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한겨레)

소설가 신경숙(44)씨가 <바이올렛>(2001) 이후 6년 만의 새 장편소설 <리진>(전2권, 문학동네)을 내놓았다.

<리진>은 조선 말 고종 왕실의 궁중무희 출신으로 초대 조선 주재 프랑스 공사 콜랭 드 플랑시와 결혼해서 프랑스까지 건너갔다가 다시 귀국해서는 결국 자살로 삶을 마감한 비운의 여인 ‘리진’의 생애를 다룬 작품이다. 리진에 관한 기록은 콜랭에 이어 제2대 프랑스 공사를 역임한 이폴리트 프랑댕이 쓴 <프랑스 외교관이 본 개화기 조선>(태학사, 2002)에 ‘궁중의 기생들과 한 한국 여인의 비극’이라는 제목으로 간략하게 남아 있다. 작가는 불과 네 쪽 미만인 이 기록에 살을 입히고 피를 돌게 해 원고지 2200장 분량의 장편으로 재탄생시켰다. (* 이래서, 나는 역사소설이 좋다. 소설이 태어나는 과정도 그러려니와, 시간은 다르지만 무게는 같은 고민을 안은 그(녀)들이 애틋하다.)

“리진은 역사에서 거의 완벽하게 잊혀진 존재입니다. 봉건 질서에서 탈출할 기회를 얻었으나 근대의 문 앞에서 커다란 폭력 때문에 좌절하고 만, 그러나 우리가 기억해야 할 여자로서 리진을 그려 보려 했습니다.” 28일 낮 기자들과 만난 작가 신경숙씨는 “작품을 쓰는 동안 주인공 리진을 사랑하게 되었다”면서 “근대를 온몸으로 감당해 보려 했던 리진은 아름다운 여자”라고 말했다.

신씨는 1980년을 전후한 무렵 구로공단에서 산업체근로자로 일하면서 공부를 병행했던 체험을 소재로 한 <외딴방>, 그리고 동시대 젊은이들의 삶과 사랑을 그린 <기차는 7시에 떠나네>와 <바이올렛>과 같은 장편을 냈지만, 역사물을 쓰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그렇지만 그는 <리진>이 역사소설이라기보다는 현대소설로 읽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리진>을 쓰는 동안 문장과 문체에서부터 역사소설의 느낌을 배제하고자 애를 썼습니다. 100년 전의 이야기지만 요즘 독자들이 읽더라도 현재의 이야기로 느낄 수 있도록 말이지요. 리진에 관한 역사적 기록이 극히 적기 때문에 오히려 작가로서는 자유로운 측면도 있었습니다.”
그는 “소설 속 이야기가 내가 잘 알지 못하는 시대인데다 그동안 시대물을 쓴 적이 없기 때문에 다른 작품을 쓸 때보다 공력과 시간이 서너 배는 더 들었다”면서 “그래도 막상 탈고하고 나니 앞으로 다른 작업도 더 잘 할 수 있을 것 같은 에너지가 생긴 느낌”이라고 말했다. 그는 “<리진>을 쓰기 전에 먼저 손을 댔다가 이 소설 때문에 중단했던 장편을 곧 이어서 쓸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신경숙씨가 <리진>을 신문에 연재하기 시작할 때, 소설가 김탁환씨 역시 동일한 주인공을 다룬 소설 <리심>을 계간지에 연재하기 시작했다. 김씨의 소설은 지난해 9월 세 권짜리 단행본으로 먼저 나온 바 있다. 신씨는 “<리심>을 일부러 보지 않았다”면서 “그(=김탁환씨)는 그대로 잘 썼을 거라 생각한다”고 짧게 말했다.

글 최재봉 문학전문기자 bong@hani.co.kr, 사진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