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교육 1번지 대치동 엄마들의 입시전략
김은실 지음 / 이지북 / 2004년 8월
평점 :
품절


대치동의 교육시스템을 알고자 하시는 분들께는 꽤 생생한 리포트가 될 것 같습니다만, 씁슬한 여운이 남는 것은 어찌 할 수 없군요. 실용서는 실용서로 읽을 따름입니다.

학교, 학원, 학부모. 대치동의 높은 (소위) 명문대학진학률은 이 트라이앵글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군요. 저자는 상업시설, 유흥가가 없는 거리의 특색도 꼽고 있습니다만, 다소 부차적으로 보입니다.

일단, 학교. 현대, 서울, 상문, 휘문, 서초, 양재, 언남, 경기, 단대부속, 은광(여), 숙명(여)을 지칭합니다. 하지만, '명문고'니 '트라이앵글'이니 하기엔, 상대적으로 비중이 한참 낮아보입니다. 이들이 왜 명문고인지에 대한 설명은 거의 없습니다. 그저 구색을 갖추는 선에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대치동의 입시교육은 1% 의 학교교육과 99% 의 사교육으로 이루어진다." 고 하니까요.

다음은, 학원. 스타강사의 수업을 들을 수 있는 [종합학원], 수준별 맞춤 수업을 들을 수 있는 [보습학원], 과목별 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단과학원], 한 과목 안에서도 세분화되고 맞춤화된 [그룹/개인과외]까지. "대치동은 학원백화점" 이라는 표현이 실감납니다. 학원의 영업전략 또한 스타강사를 유치하는 수준이 아니라, 각 학교별 상위권 학생들을 트레이딩하는 방식까지 전방위적입니다. 학원강사들 역시, 학원 강의실은 홍보무대로 삼고, 고액의 그룹/개인과외를 주목적으로 한다고 하네요.

끝으로, 학부모. 학부모들은 아이들 대신 학원설명회, 입시설명회 등을 통한 [정보수집], 식단과 일과 관리, 동선 관리에 이르는 [관리사] 역할을 해냅니다. 오후 3시부터는 내도록 아이에게 매달린다고 하네요. 개인적인 차원을 넘어서, 학교와 학원에서 교제한 학부모들이 배타적인 그룹을 형성하기도 합니다.

뭐, 알고나 있자는 거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