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한겨레에서 발췌 편집)

- 248번째 작품을 연출하는 김 피디는 1962년 한국 최초의 사극 〈국토만리〉를 시작으로 〈용의 눈물〉, 〈여인천하〉, 〈왕의 여자〉 등을 만들었다. 〈허준〉, 〈상도〉, 〈대장금〉으로 한류 사극을 일으켜 세운 이 피디는 사극 경력 30년에 이른다.

- 시청률 경쟁으로 치면 2001년 〈상도〉(15.4%)와 〈여인천하〉(33.3%) 대결에서 김 피디가, 2003년 〈대장금〉(46.3%)과 〈왕의 여자〉(7.6%)에서 이 피디가 이겨 1승 1패를 주고받았다. 3번째 결전을 앞두고 칼끝을 벼리는 두 연출자를 만났다.

- 그는 이 작품[김재형 피디의 <왕과 나>]에 현대적 감각을 최대한 많이 불어넣었단다. 폐비 윤씨(윤소화) 역의 구혜선, 성종 역의 고주원, 정현왕후 역의 이진 등 신세대 배우들을 대거 기용하고 바이올린과 국악기를 접목한 퓨전음악을 배경음으로 깔았다. 그래도 변하지 않는 것도 있다. 인물 클로즈업을 반복하는 촬영 방식은 변함없다. “내 사인 같은 것이다. 각 인물 간의 팽팽한 긴장감을 보여주고 시선을 고정하는 효과가 있다.”

무엇보다 지금까지 공개되지 않았던 내시들의 삶을 본격적으로 드러냈다는 점에서 신선했다는 평이다. 시청자 유제택씨는 “수염이 나서 탈락하고 우아한 자태를 인정받아 은 12냥에 팔리는 등 자세하게 묘사된 내시 선발 과정이 흥미로웠다”고 했다.

- 허준, 이재술, 장금 같은 역사서에서 희미했던 인물에게 구체적인 형상을 불어넣었던 그가 이번에는 역사적으로 생생한 정조대왕의 이미지에 의존하는 위험을 무릅쓴다. 정조는 단지 ‘콤플렉스 없는 그의 첫번째 주인공’일 뿐만 아니라 〈한중록〉(1988)을 시작으로 수없이 많은 사극에서 이미 묘사했던 왕이다. 그러나 이 피디가 20여권의 책에서 읽어낸 정조는 “인간적으로 완벽하면서도 항상 죽음의 위협에 쫓긴 왕이었다”고 했다. “사흘에 한번씩 암살시도를 당하고 매일 잠자리를 옮기는 인간을 상상할 수 있겠는가. 살아남으려는 노력을 그려내는 것만 해도 충분히 흥미로운 소재가 되리라”는 것이다.

-  “〈허준〉에서는 의술, 〈대장금〉에서는 식문화를 그렸다. 〈서동요〉 때 과학기술을 부각해 보려다 시청률이 떨어져서 그만뒀지만, 이번에는 그림 그리는 관청, 도화서가 주무대다. 반응이 좋으면 다음에는 조선시대 화가 이야기를 해보고 싶다.” 드라마와 전통문화를 한데 땋아내리는 것이 사극의 재미이자 장점이라는 생각은 변하지 않았다.

글 남은주 기자 mifoco@hani.co.kr, 사진 정용일 기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