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한겨레)

강릉 정동진(〈모래시계〉), 춘천 남이섬(〈겨울연가〉), 제주 섭지코지(〈올인〉)…. 드라마에 나와 더욱 유명해진 관광 명소다. 방송이 끝난 뒤에도 인기가 이어지는 경우가 많아 티브이 덕을 톡톡히 봤다. 6일 인기리에 막을 내린 〈주몽〉의 촬영지인 전라도 나주도 마찬가지다. 6일 나주시는 “지난해 7월부터 지금까지 주몽 촬영지인 공산면 신곡리의 삼한지 테마파크를 찾은 관광객이 65만명에 달했다”며 “직·간접적인 경제적 효과가 730억원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런 ‘티브이 홍보효과’ 덕분에 지방자치단체에서 드라마 협찬에 열을 올리고 있다. 〈외과의사 봉달희〉(사진)에서 봉달희(이요원)의 고향이자 달희와 안중근(이범수)이 처음 만나는 곳은 왜 울릉도였을까. 울릉군청에서 장소 협찬과 제작비 4억원을 지원했기 때문이다. 울릉군청 문화관광과 관광개발담당 이경철씨는 “울릉도를 찾는 관광객이 1년에 19만~21만 정도인데 올해에는 드라마 덕분에 23만~25만까지 늘어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21일 전파를 타는 〈마녀유희〉 제작사는 서울시와 업무제휴를 했다. 이 드라마의 제작사인 제로원인터랙티브의 홍보팀 강관우 실장은 “서울시로부터 남산 타워 등 장소 협찬, 촬영 절차에 대한 행정적 지원 등을 받고 있다”고 했다.

국외 로케이션이 늘다 보니 관광청의 협찬도 많다. 〈나쁜 여자 착한 여자〉, 〈내 사랑 못난이〉는 북마리아나제도 관광청, 〈게임의 여왕〉 〈눈의 여왕〉은 뉴질랜드 관광청의 협찬을 받아 촬영을 했다. 북마리아나제도 관광청 홍보팀 한채희씨는 “방송을 타면 비수기 때도 관광객이 늘어난다”고 귀띔했다.

협찬에 따라 배경이 달라지는 경우도 있다. 1월9일 막을 내린 드라마 〈눈꽃〉의 박진우 작가는 “다미(고아라)가 아버지 유건희(이재룡)를 찾아가는 장면을 원작처럼 일본의 도쿄에서 담으려고 했지만 현지 사정상 어려웠다”며 “다행히 미야자키현 관광청의 협찬을 받아 그곳으로 장소를 바꿨다”고 말했다. 〈사랑에 미치다〉 역시 원래는 규모가 큰 인천이나 김포국제공항을 배경으로 그리려고 했다가 청주국제공항의 협찬을 받아 장소를 바꾼 경우다.

한편 협찬을 하는 업체와 제작사 간에 분쟁이 일어나기도 한다. 외주제작사 한 관계자는 “협찬 계약서 내용이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다. 해석상 모호한 점이 많다”며 “드라마가 시청률이 낮은 경우 지원금을 내놓으라는 곳도 있다”고 했다.

협찬사에 따라 내용이 달라지거나 제약을 받는 부분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 김원 문화평론가는 “이야기가 비슷비슷한데 배경으로 차별화를 꾀하려기보다는 작품의 완성도로 승부해야 한다”고 충고했다.

허윤희 기자 yhher@hani.co.k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