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한겨레, 이영미 '야!한국사회' 중에서 일부 편집) 
 
- 몇 해 전 제주도의 교사단체에서 주최하는 자리에서 남북 문화교류와 관련된 특강을 한 적이 있었다. 그 자리에서 바로 이 질문이 나왔다. 분단 반세기 동안 심화된 남북 언어의 이질성에 대한 의견을 묻는 것이었다. 내 대답은 이러했다. “어느 정도의 이질화는 당연한 것이며, 교류와 접촉이 늘어나면 자연히 동질화될 것입니다. 사실 남한의 말들도 모두 동질적이지 않은데도 별 문제가 없지 않습니까. 저에게는 북한말보다 제주도 방언이 훨씬 어렵습니다. 제주에서 이런 질문을 받으니 참 흥미롭네요.” 제주어와 표준어의 이중언어 교육을 받는다고 할 만한 제주도민들이 하는 이런 질문은, 언론 등에 의해 학습된 질문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

- 이는 다른 문화 영역에서도 마찬가지다. 우리가 북한 문화를 접하면서 느끼는 심각한 이질감은, 동질성에 대한 욕구가 지나치게 커서 생기는 현상이다. 우리는 반세기 갈라진 만큼 이질화되었고, 그 이전 수천 년을 함께 살아온 만큼 엄청나게 큰 동질성을 지니고 있다.

- 과연 남북문화 동질화가 정말 시급히 필요한가 하는 것도 의문이다. 문화란 지역·계층·세대·성에 따라 이질적이기 마련이다. 이질성은 시급히 바로잡아야 할 오류가 아니라,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세대 사이, 종족 사이에 다른 문화를 지니고 있다고 그것을 꼭 하나로 통일해야 하는가? 그렇지 않다. 단지 그들이 서로의 문화에 대해 너그러이 인정하는 것, 더 나아가 다른 문화와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 것이 필요할 뿐이다. 곧 지금 남북 문화교류에서 필요한 사고는, 동질성 회복이 아니라, 문화 다양성을 인정하는 것이다. 나아가 다양한 문화와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