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조선)

엘리아데의 ‘성(聖)과 속(俗)’
“비종교적인 현대인, 행동은 여전히 종교적으로”

종교학자 엘리아데(Mircea Eliade·1907~1986)는 루마니아의 부쿠레슈티에서 태어났다. 그는 20대 초반에 인도에 가서 산스크리트를 공부하고 요가 수행을 하기도 했고 결국 요가 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40년 이후에는 영국과 포르투갈의 루마니아 공사관에서 일하기도 했으며 1945년 이후 파리에 정착하면서 본격적으로 학문적 저술 활동에 매진했다.

1956년에 미국 시카고로 건너가기 전까지 엘리아데의 중요한 학문적 저작은 대부분 파리 시절에 집필된 것이다. 30대 후반에서 40대 후반에 이르는 이 시절에 엘리아데는 ‘종교형태론’ ‘영원회귀의 신화’ ‘샤머니즘’ ‘이미지와 상징’ ‘요가’ ‘대장장이와 연금술사’에 이르기까지 일관성과 포괄성을 겸비한 일련의 저술작업을 수행했다.

초기의 이러한 엄청난 성과에 비하면 미국에 건너간 이후에 그가 보여준 학문적 내용은 오히려 왜소해 보인다고도 말할 수 있다. 미국적인 학문 풍토가 엘리아데의 창조력을 감퇴시켰다고 볼 수도 있다.

여기에서 살펴볼 ‘성(聖)과 속(俗)(The Sacred and The Profane)’은 1957년에 독일에서 출간되었다는 점에서 매우 독특한 이력을 갖는다. 책이 출간된 배경은 이렇다. 1955년에 로마에서 열린 국제종교학회에서 엘리아데는 ‘로볼트 독일 백과사전’ 시리즈를 편집하고 있던 엔리코 그라를 만났다. 그리고 엘리아데는 1956년 1월까지 160쪽 분량의 ‘성과 속’을 쓰도록 요청받았다.

그러므로 ‘성과 속’은 미국으로 떠나기 전에 엘리아데가 독일 출판사를 통해 그의 파리 시절 학문을 요약ㆍ정리한 소책자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성과 속’은 주로 ‘종교형태론’ ‘영원회귀의 신화’ ‘이미지와 상징’의 세 권이 결합해 응축된 책에 가깝다.

그러나 이 책이 기존 저술의 단순 요약본은 아니다. 오히려 이 책을 통해서 엘리아데는 일반 독자가 이해하기 힘들던 다소 난해한 자신의 중심 사상을 매우 자상하게 풀어 설명하고 있다.

엘리아데에 의하면 성(the sacred)과 속(the profane)은 ‘세계 안에서의 두 가지 존재 방식’이다. 그리고 성은 속의 정반대다. 성은 종교적인 인간 삶의 방식이고, 속은 비종교적 인간 삶의 방식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곧장 이렇게 물을 수 있다. 과연 성스럽게 산다는 것은 어떤 것인가? 여기에 대한 엘리아데의 답변은 ‘성스러운 공간’과 ‘성스러운 시간’을 설명하는 이 책의 맨 처음 두 장에 제시되어 있다.

비종교적인 인간에게 공간은 그저 아득히 펼쳐져 있는 균질적이고 상대적인 것이다. 그러나 종교적인 인간은 ‘공간의 단절’을 경험한다. 종교적인 인간은 위(하늘)와 아래(지하)를 향해 열려 있는 공간, 즉 저 너머의 세계로 이행하는 통로가 되는 성스러운 장소를 창조한다.

바로 이 장소가 ‘세계의 중심’이다. 중심을 통해 인간은 다른 세계와 소통할 뿐만 아니라 다른 세계에서 흡수한 성스러운 힘을 다른 모든 장소에 전달할 수도 있다. 중심이 잡혔을 때 세계는 비로소 ‘인간적인 세계’로 변형되는 것이다. 그러나 신과 만나는 신전이나 사원만이 중심인 것은 아니다.

이창익 한국종교문화연구소 연구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