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한겨레)
제3회 맑스 코뮤날레 학술문화제가 오는 28일부터 사흘 동안 서강대 다산관에서 열린다. 코뮤날레는 비자본주의적 공동체를 뜻하는 코뮌과 격년의 의미인 비엔날레의 합성어다. 코뮌의 이상을 추구하는 격년제 축제란 뜻이다. 자본주의와는 다른 세계를 모색하는 비판적 사유의 ‘정신’이 함께 모여 연구 성과를 내놓고 그 현실 정합성과 이상의 높이 등을 따지는 대동 학술 축제라 할 수 있다.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한국만의 특수한 이벤트이다. 18개 단체 120여명의 연구자가 발표·토론에 참여한다.
이번 대회의 주제는 ‘21세기 자본주의와 대안적 세계화’이다. “오늘날 전지구적 자본화는 더 이상 외부를 용납하지 않”으면서 “국가는 초국적 자본의 대행자가 되어가고 있으며 자본의 이윤 증식의 욕망에 존재의 모든 가치와 생명력을 팔아넘기고 있다”고 주최 쪽은 규정한다.
‘공산주의론’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탐색들이 두드러져 보이는 것은 대회 주제를 감안할 때 자연스럽다. ‘코뮌적 생태문화사회’ ‘코뮨주의’ ‘21세기 사회주의를 위한 대안적 경제전략’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득재 <문화/과학> 편집위원은 발표문 ‘코뮌주의적 생태문화사회구성체 요강’에서 생태적 문화사회공동체를 대안사회로 제시한다. 그는 △상위체계에서 자본·국가 연합에 균열을 내어 사회공공성을 재구성해나가는 연대를 이뤄내고 △하위체계에서 지역평의회 및 협동조합 등을 통해 직접 민주주의를 확대하는 새로운 사회운동을 제안한다.
연구공간 ‘수유+너머’의 고병권 대표는 발표문 ‘대중이란 무엇인가:코뮌주의 신체론’에서 “코뮌주의 역사에서 대중은 대체로 대상화된 실체로 간주되어 왔다”면서 “실체가 아닌 ‘흐름(flux)’으로서의 대중 개념을 새롭게 정립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정정훈 ‘수유+너머’ 연구원은 글 ‘코뮌주의에서 능력의 개념’에서 마르크스의 능력개념을 잠재력과 협력으로 파악하고 이런 능력을 구현하는 코뮌이라는 새로운 사회의 구축운동을 ‘코뮨주의’라고 규정한다.
곽노완 경상대 사회과학연구원 연구교수는 사회전체 성원에게 기본생활비를 조건 없이 지불하는 ‘기본소득’ 담론을 확장시킨 ‘사회연대소득’ 개념을 제시한다. 그는 자본과 임대 소득을 폐기한 뒤 확충된 재원으로 사회 구성원 모두에게 균등분배할 경우 삶의 질 향상은 물론 소비가 늘면서 국내총생산도 증가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베를린 자유대 철학과 교수이자 국제헤겔연맹 의장인 안드레아스 아른트 교수는 논문 ‘시간의 경제’를 통해 “자본주의가 구조화하는 노동은 생산성 향상이라는 논리로 비노동시간을 노동시간에 종속시키고 있다”면서 “가치증식요구라는 ‘자본의 시간’으로부터 해방되어 ‘사회적 통제’ 아래서 최대의 비노동시간을 확보하고 그 것을 사용하는 법을 익히는 것이” 긴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에는 처음으로 20~30대 젊은 석·박사 연구자들이 참여하는 ‘영 코뮤날레’ 세션도 마련됐다. 이 세션에선 ‘성매매/성노동’과 ‘대학에서 맑스주의자로 살아남기’를 주제로 하는 자유포럼과 15개의 논문이 발표되는 개인토론회가 마련됐다.
코뮌주의 등 ‘공산주의론’에 대한 다양한 탐색이 이뤄진 데 대해 주최 쪽은 마르크스 연구자들의 자신감의 표출로 해석했다. 중앙대 교수인 강내희 집행위원장은 미국의 헤게모니가 위기를 맞고 있고 남미 8개국에 좌파 정부가 들어섰음을 상기시킨 뒤, “자본주의의 대안 세상에 대해 고민한 세력은 마르크스주의자밖에 없다”면서 “코뮌주의 등에 대한 탐색은 새로운 세상을 연구해 오면서 축적된 힘을 자신감과 함께 드러낸 것”이라고 말했다.
강성만 기자 sungma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