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조선)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
우주로 향한 지적인 여행의 안내서
너무나도 광대한 우주 그리고 그 한구석에 자리한 초라한 행성 지구. 그러나 이 행성에는 우주 모든 것의 과거와 미래를 인식하고자 하는 인간의 용감한 노력이 있으며 이러한 노력이야말로 우리의 진정한 가치이다. 천문학자 칼 세이건(Carl Saganㆍ1934~1996)이 그의 명저 ‘코스모스(Cosmos)’를 통해 전달하고자 했던 메시지의 핵심은 바로 이것이 아닐까.
칼 세이건은 20세기 천문학과 행성탐사의 새로운 성과들을 매개체로 삼아 과학이 우리에게 무엇을 의미하는지, 왜 우리가 과학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가장 성공적으로 대중과 교감을 나눈 학자다. 1980년 ‘코스모스’ 책과 짝을 지어 방송된 같은 이름과 구성의 텔레비전 다큐멘터리 시리즈는 방송계 최고의 상이라는 에이미상을 받았으며 이후 우리나라를 포함한 60여개 국가에 소개되어 6억명이라는 엄청난 시청기록을 남기기도 했다. ‘코스모스’ 책 또한 20세기에 가장 많이 읽힌 과학도서라는 영예를 갖게 되었다. 이미 또 다른 저작인 ‘에덴의 용’(1977)으로 퓰리처상을 수상한 그는 20여권의 도서를 포함하여 일반인을 위한 수많은 글을 남겼으며 그가 저작한 과학소설인 ‘콘택트’(1985)는 이후 영화로 만들어지기도 했다.
달착륙에 이어 우주탐사의 열기가 한껏 고조되었던 1970년대 미항공우주국(NASA)의 마리너, 바이킹, 보이저 그리고 갈릴레오 계획의 책임과학자로서 활약한 칼 세이건은 연구자와 교육자의 틀에 묶여있지 않고 과감하고도 끊임없이 대중과의 대화를 시도한 과학사상가이자 계몽가였다. 과학은 소수 연구자의 전유물이 아니라 우리 인류가 오랜 기간에 걸쳐 함께 이루어온 발전의 과정이자 동력이었으며 인류의 미래는 우리 모두에게 과학에 대한 이해와 과학하는 심성을 요구하고 있다고 본 것이다.
‘코스모스’는 마치 텔레비전 다큐멘터리를 보는 듯한 착각을 일으키게 하는 우주입문서다. 당시의 천문관측과 우주탐사로 알려진 놀라운 사실과 화려한 화보들이 가득하다. 그러나 이 책이 흥미롭고 신기한 새로운 지식들의 조각으로만 구성된 것은 아니며 또한 단편적 지식의 일방적 전달을 목적으로 쓴 책이 아니라는 것을 독자는 금방 알 수 있다.
칼 세이건은 이 책에서 독자의 손을 잡고 우주의 다양한 모습과 지구와 태양계 여러 행성의 신기한 특징을 하나씩 보여주는 여행안내자의 역할을 한다. 생명체의 발현과 진화에서부터 별의 삶과 죽음 그리고 은하와 우주의 거대한 구조가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이르기까지 매우 광범위한 주제를 차근차근 소개해 나간다. 이 과정에서 놀랍고도 매우 매력적인 것은 칼 세이건의 친절한 설명이 갖는 폭과 깊이가 대단하다는 사실이다. 이들 주제 하나하나에 대해 그는 과거 고대인과 선현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있었는지, 그러한 생각을 하게 한 문화적·역사적·사상적 이유는 무엇인지, 또 그와 같은 과거의 생각에 무엇이 잘못되었고 무엇이 나중에 획기적인 인식의 발전으로 연결되었는지를 논리정연하게 정리해 주고 있다. 우주탐사선이 찍은 한 장의 천체사진은 그 자체로도 멋진 작품이지만 그 속에 들어있는 과학적 의미와 해당 주제에 대한 인류지식 증진과정의 역사적 배경을 이해하게 될 때 그 아름다움이 더욱 깊게 느껴지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이 책은 그러한 아름다움으로 가득 차 있다. 그래서 20세기 과학대중도서의 가장 훌륭한 역작으로 여겨지는 것일지도 모른다.
변용익 연세대 교수ㆍ천문우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