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 하느님
조정래 지음 / 문학동네 / 200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기구한 운명이란 이런 삶을 두고 하는 말일 것이다. 아니, 이 책의 주인공 신길만의 삶은 너무도 기가 막혀 그 말을 붙이는 것도 망설여진다. 읽는 내내, 정말 이런 삶이 가능했을까 궁금했다. 나찌 군대에 복무한 조선인, 신길만. 식민지 조선에서 태어나 일본군에서, 소련군으로, 독일군으로, 끝에는 미군의 포로로, 군인과 포로의 신분을 번갈아 가며 유라시아 대륙을 횡단하여, 또 대서양을 건너 미국으로 갔다가 다시 소련으로 넘겨져 처형당하는 한많은 인생 여정. 조정래의 소설은 늘 실제로 벌어진 역사적 시공간 속에서 있었을 법한 삶을 탁월하게 그려낸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없는 얘기를 꾸며낸 것 같지는 않았다.

 

나의 이 의문은 책 뒤의 해설을 읽으면서 쉽게 풀렸다. 노르망디 상륙작전 당시 미군에게 붙잡혔던 동양인 독일군 포로의 사진에 대해 언급하는 해설은 이 인물에 대한 추측이 몇 년전 부터 인터넷에서 유행하였고, 결국은 방송사 다큐멘터리로 제작되었다는 사실을 알려줬다.

 


노르망디의 코리안

 

몇년전 방영되었던 SBS 스페샬 2부작 노르망디의 코리안을 찾아보았다. 그러면서 역사적 사실에 대한 나의 궁금증은 풀렸지만, 이 소설에 대한 감탄은 반감되었다. 처음에 사진만 보았을 때에는, 어떻게 저 한 장의 사진을 갖고 한 권의 장편 소설을 쓸 수 있는지, ‘역시 조정래라고 생각했었는데, 그 다큐멘터리를 보면서 소설을 너무 쉽게 쓰신 것 아닌가 하는 생각까지 들었다. 결코 폄하할 마음은 없다.

 

조정래는 조정래다. 약소 민족의 한, 민초들의 고생스러운 삶, 정겨웠던 농촌 고향과 남겨진 가족에 대한 그리움, 그리고 남자들의 음담까지도 예전과 똑같다. 역사를 이렇게 탁월하게 형상화할 재주가 있는 이가 또 누가 있을까? 그런데 늘 되풀이되는 주제들이 이제 좀 불편하다.

 

이 소설이 펼쳐지는 20세기에서 가장 야만적이었던 시대를 거쳐 민족주의는 전지구적으로 확립되었다. 민족은 강자의 논리였지만, 또 동시에 그것에 저항하는 약자의 논리이기도 했다. 비교적 짧은 몇 년동안 목숨 보전을 위해 3개국의 군복을 입어야 했던 신길만의 인생은 약소민족의 비애를 표상하는 것일 수도 있지만, 한 사람의 목숨 앞에 민족은 그렇게 중요한 것은 아니라는 역설적인 결론에 도달하게 한다. “국기에 대한 맹세민족해방슬로건도 없는 세상에 살고 싶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7-06-13 22:25   URL
비밀 댓글입니다.

에로이카 2007-06-13 22: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님... ^^ 저도 그 문제를 좀더 생각해보긴 해야 해요.. 국제결혼율이 15%에 육박하는 세상에 주변의 외국인 노동자들을 보면 '민족' 담론은 참으로 짜증나기도 하지만, 오늘날에도 일본국적과 분단된 남북한 국적 모두를 거부하며 '조선'이라는 민족적을 유지하면서 차별을 감수하고 있는 재일조선인들을 보면 '민족' 문제가 결코 쉬운 문제가 아니거든요. 민족해방 구호 없는 '반미'를 고민할 때입니다. 오늘이 미선 효순 5주기이군요.

2007-06-14 20:33   URL
비밀 댓글입니다.

에로이카 2007-06-15 11: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님.. 이 리뷰가 호기심을 자극했다니 의외인걸요.. 어쨌든 그 다큐멘타리는 꽤 잘 만든 것 같더라구요. 감사합니다. ^^

rosa 2007-06-18 18: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살까 말까 망설이다 서점에 서서 봤는데요. sbs스페셜 탓인지 별로 감흥이.. --; 오랜만에 시내 나가서 책 뒤적이는 재미는 좋았습니다. ^^

에로이카 2007-06-19 11: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rosa님 그러셨군요. 그 다큐멘터리를 봤다면, 이 책을 볼 필요는 없을 것 같아요. 알라딘 덕인지, 요즘은 서점에서 책을 뒤적일 일이 전혀 없군요. 더운 여름 즐겁게 보내시기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