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한겨레)

역시 한 걸음 물러서서 보면 더욱 명쾌하게 보이나 보다. 독일 괴팅겐대학에서 사회학·철학·역사·과학을 공부하고 카셀대학에서 사회학을 가르치고 있는 김덕영 교수가 쓴 〈입시 공화국의 종말〉(인물과사상)은 대한민국이라는 계급사회의 본질을 단도직입적으로 까발린다.

“서울대를 비롯한 이른바 명문 사립대들이 논술고사의 도입을 통해 진정으로 추구하는 바는, 한국 사회의 불평등 구조를 고착시키고 심화시키면서 그 지배적 패권집단을 공고히 유지하며 확대재생산하는 것 외에 아무것도 아니다. 그것만 할 수 있다면 어떠한 희생을 치러도 전혀 상관없다. 학생의 정신이 병들고 정서가 메마르고 육체가 성장하지 못해도, 가정의 살림이 거덜나도, 국가경제가 왜곡돼도, 그리고 사회가 분열되어도 알 바 아니다. 바로 그것이 학생들의 사고력과 창의력과 같은 고등정신의 측정이라는 그럴싸한 허울을 뒤집어쓰고 있는 것이다. 그것은 학생을 속이고 학부모를 속이며, 종내에는 사회 전체를 속이기 위한 허위의식이요 이데올로기다.”

문제의 핵심은 서울대를 정점으로 한 대학의 서열화, 이를 굳히기 위한 논술고사와 거기서 요구하는 ‘정답’ 찾기. 이제 이들 한국 사회 ‘엘리트’ 지배장치를 항구화하는 ‘입시 공화국’이 종말을 고하지 않으면 민주공화국 대한민국이 종말을 고해야 할 지경에 이르렀다.

논술고사는 프랑스의 바칼로레아나 독일의 아비투어를 흉내낸 것이긴 하지만 전혀 번지수가 틀렸다. 한국 논술은 “말이 주관식 서술형 또는 논술형이지 사실은 객관식이다. 아니면 주관식의 형태를 띠고 있는 객관식이다.” 왜냐? 바칼로레아나 아비투어처럼 자유롭고 주관적인 사유를 함양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강의시간에 적은 내용을 달달 외어서 주어진 시간에 얼마나 충실히 요령있게 베껴내느냐를 평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바칼로레아나 아비투어에는 ‘정답’이 없다. 자유롭게 자기 생각을 얼마나 창의적·합리적으로 펼쳐가느냐를 살피는 평가방식에 정해진 답이 있을 리 없다.
 
서울대 등 이른바 한국 ‘명문대학’들이 생각하는 논술시험은 ‘정답’을 설정하고 소수점 아래 수치까지 점수를 매겨 눈곱만한 차이라도 만들어내 등수를 매기는 것이다. 대단한 듯 얘기하는 ‘변별력’이라는 것도 결국 그 눈곱 차이를 근거로 줄을 세우는 장치에 지나지 않는다.

초·중·고교 수업은 객관식 외우기로 일관해놓고 대학입시는 갑자기 대학생에게도 가르치지 않는 ‘고담준론’을 주관식으로 써내라는, 양자간의 비유기적 이행이 초래한 현저한 간극을 메우는 것이 바로 사교육이다. 밤낮 입시만을 생각하고 기법을 개발해내는 학원강사가 프로라면 학교 교사는 아마추어다. 남을 죽이고라도 먼저 윗자리에 올라서야 하는 사회에서 평생을 결정해 버리는 대입에 목을 거는 수험생과 그 부모들이 프로를 더 신뢰하는 건 당연지사. 사교육이 번성하는 사회심리적 배경이다. 더 비싼 강사를 살수록 명문대 진학률은 높아진다. 공교육은 오히려 방해물이다. 개천에선 이제 용이 나올 수 없다.

그렇게 해서 대입시험이 끝나면 고교까지의 교육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대학교육도 끝이다. “한국 사회에서 대학이 존재하는 가치나 의미는 진리탐구도 전문교육도 아니다. 대학에 합격하는 것, 그것도 가능한 한 서열 피라미드 상층부에 속하는 대학에 합격하는 것 자체가 가치요 의미다. 대학에 입학함과 동시에 게임과 경쟁은 이미 끝났다. 그 결과 대학에서는 더 이상 공부할 필요가 없다.”

기득권층은 왜 망하는가? 예컨대 이런 모순구조에 대해 의문을 갖거나 본질을 간파하고 이의를 제기하는 학생들은 대부분 서열화 피라미드의 정점 서울대와 사립‘명문’대 진학은 포기해야 한다. 그런 일에 한눈팔아서는 ‘위험분자’로 낙인찍힐뿐더러 변별력 사다리에서 한치의 의심도 없이 돌진하는 학생들을 앞서기 어렵다. 그렇게 해서 기득권층은 오직 그들과 체제에 순응하는 자들로 재생산 구조를 짜겠지만 그렇게 해서는 누구도 문제를 지적하지 않고 모순은 심화될 뿐이다.

그들 속에서 10만명 100만명을 먹여살릴 기술자는 나올 수 있을지 몰라도 국가나 사회를 살리는 ‘인재’는 나오지 않는다. 진짜 인재를 기르려면 지금까지의 잘못된 ‘인재 이데올로기’를 버려야 한다. “한국 사회는 이제 ‘국가(사회)의 개인들’에서 ‘개인들의 국가(사회)’로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 … 국가나 사회가 해야 할 일은 교육을 통해 각 개인이 타고난 다양한 관심이나 개성과 특성 및 적성을 마음껏 발휘하고 발전시키도록 ‘산파’ 구실을 하는 것이고, 다채로운 능력과 역량을 갖춘 개인들을 조화롭게 조직하는 것이다. 바로 이들이 ‘인적자원’이 되는 것이고 ‘인재’가 되는 것이며, 국제경쟁력의 토대가 되는 것이다.” 이게 바로 김 교수가 지향하는 “조직화된 개인주의”다.

한승동 선임기자 sdhan@hani.co.kr사진 이종찬 기자 rhee@hani.co.k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