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사 교과서를 꽤나 증오했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책상과 의자가 빽빽하게 들어찬 고등학교 교실에 앉아있을 때가 그러했고, 계급투쟁이라는 하나의 잣대로 세상을 새로이 바라보던 시절이 그러했습니다. 조금 더 시간이 지나고 나니, 이제 교과서도 하나의 책일 뿐이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그것도 다른 책과 하나 다를 바 없이, 필자 집단과 필자 집단의 관점이 녹아있는 책이라는 것이죠. 교과서에 대한 판단이 변한 것이 아니라, 교과서를 바라보는 감정의 응어리가 풀리는 순간이었습니다. 그리고, 재미있어졌습니다.

- 다소 딱딱한 필체이지만, 교과서도 나름의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읽기는 어렵지만, 찾기 쉽게 쓰여졌다고 할까요. 정치, 경제, 사회, 문화로 나뉘어 쓰여져있는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는, 이야기를 포기하는 대신 전체를 조망하는 편리함을 택한 것이죠. 하지만, 전자와 후자는 택일의 문제가 아니라는데에 아쉬움이 있습니다. 오히려 전후관계라고 생각해요. 분석과 종합이라는 방식은, 어디까지나 분석되고 종합될 대상이 필요한데 그것이 이야기이니까요. 초등학교, 중학교 교과과정에서 충분히 이야기를 전달한 다음이라면 전혀 문제될 것이 없겠지만, 이미 여러차례 국사 교과서를 공부한 스물여섯 한국청년이 이야기에 목말라 대하소설이며 역사영화 데이터베이스를 뒤적이는 꼴이란.

- 영화의 배경이 되는 20세기 초반은, 한국 근현대사의 시작이기도 합니다. 메이지 유신을 통해서 자발적으로 - 엄밀하게 따져 자발적이라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 서양의 문물을 받아들인 일본과 달리, 조선과 청은 그렇지 못했다는 점에서 서로 비슷합니다. 그 결과는, 무력을 앞세운 침략이었고 지배와 통치였습니다. 그리고, 강요된 변화가 가져온 것은 - 변화의 방향이 옳고 그름을 떠나 - 가치관과 사회의 급격한 변화였죠. 이 점에서 조선과 청이 나아갈 길은 크게 다르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1919년 3/1 만세운동이 일어나던 해에 역시 중국에서 5/4 운동이 일어나고, 이 흐름이 1931년 만주사변으로 인해 한중 독립군의 연합작전으로 모아졌다고 본다면 너무 지나친 일반화일런지요. 하지만, 아무리 주인공이 조선이고 대한제국이며 한국인 국사 교과서라고 해도, 중국은 조연으로서의 자리매김도 확실하게 하지 못한 것 같습니다. 종종 국제정세, 대외정세로 다루어지고 있긴 하지만, 마치 일인다역을 하는 이름 없는 조연배우 마냥 느껴진다면 좀 지나친 표현일까요.

- <마지막 황제>는 중국의 마지막 왕조 '청' 의 황제 '푸이' (이름과 지명은 원어 발음 그대로 쓰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의 일생을 다루고 있습니다. 국사 교과서에는 '만주국의 허수아비 국왕' 이라고 짧게 다루어졌던 그였죠. 그의 일생을 연기하는 배우가 유아시절, 청소년 시절, 장년기까지 모두 세명이라는 점이 상징적입니다. 유아시절의 그는 찬란한 중국왕조의 황제(1908년 즉위)였고, 청소년 시절(1911년 신해혁명)의 그는 자금성만의 황제였으며, 장년기(1924년 일본공사관 피신)의 그는 그저 명망있는 중국인일 뿐이었습니다. 새로운 시대는 지나간 시대의 최정점에 서있던 이를 가장 먼저 스치고 지나갔으며, 그만큼 가장 멀리 멀어져갔던 것이죠. 황제 푸이가 1911년 신해혁명과 함께 해체된다면, 인간 푸이의 해체가 1924년 군벌들 사이의 펑톈즈리 전쟁과 함께 자금성을 나오면서 부터 시작됩니다. 그는 혼란스러운 국내 상황에서 일본공사관을 선택한 것이죠. 이러한 그의 선택은, 1931년 만주사변 이 후, 만주국 황제로까지 이어지면서 그를 전쟁범죄자로 만들게 됩니다. 그는 1945년 일본 패전 이후 소련군에게 체포되어 1959년 특사로 풀려나올 때 까지, 오랜 감옥생활을 하였습니다. 그는 문화대혁명이 일어나던 1967년 사망합니다. 전쟁범죄자인 자신을 심문하던 공산당의 간부가 죄인으로 몰려 뭇매를 맞던 시대였습니다.

- 영화를 제작한 이탈리아 감독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는, 훗날 발간된 푸이의 자서전 <나의 전반생>을 원작으로 했다고 합니다. 그는

- 7살의 나이에 황제에 오른 푸이는 수많은 환관과 시종 시녀 요리사들에게, 그리고 무엇보다 넓고 높은 자금성의 벽에 둘러쌓여 있었습니다. 이내 나갈 수 없도록 된 자금성의 벽은, 그에게 담장 이상의 것이었겠죠. 그는 푸이이기 이전에, 황제 푸이였을 수 밖에 없었습니다. 그의 인생을 비극적으로 마감시킨 일본공사관으로의 선택 역시, '황제 푸이'의 결정이었습니다.

- 동정적인 시선: 어린 나이에 황제가 되었다, 자금성에서 벗어나고 싶었지만 그럴 자유를 허락받지 못했다, 1924년 펑톈즈리 전쟁 이후 국민당의 종묘 도굴, 내내 멍한 표정, 일본 내무대신들의 농간, 등 

- 비판적인 시선: 권력에 집착하는 그의 선택, 신발끈 조차 매지 않음

"내가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할 수 있는거지?" 라며 환관들에게 목욕물을 뿌려대던 유아시절 이후, 그에게서 웃음은 사라집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