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계사라는 참을 수 없는 농담 - 짧지만 우아하게 46억 년을 말하는 법
알렉산더 폰 쇤부르크 지음, 이상희 옮김 / 추수밭(청림출판) / 2017년 7월
평점 :
아인슈타인이 수학을 못했다는 게 이상하긴 했다. 실험물리학자보다 사고실험에 더 치열할 이론물리학자가 수학을 못했다고? 아인슈타인에 대한 오해 외에도 이 책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상식으로 알고 있는 걸 깨는 정보가 많다. 콜럼버스는 대서양을 최초로 횡단한 유럽인도, 미국을 처음 발견한 사람도 아니다. 심지어 미국 본토도 밟지 못했다고 한다. 진실은 책에서ㅎ/ 이건 지금 당장 구글을 검색하면 되지만 이보다 더 많은 것들이 있는데 궁금하지 않음? 마젤란도....
아쉬웠던 건 본문에서 저자가 제시하는 Top 10 분류 항목에 동의하기 어려운 것들이 많다. 가끔 웃기려고 이렇게 분류한 건가 싶은 것도 있고ㅎ; 스스로 밝혔다시피 깨부수고 핵심을 찾는 세계사 책이라기보다 인문학적 생각 깨기 책에 가깝다. 본서 핵심 내용보다 닫는 말에 부록처럼 밝힌 이런 상식 교정이 내겐 더 유익했던 교양 도서^^
아인슈타인은 수학을 못했다?
사람들은 이 사실을 들먹이며 스스로를 위로한다. 하지만 그것은 사실이 아니다. 아인슈타인이 여러 수학시험에서 나쁜 점수를 받았다는 소문은 이미 그의 생전에도 있었다. 그는 그 같은 신문기사에 이런 반응을 보였다. "나는 수학에서 어려움을 겪은 적이 없는데, 이미 14세 때 미적분에 재미를 느꼈다." 실제로 그는 6세 때 뮌헨의 페터스슬레 학교에서 일찌감치 두각을 나타냈다. 그의 어머니는 자신의 여동생에게 이런 편지를 보냈다. "어제 알베르트의 점수가 나왔어. 이번에도 1등이야. 훌륭한 성적표를 받았단다." 두 학년을 건너 뛴 아인슈타인은 9세 때 뮌헨의 명문 루이트폴트 김나지움에 입학했다. 하지만 권위주의적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15세 때 조기에 자퇴해 졸업시험인 ‘아비투어‘ 없이 종합기술대학의 물리학과에 입학을 시도했다. 뛰어난 재능 덕에 그는 입학시험을 치를 수 있었다. 하지만 물리학과 수학 시험은 매우 우수했던 반면 지질학 등 다른 시험 과목의 성적이 썩 좋지 못해 결국 시험에 떨어졌다. 이후 1년간 아라우Aarau(스위스의 아르가우Aargau)의 주립학교에 다니며 정식으로 대입 자격을 취득하면서 1896년 10월에 비로소 연방공과대학에서 학업을 시작했다. 그를 둘러싼 소문에는 오해도 한몫을 했을 것이다. 아라우 시절의 졸업장에는 실제로 물리학 6점, 수학 6점으로 표시되어 있었다. 다만 스위스에서 점수 표기 방식은 독일과 정반대다. 스위스에서 6은 ‘수‘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아인슈타인의 원래 목표는 수학과 물리학 교사 학위를 받는 것이었는데, 그보다 앞서 상대성이론을 고안하게 된다. p316~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