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6회 인디다큐페스티벌에서 네 편의 영화를 볼 생각입니다. (각각의 상영일이 모두 떨어져 있어 무척 난감하군요.) <글래스톤베리>를 제외한 나머지 작품들은 모두 (나와) 다른 삶, 소수자의 삶 이라는 다큐멘터리 고유의 매력 때문에 선택한 것이구요, <글래스톤베리>는 '축제' 라는 내용 자체도 흥미롭지만, 개인적으로 이번 문화센터 강좌에서 기획하려는 작품과 맞닿는 부분이 있어, 촬영기법이나 이야기 전개방식을 유념해서 보려고 합니다. 아래는 공식 홈페이지에서 제공하고 있는 시놉시스와 감독에 대한 소개입니다. 크레딧을 비롯한 몇몇 부분은 임의로 편집했습니다.

-----------------

(츨처: 인디다큐페스티벌 공식 홈페이지)

<글래스톤베리 Glastonbury>
감독 : 줄리언 템플 / 영국 / 컬러 / 138분
     
[시놉시스] 1970년, 마이클 이비스라는 젊은 농부는 1,500명의 사람들로 하여금 1파운드의 가격에 주말 내내 팝과 포크 가수들의 공연을 볼 수 있도록 150에이커에 달하는 자신의 농장을 개방했고 그것은 글래스톤베리 음악축제가 탄생하는 순간이 되었다. 다음해, 윈스턴 처칠의 손녀를 비롯한 몇몇 돈 많은 히피들은 이 이벤트가 커질 수 있도록 기금을 모았고, 12,500명의 사람들이 존 바에즈와 데이빗 보위를 보기 위해 몰려들었다. 지난 30년 동안 글래스톤베리의 이 부유한 농장은 7월말 가장 더운 주말에 수천의 사람들이 광적인 야외 콘서트를 즐길 수 있도록 장소를 제공해왔다.

줄리안 템플 - 섹스 피스톨즈를 조명한 다큐멘터리 를 연출한- 감독은 글래스톤베리 축제가 담긴 모든 촬영분을-니콜라스 로그의 다큐멘터리 작품(1971)부터 참가자들이 직접 찍은, 수년간 다락방이나 벽장 속 구석에 묵혀져 왔던 홈비디오들까지- 수집하기 위해 지난 몇 년을 고생해 왔다. 이것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영화 <글래스톤베리>는 즉흥적인 예술행위들, 그것을 곱지 않은 시선으로 바라보는 지역 주민들, 신화적인 뮤지션들의 잊을 수 없는 공연은 물론, 세대를 거쳐 내려온 젊은 음악팬들의 주체할 수 없는 에너지까지 아우르며 세상에서 가장 오랫동안 지속되어온 음악 페스티벌의 연대기를 솜씨 있게 엮어내고 있다.

[감독] 줄리언 템플. 1953년 런던 출생. 줄리언 템플은 ‘로큰롤 영화계의 <시민 케인>’이라는 찬사를 받은 <위대한 로큰롤의 사기>(1979)로 데뷔하여, 뮤지컬과 음악다큐멘터리는 물론이고, 롤링 스톤즈, 데이빗 보위, 믹 재거 등의 뮤직비디오 연출에서도 두각을 나타냈다. <글래스톤베리>는 2006년 선댄스 다큐멘터리 부문 심사위원 대상을 수상했다. <위대한 로큰롤의 사기>(79), <완전 초보>(86), <비고>(98), <글래스톤베리>(2006)

<쿠바, 천국의 가치 Cuba, the Value of Utopia>
감독 쟈나라 구아쟈사민 Yanara Guayasamin / 2006 벨기에, 에콰도르 / 칼러 / 116분 
     
[시놉시스] 현재 쿠바는 1959년 카스트로 혁명 이후 이루어졌다. 영화의 초중반부는 카스트로를 포함한 혁명의 목격자들의 증언으로 구성되어 있다. 영화는 민중들 속 개인의 삶을 깊숙이 파고 들어가는데 덕분에 혁명에 대하여 발설되지 않았던 섬세한 이야기들을 들을 수 있다. 구술 기록을 통하여 다양한 쿠바인들이 압제와 폭력, 체포, 납치, 탈출의 과정을 겪었음을 알 수 있다. 더불어 산에서 이루어진 게릴라 작전과 아바나에 입성하게 된 과정 등 혁명 당시의 생생한 삶을 쿠바 혁명의 전후세대들에게서 직접 들을 수 있다. 이러한 증언들은 현재 쿠바의 고요하고 아름다운 풍경을 보여주는 자료화면들과 조화롭게 어우러진다.

영화의 종반부에서는 혁명세대 쿠바인들이 회고하는 혁명 이후 47년간의 상황이 펼쳐진다. 쿠바인들은 화려한 삶을 살고 있지는 않지만, 소련 공산주의의 몰락을 지켜보면서 이데올로기적 슬로건이 아닌 구체적인 요구로서 공산주의에 대한 믿음을 버리지 않고 있다. 자유의 대가는 너무나 비싸지만 그들은 미국이 전 세계에 강요하고 있는 값싼 소비사회와 자신들의 고귀한 삶을 맞바꿀 생각이 추호도 없다.

[감독] 쟈나라 구아쟈사민은 인류학, 생물학 그리고 정보과학을 전공했고 그 후 브뤼셀에 있는 I.N.S.A.S. 학교에서 영화 연출을 공부하였다.  (1988-92) 그녀의 첫 다큐멘터리 작품인 <죽음이 우리를 방문했을 때 When Death Visited Us>는 포스트 프로덕션부분에서 세계 카톨릭 교류 협회 (OCIC)가 증정하는 SIGNIS 상을 수상하였다.  이 작품은 비평가들로부터 평을 받으면서 칠레, 콜럼비아, 에쿠아도르, 스페인, 파나마, 페루에서 상영되었고 뉴욕에서 상영된 때에는 CinemaFe에서 수여하는 황금사과상(Golden Apple)을 수상하였다. 에쿠아도르에서 찍은 <천년의 직업들 Millenary Jobs>은 촬영부분에서 Ernesto Alban 상을 안겨주었고 다른 단편 모음인 <테이블 The Table>로 Augustin Cuesta Ordonez 상을 수상하였다. “Jusqu'au silence”는 벨기에, 이스라엘, 프랑스, 캐나다, 스페인 그리고 멕시코에서 상영되었으며 쿠바 영화제에서 실험적 영화부분 첫 Diva 상을 수상하였다. 쟈나라는 칠레의 발디비아 국제 영화제(Valdivia International Film Festval)와 콜롬비아의 Bogocine 영화제에서 초청 심사위원직을 수행하였다.  또한 캐나다의 세계 여성 영화제 (Mondial des films de femmes)과 에쿠아도르의 Watch out for Democracy 그리고 Cinememoria 영화제의 심사위원으로 선정되었다.  그녀는 현재 독립영화사 루시에르나가 필름의 감독이자 창립자로써 활동하고 있다. 

<영매: 산자와 죽은자의 화해 Mudang-Reconciliation between the Living and the Dead>
감독 박기복 / 2002 한국 / 105분 / 컬러     

[시놉시스] 먼 옛날 한국 무(巫)는 국가와 백성의 안녕을 주관하는 제사장이었다. 하지만 아직도 이 땅 어디선가에서 한국 무(巫)는 옛 흔적을 간직하고 있다. 이 작품은 경북 포항의 동해안 별신굿 풍어제를 시작으로 한강 이남의 세습무와 중부의 강신무 무당을 아우르면서 보여준다. 그리고 진도의 씻김굿을 당골 자매의 이야기를 통해, 한국 무(巫)가 산 자와 죽은 자 사이의 화해에 이르는 여정을 그려내고 있다.

"수천 년 이어져 온 한국의 무(巫)는 우리 삶의 한 부분을 이루고 있다. 무를 이해하는 것은 우리 밑바닥에 흐르는 종교적 심성에 다가서는 일이다. 하늘과 땅, 그리고 선조들의 음덕(陰德) 안에서 모두 하나(大同) 되어 한 판 멋들어진 영(靈)의 축제를 벌여 보는 것, 그것이 본 작품의 소망이다. 죽음을 통해 삶을 이해했던 무적(巫的) 사유 안에서는 한과 원, 그 모든 기억의 상처들에서 우리가 조금은 자유로와질 수 있지 않을까..." (감독 노트 중에서)

[감독] 박기복. 1994년부터 95년까지 푸른영상에서 작품 활동을 했다. <행당동 사람들>(1994), <우리는 전사가 아니다>(1994)를 연출했다. <냅둬>(1999)는 제3회 서울다큐멘타리 영상제에서 대상을 수상했으며 제15회 뮌헨국제다큐멘타리 영화제에서 상영되었다. 

<192-399: 더불어 사는 집 이야기 192-399: The Story About the House Living Together>
감독 이현정 / 2006 한국 / 126분 / 컬러
     
[시놉시스] 2005년 10월부터 2006년 2월까지, “희망을 만드는 노숙인 생산공동체”를 모토로 하는 노숙인공동체 [더불어 사는 집]은 서울 정릉의 빈 집을 점거해서 함께 모여 살았다. 더불어 사는 집의 식구들은 무료급식사업을 하는 등 스스로의 노력으로 사회에 되돌아가겠다는 의지와 희망으로 충천했다. 그리고 유난히 추위가 가혹했던 겨울을 보낸 후, 더불어 사는 집의 면모는 상당히 바뀌게 된다.

"한국 사회에서 집을 잃는다는 것은 일을 잃고 희망을 잃고 자존감을 잃는다는 의미이다. 빈집 점거를 통해 삶의 희망을 얻고자 했던 노숙인들의 일 년을 관찰하면서 인권은 주제가 아니라 태도임을 상기하게 된다. “무엇을 할 것인가” 가 중요했던 시기가 있었다. 이제는 “어떻게 할 것인가”가 중요한 시기이다. 그래야 “왜 하는가”의 질문에 제대로 대답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감독 노트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