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조선)

“모든 지식은 권력행사와 맞물려 있다”
미셸 푸코의 ‘감시와 처벌’
 
“권력은 특정한 지식을 만들어내며 권력과 지식은 서로를 직접 포함한다.… 인간은 특별한 규율적 권력 기법이 만들어 낸 존재에 지나지 않는다.” - 본문 중에서

미셸 푸코(1926~1984)는 현대 프랑스 사상의 흐름을 대변한다. 그는 고등사범학교(ENS)에서 철학을 공부한 후, 여러 대학의 교수직을 거쳐 ‘콜레주 드 프랑스’에서 ‘사상체계의 역사’ 담당 교수로 죽을 때까지 활동했다. 그러나 그는 상아탑 안에만 머물지 않고 재소자, 동성애자, 불법이민자 등 주변부 집단의 인권개선을 위한 사회운동에도 적극 참여했다. 푸코의 이러한 실천지향성은 프랑스 전역을 휩쓴 68사태(1968년 파리 대학생의 대학개혁운동으로부터 발원되어 전사회적 민권운동으로까지 확산됨)에 대한 개입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다.

푸코의 사상적 영향력은 세계적인 것이었으며 한국의 지식인 사회에 미치는 영향도 대단했다. 이는 마르크스주의를 위시한 기존 거대담론이 갈수록 복잡해지고 분화되는 현대사회를 제대로 설명할 수 없었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따라서 다양한 영역에서 강력한 현실 설명력을 갖는 푸코가 그 공백을 메우는 이론적 자원으로 주목받게 된 것이다. 1975년 출간된 푸코의 ‘감시와 처벌(Surveiller et punir)’은 그 생생한 증거다.

푸코는 모든 종류의 지식이 권력의 행사와 뗄 수 없이 맞물려 있다고 주장한다. ‘감시와 처벌’은 감옥이라는 제도의 변천사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통해 이를 현미경처럼 보여준다. 그가 감옥에 주목하는 이유는, 근대 인간중심주의의 허실(虛實)을 감옥이 가장 선명하게 폭로하기 때문이다. 이는 ‘이성의 시대’인 18세기에 일어난 형벌제도의 변화가 진정으로 노리는 효과가 무엇인지를 묻는 것이다. 유럽 전역에 계몽사상이 퍼져나가면서 처벌제도 또한 인도주의적으로 순화되었다. 이는 관행으로 자리잡았던 재소자에 대한 야만적 처우를 근절시키고 인권을 보장하는 조치로 환영 받았다.

하지만 푸코는 이러한 개혁 조치의 이면(裏面)에 주목한다. 푸코에 의하면 처벌의 인도주의적 변화는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관대함과는 달리, 실제로는 처벌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도입된 것이다. 즉 인도주의적 개혁의 목표는 불법적 행위를 처벌하고 규제하는 기제(機制)를 공고하게 확립하기 위한 것이었다. 따라서 덜 처벌하는 데 주안점이 있지 않았고 보다 더 효과적으로 처벌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던 것이었다.  

윤평중 한신대 교수·철학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