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원한 제국
박종원 감독, 안성기 외 출연 / 네오센스 / 2003년 5월
평점 :
품절
- 오래 전에 스크랩 해두었는데, 최근에 영화의 원작을 쓴 '이인화' 라는 이름을 다시 대하면서 뒤늦게 보게됩니다. 조선후기 정조를 배경으로 하고 있고, 주된 갈등 구조는 왕과 신하의 권력 다툼입니다. 교과서에서는 나름대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 사림의 붕당 정치가, 숙종 이후 수차례의 사화를 동반하는 일당 독재로 나아가게 되고 이 과정에서 서인이 독재. 남인은 완전히 몰락하게 됩니다. 서인은 영조를 둘러싸고 소론과 노론으로 나뉘어져 또 한 차례의 사화를 치루며 노론 독재를 시작한 반면, 몰락한 남인은 예의 사림의 기반이었던 서원을 바탕으로 지방에 암약, 양명학을 연구하면서 그 중 일부가 '서학'이라 불리우던 천주교도가 됩니다.
- 노론의 일당 독재는 사도세자 사건을 계기로 다시 한번 시파와 벽파로 나뉘어지게 되고, 사도세자의 아들이었던 정조가 왕위에 오르면서, 사도세자를 옹호했던 시파와 남인 그리고 벽파가 서로 대립합니다. 알려졌다시피, 정조는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여러 정책을 부렸지요. 규장각을 단순히 학문 연구기관 이상으로 확대하고, 과거에 합격한 사람에게 다시 한번 왕이 주관하는 교육을 실시하던 초계문신제를 실시하며, 친위부대 장용영을 설치했습니다. 그리고, 이것이 노론의 반발을 삽니다.
- 흥미로운 것은, 안경을 쓰고 어전회의를 주관하는 정조가 서양의 시민혁명에 대해서 언급하는 부분입니다. 물론, 그가 꾀했던 '영원한 제국' 이란, 붕괴하기 이전의 황제정이었지요. 그는 신분질서와 정치의 혼란 속에서, 서얼과 노비에 대한 차별을 줄이거나 없애기 위해 노력했는데, 이것은 봉건질서 자체에 대한 문제의식이라기 보다는, 강력한 왕권을 세우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보여집니다. 정조는 이러한 정책들을 바탕으로, 마지막 걸림돌이었던 노론을 관직에서 내몰기 위한 음모를 꾸미고, 영화는 이것이 실패로 돌아가는 과정을 다루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