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명정당에 대한 이론은 어떻게 변화 발전했고, 실제 어떤 현실의 부침을 겪었는지.
※ 추가할 논문으로 <러시아 반종파투쟁> <볼셰비키 당 조직론> <당 건설사> <우리의 조직적 과제에 관한 편지> <좌익소아병>
 |
「러시아 사회민주주의의 조직 문제」 (1904) : 레닌의 전위당 테제에 대한 비판 「대중파업, 정당 그리고 노동조합」 (1906) : 독일 노동계급에게 그 전해에 러시아에서 일어난 사거들의 의미를 설명하기 위해 집필한 논문. 대중의 자생성, 경제투쟁과 정치투쟁의 상호관계에 대한 강조.
|
 |
영국사회주의노동자당의 토니 클리프가 쓴 레닌 전기의 1부에 해당하기도 한다. 혁명정당 건설에 생을 헌신한 혁명가의 전기는 곧, 1860년대 소규모의 마르크스주의 학습써클에서 시작해 1914년 대중적 혁명정당으로 발돋움하게되는 볼셰비키당의 건설사이기도 하다. 당 건설을 둘러싼 일련의 사건흐름과 함께 매 시기 레닌의 치열한 활동을 옅볼 수 있다. |
 |
마르크스 - 레닌 - 로자 - 트로츠키 - 그람시에 이르기까지, 당 이론이 어떻게 변화 발전했는지 연대기순으로 볼 수 있고, 매 시기의 중요 사건들이 배경으로 등장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