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조선)
갤브레이스의 ‘불확실성의 시대’
“공동체 의식이 현대의 불확실성 덜어줘”
‘사회를 보는 거울을 가지고 있던 경제학자(Economist held a Mirror to Society).’
미국의 뉴욕타임스가 존 케네스 갤브레이스(John Kenneth Galbraith)가 97세로 사망했다는 기사(2006년 4월 30일자)를 쓰면서 뽑은 제목이다. 아울러 뉴욕타임스는 갤브레이스를 ‘전통과 인습을 타파하고자 했던 경제학자’ ‘자신의 주장을 굽힐 줄 모르는 자유주의자’로 표현하고 있다.
왜 갤브레이스가 이 같은 평가를 받게 되었을까? 무엇보다 대다수 경제학자들이 사회적 통념이라고 믿고 있는 부분에 대해 현실적·비판적 시각을 들이댔고 이를 현실 경제에서 실현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경제학자로서 존 메이너드 케인스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다고 스스로 말하면서도 생산에 대해서는 다르게 접근하고 있다. 케인스의 주장처럼 수요가 공급(생산)을 창출하는 것이 아니라 공급자(생산자)의 광고와 판매 기술이 수요를 만들어낸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소비자의 필요에 따라 상품이나 서비스를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라 공급자가 소비자의 욕구를 충동시키고 그 충동을 만족시키는 상품을 만들어낸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주류 경제학자들이 ‘개인의 자유’를 강조한 것과는 달리 ‘공공(公共)’의 중요성을 일관되게 주장했다. 정부의 개입과 역할을 주장한 케인스보다 한 걸음 더 나간다. ‘선한 의도를 가진 큰 정부가 국민을 보호하고 그들의 삶을 잘 돌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 같은 그의 주장은 1958년에 쓴 ‘풍요한 사회(The Affluent Society)’에서 잘 표현되고 있다. 제목이 풍기는 느낌과는 달리 풍요한 사회가 가져오는 어두운 면을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는 이 책은 케네디 대통령의 ‘가난과의 전쟁’, 존슨 대통령의 ‘위대한 사회’의 기본철학을 제공했다.
갤브레이스가 자신의 거울을 통해 지난 200여년 동안의 세계 경제와 경제학자를 들여다본 것이 ‘불확실성의 시대(The Age of Uncertainty·1977년)’이다. 서문에 나오는 것처럼 하버드대에서 어떻게 하면 학생들을 잘 가르칠 것인가에 대해 고민하고 있던 그에게 영국의 BBC가 TV 경제 프로그램을 맡아줄 것을 의뢰하자 이를 흔쾌히 수락하고 방송 내용을 책으로 펴낸 것이다. 방송 당시의 제목도 ‘불확실성의 시대’였는데 지난 시대의 경제사상이나 현상 속에 있었던 확고한 확실성을 현대의 온갖 문제가 직면하고 있는 엄청난 불확실성과 대비한다는 의미에서 붙인 제목이었다. 이후 ‘불확실성의 시대’는 ‘풍요한 사회’와 함께 갤브레이스 하면 떠오르는 단어가 됐을 뿐 아니라 30여년이 지난 지금의 우리도 직면하고 있는 살아있는 단어라고 할 수 있다.
책에서 갤브레이스는 현대경제학의 아버지 애덤 스미스와 데이비드 리카도, 토머스 멜서스와 같은 고전학파 경제학자와 그들이 경험했던 영국과 유럽 경제, 칼 마르크스와 레닌의 혁명, 화폐의 발명과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탄생, 대공황과 존 메이너드 케인스 등을 다루고 있다. 왜 당시의 경제상황에서 그 같은 경제학과 경제학자가 태어났으며, 새로 태어난 경제학이 불확실성을 어떻게 제거하거나 줄여나갔는지를 짚어주고 있다.
최성환 대한생명 경제연구소 상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