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
과학만능주의 미래를 소설로 경고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Brave New World)>
우리는 유전자 조작, DNA 염기서열, 게놈(genome) 등 생명공학 용어가 낯설지 않은 시대에 살고 있다. 또 아직까지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 줄기세포 사건으로 인해 줄기세포는 물론 배반포, 테라토마와 같이 어려운 용어도 이해할 정도에 이르렀다. 이렇듯 생명공학은 우리에게 더 이상 생소한 분야가 아니다. 1978년 최초의 시험관아기인 루이스 브라운이 영국에서 태어난 이래 생명공학은 눈부신 발전을 거듭해왔다. 생명공학이 미래에 인간을 행복하게 만드는 구원의 손길이 될 것이라고 느끼는 사람도 적지 않다. 하지만 생명공학의 경이적 발달로 미래에 나와 똑같이 생긴 복제인간이 대량 생산되어 거리를 활개치고 돌아다닌다면, 그런 사회는 과연 어떤 모습이 될까? 영국의 소설가 올더스 헉슬리(Aldous Huxley)는 그런 끔찍한 미래 사회를 일찍이 그의 소설 ‘멋진 신세계’(Brave New World)에서 예리하게 그려냈다.
1932년에 출간된 이 소설은 과학기술이 극한적으로 발전한 먼 훗날의 세계를 상정, 그때의 변모된 인간사회를 그려낸 ‘반(反)유토피아 소설’이자 ‘공상과학소설’이다. 저자 헉슬리가 살았던 당시의 서구사회는 파랑(波浪)과 격동(激動)의 시대였다. 먼저 제1차 세계대전은 서구 지성계를 흔들어 놓았다. 전쟁에 환멸을 느낀 젊은 지식인과 예술가에겐 소위 ‘잃어버린 세대’라는 딱지가 붙기도 했다. 나아가 1929년의 경제공황과 전체주의 정권의 확대로 인해 서구 지성인들의 시대정신은 더욱 비관적으로 흘러갔다.
헉슬리 또한 이런 시대적 상황을 비켜가지 않았다. 그는 진화론의 권위자이자 생물학자였던 조부(祖父)의 낙관적 진보주의를 물려받는 대신 인문학적 상상력을 기초로 한 문명비판 사상에 경도되었다. 여기에는 현대문명에 비판적이었던 소설가 D.H.로렌스와의 교류도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지만, 그 자신도 과학문명이 전쟁을 불러오는 등 인간의 삶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을 목격하며 적극적으로 비판의식을 키워나갔다.
소설 ‘멋진 신세계’는 포드(Ford) 기원 632년을 시대적 배경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포드 기원이란 미국의 자동차회사인 포드(Ford)가 컨베이어벨트를 이용해 ‘T형 자동차’를 대량생산하기 시작한 서기 1913년을 기원 1년으로 한 연혁(沿革)이다. 소설 속 인류의 삶은 과학의 경이적인 발전 덕분에 가난, 질병, 불안, 고통, 죄의식, 슬픔 등이 제거되었고, 설령 기분이 우울해지더라도 ‘소마’라는 약을 먹고 금세 쾌활함을 찾을 수 있다. 소설 제목이 가리키듯 지금껏 인간이 꿈꾸어왔던 ‘멋진 신세계’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멋진 신세계’란 말은 지독한 반어를 담고 있다.
소설 속 인류는 더 이상 어머니의 자궁을 생(生)의 근원으로 삼지 않는다. 유전자 조작으로 100여쌍의 쌍둥이가 공장에서 인공적으로 동시에 부화되고 또 기계적 조작에 의해 양육된다. 유리관 속에서 배양되는 태아는 알파, 베타, 감마, 델타, 엡실론 등 각기 지능과 능력이 다른 5등급으로 분류되어 차등 양육된다. 이렇게 태어난 인간들의 머릿속엔 당연히 아버지나 어머니가 존재하지 않는다. 인간의 근원적 고향이 어머니의 자궁이 아니라 인공부화국의 유리관이 되어버렸다. 이들에게 가장 큰 욕은 ‘어머니를 가진 놈’이란 말이다. 태어날 때 인간의 감정과 개성이 처음부터 인위적으로 조작, 조절되고 사랑과 신앙은 철저히 금지된다.
이 소설의 중심인물인 심리학자 버나드 마르크스는 이러한 체제에 저항하는 인물로 그려진다. 그는 수정(受精) 당시 인공부화국 직원의 실수로 감수성과 개인적 감정을 지니게 된 이 사회의 아웃사이더다. 그리고 또 다른 인물 존은 소설 속 사회에서 이단(異端)으로 여겨지는, 어머니의 몸에서 태어난 백인 남자다. 그는 문명세계와 격리된 야만인 보존지역에서 태어나 ‘멋진 신세계’로 불리는 어머니의 고향 런던을 늘 동경하며 자란다. 그러던 중 버나드가 존을 그의 어머니와 함께 문명세계로 데려온다. 존은 문명세계에 입성함으로써 자신의 꿈을 이루었지만 인간의 감정이 말살된 ‘멋진 신세계’에 동화되지 못하고 고립된 생활을 자처한다.
어느 날 존은 문명세계를 관장하는 세계 감독관 무스타파 몬드와 각각 ‘원시문명’과 ‘과학문명’의 대변자로서 격렬한 논쟁을 벌인다. 존은 인간다운 삶을 위해선 인간이 상상력과 예술적 직관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몬드는 현재의 행복을 위해서는 진리라든지 예술 따위는 필요치 않다고 일축한다. 결국 존은 자살로 생을 마감한다. 작가는 존을 통해 당대의 과학기술 만능 풍조를 공격하는 한편 ‘생명공학’(물론 이 소설이 쓰일 당시엔 이런 용어가 없었을 테지만)이 야기할 수 있는 전율스런 미래를 예언하고 경고한다. 특히 어머니 뱃속에서 태어난 전통적인 자연인이 언젠가는 실험실에서 유전자 조작으로 대량 생산될 복제인간에게 지배당해 그들의 노예가 될지도 모른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인간은 생존을 위해 혹은 안락함과 물질적 욕망을 추구하기 위해 끊임없이 과학기술을 발전시켜왔다. 하지만 인간의 생존과 편의를 위해 출발한 과학기술의 수준은 어느덧 인간이 인간을 만들어낼 날을 목전에 두고 있다. 이 때문에 1932년 책 출간 당시 단순히 한 편의 기발한 공상과학소설로만 받아들여졌을 이 작품은 70여년이 지난 시점에서 오히려 현실을 비추는 거울로 다가온다. 예컨대 서두(書頭)에 묘사되는, 유전자 조작을 통해 인간을 공장에서 맞춤형으로 만들어내는 장면은 당시 컨베이어벨트에서 연속적으로 차를 만들어내던 포드사의 자동차공장을 암시한다. ‘포드시스템’으로 명명되는 컨베이어벨트를 이용한 공장의 연속공정 시스템은 찰리 채플린의 영화 ‘모던타임즈’에서도 잘 나타나 있듯, 기계문명이 인간을 소외시키는 서글픈 현실을 대변한다.
‘멋진 신세계’속의 극단적 세계는 우리가 진정 옳다고 지향할 수 있는 과학기술사회는 결단코 아니다.(아니 10분의 1이라도 지향할 수 없다.) 그런 과학기술의 발전은 우리를 파멸케 할 뿐이다. 그렇다고 과학기술 자체를 전부 용도폐기하고 18세기 프랑스 사상가 장 자크 루소의 말대로 자연으로 돌아갈 수도 없다. 우리는 싫든 좋든 단 하루도 과학기술을 떠나서는 살 수 없는 세상에 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과학을 무조건 거부한다는 것은 억지이다. 다만 모든 것을 과학기술로 해결할 수 있다는 과학만능주의 내지 과학제일주의를 우려하고 경계해야 한다. 헉슬리가 던진 메시지도 이에 다르지 않다.
‘우리는 어디서 왔는가, 우리는 무엇인가,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 미국의 한 미술관에 전시된 인상파 화가 고갱의 작품 밑에 붙어 있는 제목이다. 이러한 근본적인 질문을 도외시한 채 지금 우리는 브레이크 없는 폭주기관차를 몰고 ‘멋진 신세계’를 향해 무작정 질주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이에 대한 반성과 성찰이 요구되는 시대를 살고 있다.
박경서 영남대 영문학과 강의전담객원교수ㆍ영문학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