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털털하고 솔직한, 공미연 감독님의 작품. 영화는 이스라엘 점령지구의 팔레스타인 사람들과 자이툰 파병 부대원들을 두 축으로 전개된다. 한 쪽은 분노 속에서 저항하거나 인내하고 있었고, 한 쪽은 경험 속에서 갈등하거나 인정하고 있었다. 

- 감독님은 상영 이후 '관객과의 대화' 속에서, 이번 작품이 반전 영화가 아니라고 밝혔다. 제목이 이미 보여주고 있듯이, 영화는 느낌표가 아니라 물음표로 끝을 맺었다. "파병이 꼭 나쁜 것 만은 아닐 수도 있겠다." 라던 감독님은, 제목을 채우지 않은 것이 아니라, 채우지 못한 것일 지도 모른다.

- 이것이 혹 필연적인 귀결은 아니었을까 조심스레 생각해본다. 영화에 등장한 팔레스타인 사람들이나 파병 부대원들에게, 전쟁은 '질문'이 될 수 없다. 그들에게 전쟁은 '조건'이다. 전쟁이 이미 주어진 조건인 이상, 그들에게 강요된 선택의 폭은 너무나 협소하다. (물론, 자이툰 파병은 지원제였지만, 한 발 양보해서.)
인터뷰에 참여한 파병 부대원들이 공통적으로 내놓은 대답 중 하나가, "어쩔 수 없다." 인 것은 우연이 아니다. 양자택일의 객관식으로 대답자의 생각을 온전히 알아내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한 팔레스타인 사람은 이렇게 대답했다. "우리에게 주어진 선택은, 불편함을 감수하며 여기에서 생을 마감하든지, 아니면 난민으로 떠도는 것 뿐이다. 그리고, 우리는 여기 남는 것을 선택했다. 이것이 난민의 삶 보다는 낫기 때문이다." 그리고, 한국의 파병 부대원은 말한다. "전장에서 인간은 존엄하지 않다."

- 물론, 그렇다고 해서 개인이 책임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수는 없다. 개인을 압박하는 전쟁이라는 조건 역시, 또 다른 개인들이 만들어 낸 것일테니까. 다만, 책임을 찾는 방식이 문제다. 그것이 오롯이 개인의 신념이나 가치판단에 따른 결과는 아닐 것이기 때문이다.
"전장에서 나는.." 이라는 닫힌 질문 대신, "전쟁을 막기 위해 나는.." 이라는 열린 질문이 필요한 이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