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 기미를 계속 느끼긴 했지만 <두 남자의 철학 수다> 89회 장 보드리야르 [이 방송을 절대 듣지 마시오] 편에서는 메뚝 씨의 과학에 대한 혐오와 인식의 편협함이 노골적으로 드러나 안타까웠다. 그러면서 보드리야르가 과학과 기술에 경도되었다고 비꼬다니;;;
‘감각은 몸으로 느끼는 거지 뇌가 느끼는 게 아니다‘란 말은 뇌과학을 조금만 공부해봐도, 유명한 올리버 색스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만 읽어봐도 할 수 없다. 뇌에 이상이 생기면 엉뚱하게 감각한다거나 감각 자체를 못 한다는 걸 전혀 모르는 소리.
‘자율 주행 자동차가 사고 확률 낮아도 불안 땜에 절대 시행되기 어렵다‘는 소리도 정말 뭘 모르는 소리. 그러면서 자기는 탈 거라고 하는 소린 인지부조화 같기만. 기술이 안정화되고 체제로 도입할 여건이 안 되기 때문이지 일단 시작되면 확산은 순식간이다. 심리 장벽 문제로 보는 건 아주 단순한 생각이다. 자동 도어록이 취약한 점이 분명 있지만 열쇠를 고집하는 사람이 몇이나 있겠나. 이미 설치된 상태라면? 쓸모와 욕망은 우리의 불안을 늘 압도해왔다. 이런 걸 말하던 보드리야르 방송하면서 이렇게 따로 놀면 어쩌나. 요즘 팟캐스트 방송 인지도 높아져서 너무 자신감 폭발하시는 건 아닌가.
철학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건 알겠고 나도 철학을 아낀다. 그런데 철학 신봉자들이 대개 저렇게 말하고 다른 분야 깔보는 행태는 철학 공부하면 생기는 병인가 싶을 때 많다. 물론 다른 분야도 마찬가지. 다들 자기가 추종하는 지식과 앎의 신봉자들.
나는 학문에 나눔이 있다는 것 자체가 불만이다. 그것들의 통합이 진정 학문의 취지 아닌가. 어려워서 문제지.
그나저나 장 보드리야르 <무관심의 절정>과 니카자와 신이치 <대칭성의 인류학>을 주문한 상태다. 요즘 내 심정이 절절히 묻어나는 제목이다. 이런 제목으로 메뚝 씨 같은 저런 소리 하고 계시면 저 맘 아플 겁니다.
<대칭성의 인류학> 리뷰엔 이미 사이비란 소리 난무;
<무관심의 절정>에 리뷰가 하나도 없는 거 보고 놀랐다. 번역이 어쩐다 소리조차 없이 철저한 무관심 상태ㅎ; 좋아 좋아! 이런 책이면 난 더 읽고 싶지!
보드리야르가 왜 <유혹에 대하여>를 썼는지 이제 좀 알 것 같다. 허무의 끝이 향하는 강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