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의 누 - 동양문학 7
이인직 지음, 권영민 교열해제 / 서울대학교출판부 / 2001년 2월
평점 :
품절


- 신소설, 최초의 근대 소설이라기에 한번 읽어봤습니다. 70여쪽 남짓한 분량인데, 책장을 덮으니 아쉬운 마음이 컸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새롭다' 는 경계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아직 모르기 때문입니다. '새롭지 않은' 소설을 좀 더 읽어두었어야 했는데요.

- 결국, 교열을 맡은 권영민님의 도움을 받았습니다. 형식적인 면과 내용적인 면 모두에서 차별이 되더군요. 우선, 형식적인 면을 보자면, 말하는 이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줄어든다는 점인데요, 대화체나 '~하더라' 라는 방식의 서술이 그것입니다. 이러한 형식은 내용에도 그대로 반영되어 주인공의 주체적 태도로 표현됩니다.

- 신소설의 새로움이란, 당시의 시대적 배경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는 것이 평론가들의 설명입니다. 조선에 대한 식민지배를 합리화하고자 했던 일본의 이데올로기라는 것이죠. 일본의 생산양식과 문화에 대한 강조는 곧 조선의 그것에 대한 비하였습니다. 따라서, 신소설 주인공들의 주체적 태도란, 기존 조선사회의 가치들을 부정하는 것으로 표현되구요. 아예 노골적으로 일본이나 미국의 도움을 받기도 합니다. 

- 참고로 저자 이인직은 적지 않은 나이에 일본에서 유학하고, 조선에 돌아와 송병준 이용구의 도움으로 신문사를 운영했다고 합니다. 이 신문사들의 논조를 충분히 짐작해 볼 수 있는 대목인데, <혈의 누> 역시 이 신문에 연재되었던 소설입니다. 친일의 이데올로기 내지 계몽의 수단으로 활용된 것이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