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조선)
과학의 발전을 단절적인 과정으로 봐
토머스 쿤의 ‘과학혁명의 구조’
‘과학혁명’이라는 말은 과학사를 연구하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전문적인 용어다. 시기적으로는 대략 1500년에서 1700년 사이에 해당하는데, 특히 17세기가 그 정점(頂點)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른바 근대과학의 성립 및 그것이 사상, 사회 등에 미친 폭넓은 영향을 일컫는 말이며, 레오나르도 다빈치를 시작으로 뉴턴에서 완성된 것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 케플러의 천체 운동법칙, 갈릴레이의 천문학 연구, 로버트 보일의 화학 연구, 하비의 생리학 및 해부학 연구, 뉴턴의 물리학 법칙 등이 모두 과학혁명 시기의 중요한 성취에 속한다. 그밖에 이전에는 찾아보기 힘들었던 과학 연구기관 및 단체가 속속 설립된 것도 이 시기의 중요한 발전이다.
물론 과학혁명은 위와 같이 역사 속의 특정 시기에 이루어진 과학 발전을 가리키는 전문적인 용어로서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의미의 비약적인 과학 발전을 일컫는 말로도 사용된다. 즉 무언가 엄청나게 큰 변화가 일어났을 때 그것을 ‘혁명적인 변화’라고 일컫는 것과 마찬가지 의미를 지닌다. 토머스 쿤(Thomas Kuhn·1922~1996)이 1962년에 내놓은 저서 ‘과학혁명의 구조(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는 부분적으로는 전자의 과학혁명을 주제로 하고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과학 발전이 일반적으로 어떻게 전개되는지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이 책은 출간되기 무섭게 열띤 논란을 불러일으켰는데, 쿤이 과학발전의 객관적 보편성을 부정했기 때문이다. 사실 우리는 과학적 지식을 객관적이고 보편타당한 지식으로 당연시하곤 한다. 또한 그러한 지식이 조금씩 쌓이면서 과학이 발전한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벽돌을 한 장씩 쌓아 높고 튼튼한 벽을 만드는 것과 마찬가지인 셈이다. 그러나 쿤에 따르면 과학은 그런 식으로 발전하지 않는다.
쿤은 과학 발전이 ‘정상과학→이상 현상→위기→혁명→새로운 정상과학’의 식으로 진행된다고 주장했다. 즉 특정이론 A에 의해 과학 지식이 계속하여 발전하다가 그 이론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이 나타나고, 그 시대 과학자들이 일반적으로 공유하는 패러다임(paradigm)으로는 문제의 현상을 설명할 수 없을 때 정상과학의 위기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쿤의 말을 들어보자.
표정훈 출판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