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한겨레)

한국 사회는 미국 버지니아공대에서 일어난 총기 난사 사건을 ‘한국 문제’로 여기는 과민반응을 보였다. 그간 나온 분석들은 한국인의 유별난 민족주의·집단주의·숭미주의 등에 그 원인을 돌렸다. 상당 부분 동의할 수 있지만, 좀더 정교하게 따져볼 필요가 있다.
한국 사회의 과민반응에 대해 ‘과잉 민족주의’ ‘천박한 민족주의’ ‘집단적 죄의식’ 증후군 등의 비판이 제기되었는데, 과연 그런가? 민족주의와 관련은 있지만 민족주의가 원인은 아니다. 한국인의 세상에 대한 인지 방식의 독특성에 주목하는 게 문제의 핵심을 짚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한국인은 범주화 능력이 매우 탁월하다. 그 능력은 기질로까지 발전했다. 이는 불확실성에 대해 강한 거부감을 지니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한국인은 사람을 처음 만났을 때 상대방의 나이, 고향, 출신학교 등 신상명세에 대해 매우 궁금해한다. 그런 기본 정보로 상대방을 어떤 범주에 귀속시키지 않으면 불편해하다 못해 불안증세마저 보인다.
그런 기질엔 명암이 있다. 일을 처리하거나 인간관계를 발전시키는 데서 신속을 기할 수 있는 반면, 편견과 ‘편가르기’가 발휘되는 토양이 된다. 세계에서 가장 빠른 근대화를 이루는 과정에서 한국인들의 속도에 대한 숭배는 체질로 굳어졌기 때문에 그 어떤 부작용에도 이 ‘범주화 게임’은 지속되고 있다.

한국인들이 그런 독특한 기질을 갖게 된 건 인구의 사회문화적 동질성, 일극 집중구조, 높은 인구밀도 때문이다. 한국 사회에서 그 어느 범주(편 또는 패거리)에도 속하지 않은 채 홀로 살아간다는 건 매우 어려운 일이다. 비정규직과 프리랜서에 대한 지독한 차별도 바로 그런 문화의 산물이다.

비슷한 참사가 국내에서 일어났다고 가정해보자. 사람들이 범인의 출신지역과 학교를 안 따질 것 같은가? 무슨 나쁜 뜻이 있어서 그런 게 아니다. 거의 본능이다. 이는 집단주의와 비슷하지만 집단주의는 아니다. 한국인은 강한 집단주의 기질을 갖고 있지만 동시에 집단이익보다는 개인·가족 이익을 앞세운다. 반쪽짜리 집단주의라고나 할까. 이는 서양에서 개발된 ‘개인주의-집단주의’ 모델로는 포착이 안 되는 한국적 특성이다.
한국인들의 집단주의·민족주의가 강하다고 하지만, 집단·민족에 대한 충성도는 높지 않다. 충성도는 낮은 반면 범주에 대한 인식도만 높을 뿐이다. 즉 세상에 대한 인지 방식의 문제인 것이다. 한국인의 ‘냄비근성’이라는 것도 실은 ‘인지’와 ‘충성’ 사이의 괴리로 말미암아 나타나는 현상이다.
왜 이민 1.5세대를 한국인으로 보는가? 범주화 기질에 따라붙기 마련인 본질주의 성향 때문이다. 한국인의 천성이 된 연고주의도 바로 그런 본질주의에 근거하고 있다. 연고를 본질로 보고 그것에 큰 의미를 부여하는 한국인의 일상적 삶의 태도는 철저하게 자기 이익 중심이라는 점에서 집단주의와는 다른 것이다.

이번 사건에 대한 과민반응이 애국·애족심 때문이었을까? 그런 점도 있겠지만, 이미 모든 국면에서 미국화된 한국 사회의 미국 의존도가 그만큼 높다는 걸 웅변해주는 걸로 보는 게 더 타당할 것이다. 막연한 숭미주의를 넘어서 미국에서 일어나는 사건 하나하나가 나와 내 가족의 실질적인 이해관계에 큰 영향을 끼치는 국면으로 접어들었다고 보는 게 옳다는 것이다. ‘미국 유학 10만명 시대’와 최근의 ‘토플 광풍’이 말해주듯이, 이제 서울에선 국내 지방 도시보다는 미국의 도시에서 일어난 일이 더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었다. 한-미 자유무역협정 추진의 과정과 절차가 ‘통상독재’라는 말을 들을 정도로 반민주적 작태로 일관했는데도 의외로 지지를 보내는 사람들이 많은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한국인의 집단주의·민족주의 비판은 필요하거니와 바람직하다. 그러나 나의 ‘범주 집단’은 알뜰하게 챙기고 관리하면서 그런 비판을 하는 건 위선이다. 한국인은 범주화 기질 때문에 공정성에 매우 취약한 국민이다. 개인별 평가보다는 이른바 ‘범주 등급제’가 제공해주는 과정·절차 축소의 비용절감 효과를 더 높이 평가한다. 개인을 개인으로 볼 수 있는 공정성을 확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전북대 교수·신문방송학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