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비폭력 대화
마셜 로젠버그 지음, 캐서린 한 옮김 / 바오 / 200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0. 대화의 문제
(1) 매번 같은 얘기일 뿐이라는 낙담. 신경질적으로 반응하거나, 의도적으로 대화를 피함.
(2) 스스로의 확신 아래, 도덕적 논리적으로 우위에 서고자 하는 강박이 있었음. 강박 속에는 명과 암이 공존했음. 몇 번의 연애도 이런 강박에서 예외가 아니었음.
(3) 종종 스스로를 자책하며 우울해짐.
1. 언어가 사고에 미치는 영향
1-1. 스스로를 소외시키는 대화
(1) 책임전가: 다른 사람 탓을 하는 것은, 해결할 방법이 없게 하고, 그로 인해 자신을 화나게 한다. / 다른 사람을 비판하는 것은, 결국 자신이 필요한 것을 돌려서 말하는 것. / 상대를 비난하는 순간, 서로의 욕구는 소통되지 않는다.
(2) 도덕주의적 판단. 논리적으로 우위에 서더라도, 결국 그 사람은 우리에게 거리감을 두게 된다.
(3) 비교하기, 강요하기
* 누군가를 비판한 적이 있었나
[정치에 대한 상이한 반응] 사회적으로 자신의 정치적 권력이 더 적기 때문에, 그것을 원하는 욕구가 강하다.
[가족과의 갈등] 내가 충분히 자율성을 가지고 있지 못한 것 같아 불안하다.
[친구에 대한 반발심] 나 역시 그녀가 그러할 지도 모른다는 불안함을 가지고 있다.
1-2. 나를 비판하는 사람
그의 욕구가 무엇인지 파악하려고 노력한다.
2. 변화시키기 [관찰-느낌-욕구의 표현-솔직한 부탁]
2-1. 소외에서 벗어나려면
(1) 판단하기 보다는 욕구를 관찰할 것. 어떤 이들은, 그저 자신의 심정과 상태를 전달하는 것 만으로도 편안함을 느낀다. 조언하려고 하지 말 것.
(2) 의견 보다는 느낌을 표현할 것.
(3) 자신이 원하는 것을 솔직하고 정확하게 부탁할 것.
(4) 상대를 비판하고 싶을 때는, 자신의 욕구가 무엇인지 돌이켜 볼 것.
2-2. 나에 대한 비판을 받아들이는 방법
- 타인에게 공감하려고 노력하면, 타인은 긴장을 풀고 더 많은 대화를 나누려 한다.
- 잘 안될 때는 심호흡을 하며 멈추거나, 자리를 피한다.
2-3. 공감
2-4. 자책으로 부터 벗어나기(연민)
"자책은 충족되지 않는 욕구의 비극적 표현이다. 비판적인 자아의식 때문에 자신 안에 있는 아름다움을 볼 수 없게 되면, 우리는 삶의 원천인 신성한 힘과 연결되는 지점을 잃어버린다."
2-5. 분노를 표현하기
"분노를 무시하거나, 누르거나, 삼켜서는 안된다. 분노를 좀 더 완전히 이해하고, 더 진지하게 표현해야 한다."
- 멈추어라. 분노 뒤에 감추어진 욕구를 인식하라.
2-6. 물리적 힘의 사용(보호의 힘)
- 처벌은 변화를 만들지 못한다. 처벌의 관심은 가치가 아니라 결과일 뿐이다.
2-7. 조언하기
- 비폭력대화의 심리치료에의 응용
2-8. 감사하기
"진정한 감사와 조작된 칭찬은 다르다. 아무리 긍정적이라도 칭찬은 종종 다른 사람에 대한 판단이다."
- 감사의 세 가지 요소: 행동, 욕구, 느낌
* 앞으로 어떻게
"우리 사회는 욕구를 부정적이고 파괴적인 것으로 여기는 경향이 있다."
[우울증] 자신의 인식 안에서 새로운 대안을 찾을 수 없는 정지상태.
[자책] 자책은 충족되지 않는 욕구의 비극적 표현이다. 자신의 욕구가 무엇인지 정확하게 파악하고, 자신의 장점을 찾아 긍정하라.
[분노] 잠시 멈추고 자신의 욕망을 파악해보라. 토론을 목적으로 하지 않은 사적인 자리에서의 비판(아름나라, 터울림, 정치)은, 결국 자신을 화나게 할 뿐. 사적인 자리에서는 발전적인 내용만.
[아빠] 비폭력적으로 자리를 피하라.
[누나] 자신의 자율성을 키워나갈 방법에 대해 생각하라.
[엄마] 상대방의 느낌에 대해 충분히 공감하려 노력하라. 조언하려 하지 말아라.
[감사와 겸양] 상대의 행동으로 나의 어떤 욕구가 충족되었는가
3. 비폭력대화의 효과와 응용
- 효과: 마음을 평화롭게, 인간관계를 돈독하게, 과거의 죄의식으로부터 자유롭게
- 응용: 심리치료, 분쟁해결, 협상, 조직내 의사소통 등
4. 기타
- 제8장 공감, 부분은 잘 이해되지 않음. 공감을 통해 생기 없는 대화를 되살리고, 위기를 모면할 수 있다는 것이 비현실적인 사례로 느껴졌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