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한겨레 매거진 이에스씨, 일부만 임의로 편집)
- 영화사 대표가 카메라 앞에 서고, 거리에 나서는 것에 대해 김조 대표는 별 의미 부여를 하지 않는다. 97년 청년필름을 세운 뒤 <해피 엔드> <와니와 준하>부터 <후회하지 않아> <우리에게 내일은 없다>까지 큰 영화, 작은 영화, (흥행에서) 성공한 영화, 망한 영화를 고루 경험하면서 쌓은 기술과 요령일 뿐이라고 한다.
- 그는 김용균, 정지우 감독 등 친구들의 제안으로 영화운동집단인 영화제작소 청년에 들어갔다. 거기서 “영화적 지식과는 무관한” 기획과 배급 파트를 담당한 게 그의 영화 이력 가운데 가장 앞부분에 올라가게 된 것이다.
- “피디 계열에서 만든 <파업전야>에 대응할 만한 장편을 만들어보자고 완성한 게 <어머니, 당신의 아들>이었어요. 그런데 완성도가 너무 떨어지는 거야. 그 이후로 단편만 만들다가 각자 실무 공부를 하고 돌아오자고 약속하고 들어갔던 회사가 동숭아트센터였어요. 사실 영화의 실무는 거기서 대부분 배운 거죠.” 그렇게 1년 반 동안 흩어졌던 친구 7명과 다시 뭉쳐 만든 게 청년필름이었다.
- 10년 동안 10편의 영화를 만들었다. 충무로에서 드물게 자기 색깔을 유지하는 영화사로 버텨온 데는 대가도 따랐다. <질투는 나의 힘> <귀여워>처럼 좋은 평가는 받았지만 대중적으로 실패한 영화들이 남겨준 빚이다. “사실 두 영화는 대규모로 배급할 작품이 아니었는데 그때만 해도 크게 펼치지 않으면 배급 경로가 없다시피 했고 또 노하우도 없어서 시행착오를 겪었던 셈이죠.” 시행착오가 결실로 맺어진 첫 영화가 1억원 남짓의 제작비를 들여 4만7천여명의 관객이 든 <후회하지 않아>다. 11월에 개봉하는 <은하해방전선>과 <색화동> 역시 작은 영화지만 자기 색깔이 뚜렷하면서도 대중적 소통이 쉬운 장르 영화들이다.
- 제작만 많이 하는 건 아니다. 몇년 전 직원들을 ‘압박’해 최초의 영화사 노조를 탄생시키기도 했던 사장인 그는 현재 독립영화 스태프 처우 개선과 지원 방안에 대한 연구 작업을 하고 있고 내년부터는 외화 수입에도 나설 예정이다. 또 일찌감치 커밍아웃을 했던 그답게 ‘커밍아웃 캠페인’을 벌일 계획도 있고, 케이블에 퀴어 채널을 만들고 싶은 소망도 있다. 또 토크쇼 같은 것도 진행해 보고 싶다고 한다. 시시때때로 돈과 싸워야 하는 영화사 대표로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가 산더미지만 하고 싶은 일, 만들고 싶은 영화, 계획하고 있는 즐거운 이벤트의 리스트는 끝없이 이어진다. 그를 보기만 해도 영화사 이름이 왜 ‘청년’인지 알 수 있을 것 같다.
글 김은형 기자 dmsgud@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