜 당시까지는 후진적이었던 유럽 국가들과의 경쟁에서 뒤지게 되었을까? 저자는 그 원인을 중국의 막강한 중앙집권적 권력 때문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중국은 비옥한 땅과 인구, 지정학적 위치에서 강대국으로서의 조건을 두루 갖추었음에도 불구하고 명제국은 소극적이며 진취성이 부족했다. 중국은 막강한 함대를 통해 세계의 부를 긁어 모을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그러나 중앙정부로부터 멀리 떨어진 바닷가 지역이 지나치게 부유하게 되는 것을 두려워한 베이징(北京)의 귀족들은 해운 산업 및 무역을 억제하는 조치를 취하였다.

이에 반해 유럽 각국의 사회는 봉건사회로 중앙집권적 권력이 없었고 각 봉건 제후들은 각자의 군사력과 경제력을 증강시키기 위해서 치열한 자유 경쟁을 벌이고 있었다. 결국 봉건 영주들의 자유경쟁이 뒷받침된 유럽은 막강한 부와 군사력을 가진 국가로 등장했고, 중국은 쇠퇴하고 말았다.

아시아에서는 유럽 국가와 사회 구성이 비슷한 일본만이 봉건적인 형태로 유럽과 유사한 국가발전의 길을 걸었다. 유럽은 분산된 국가체제가 가장 큰 약점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약점으로 말미암아 유럽 국가들은 스스로의 독립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군사적 수단을 갖추기 위해 노력했고, 다양한 국가 간의 경쟁이 해상으로 뻗어나가는 원동력이 되었다. 경제적 자유방임주의, 정치군사적 다원화와 지적 자유가 끊임없이 서로 작용하면서 ‘유럽의 기적’을 만들어 낸 것이다.

자유경쟁에 의한 유럽 각국의 번영은 내부적으로 전쟁을 일으키게 하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 몇 차례에 걸쳐 유럽의 국가들은 축적한 경제력과 군사력을 충돌시키면서 ‘승자 없는 전쟁’을 되풀이하였다. 피레네조약에서 빈협정에 이르는 오랜 기간 전략적으로 유리한 위치를 점하려는 유럽 각국 간의 내부 경쟁은 단기적으로는 전쟁과 파괴를 가져왔지만, 결과적으로는 군사적 경험과 경제적 번영을 이루어 내는 토대가 되었다. 그리고 견제와 상호보상이라는 이중원리로 유럽은 점차 경쟁하지만 일정 부분 협력하는 형태의 선진적인 다국가 체제를 형성하게 되었다.

강대국의 흥망을 결정지은 새로운 요소는 산업혁명이었다. 산업혁명이 가져다 준 기술은 경제적인 번영과 더불어 군사적인 역량으로 이어졌다. 산업혁명을 주도했던 영국은 1815년 이후 기술을 바탕으로 나머지 국가들과는 다른 형태의 새로운 강대국이 되었다.

산업혁명으로 비유럽 지역은 점점 쇠퇴해 갔고, 영국을 중심으로 한 유럽 지역은 점차 근대화라는 새로운 경제시대를 맞게 되었다. 산업혁명에 있어서는 후발국이었으나 유럽 내부 전쟁에 휩쓸릴 필요가 없었던 미국은 막대한 경제력을 축적하여, 남북전쟁이 발발하기 전에 이미 경제대국이 되었다. 4년간의 남북전쟁으로 많은 것이 파괴되었지만 치열한 전쟁을 겪으면서 미국은 군사적으로도 성숙하게 되었다.

이윤철 한국항공대학교 교수·경영학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