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조선)
제레미 리프킨의 ‘엔트로피’
인류문명을 엔트로피의 관점에서 비판
제레미 리프킨(Jeremy Rifkin·1943~ )의 1980년 저작 ‘엔트로피: 새로운 세계관(Entropy: A New World View)’에 관해 말하려면 ‘엔트로피’라는 말부터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열역학이라는 학문에서 말하는 ‘열역학 제1법칙’은 ‘에너지의 총량은 무슨 일이 있어도 변하지 않는다’는 에너지 보존의 법칙이다. 그리고 제2법칙이 바로 엔트로피의 법칙이다. 간단히 말하면 ‘엔트로피는 언제나 증가하기만 한다’는 것인데 바꾸어 말하면 ‘물질과 에너지는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부터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만, 또한 질서화된 것으로부터 무질서화된 것으로만 변화한다’는 뜻이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에너지를 새로 만들어낼 수는 없다는 점이다. 우리는 어디까지나 에너지를 다른 형태의 에너지로 변화시키는 일을 할 수 있을 뿐이다. 그렇게 한 에너지를 다른 형태의 에너지로 변화시킬 때 에너지는 사용할 수 없는 상태가 되어간다. 결국 ‘엔트로피가 증가한다’는 말은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가 감소한다’는 것을 뜻한다.
예를 들어 손대지 않은 상태 그대로의 자연자원을 개발하여 그것을 다른 형태의 에너지로 변화시킨 경우, 엔트로피가 무척 증가한 셈이다. 그리고 그렇게 증가한 엔트로피는 다시 감소하지 않는다. 자동차는 자연자원인 석유를 가공한 휘발유를 연료로 해서 움직인다. 일단 자동차를 움직이는 데 사용된 원유를 원래 상태 그대로 회복시킨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렇게 본다면 모든 환경오염은 엔트로피의 증가를 보여주는 가장 좋은 사례가 된다. 수력이나 풍력 등의 에너지는 엔트로피가 상대적으로 적다. 바꾸어 말하면 얼마든지 재생 가능한 에너지에 가깝다. 하지만 휘발유, 석탄 등 우리가 널리 사용하는 대부분의 에너지는 엔트로피가 무척 높은 것들이다. 더구나 엔트로피가 높은 에너지는 사용되고 나서 많은 양의 오염 물질 또는 쓰레기를 남긴다.
물론 이용할 수 있는 자연자원, 그러니까 에너지원이 무한하다면 문제될 것이 없다. 하지만 자연자원은 언젠가는 고갈된다. 갈수록 줄어드는 자연자원을 개발하는 데 드는 비용은 점점 더 늘어난다. 더구나 자연자원을 변화시켜, 그러니까 엔트로피를 증가시켜 사용한 뒤 남는 오염물질과 쓰레기를 처리하는 데 드는 비용도 늘어만 간다. 자동차가 배출하는 일산화탄소, 아황산가스, 탄화수소 등의 물질을 자동차 엔진을 돌리는 데 사용하는 휘발유로 회복시킬 수는 없다. 그런 배기가스는 우리의 눈을 쓰리게 만들고, 폐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비행기의 제트엔진에서 나오는 질소화합물, 냉각장치와 냉동공장에서 나오는 프레온가스 등은 오존층을 파괴하여 인류를 위협한다. 더구나 매연은 산성비가 되어 내리고, 이산화탄소는 온실효과를 통해 극지의 얼음을 녹여 해수면 상승이라는 위협을 가한다. 이러한 환경오염의 위기는 우리가 감당할 수 없을 정도의 엄청난 엔트로피 증가라고 바꾸어 말할 수 있다. 지금까지 인류문명의 발전은 자연자원의 개발과 이용, 그러니까 엔트로피의 증가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
표정훈 출판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