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다가 먼지 때문에 콜록거렸다. 매일 걸레질을 하는데도! 이놈의 먼지! 먼지! 먼지! 미세먼지든 쁘띠먼지든 먼지는 다 싫어! 일어나자마자 진공청소기를 신나게 돌렸다. 청소를 좀 더 쉽게 해결할 수 없을까. 고민만 하다가 언제나 그렇듯 책을 집었다. 고민만 하다 끝나지 않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아래 밑줄긋기는 초반 30페이지에서 발췌한 내용이다. 이쯤 되면 추천은 물론이고 나도 이 책을 사야 하나 고민된다. 나는 왜 이렇게 재밌고 좋은 책을 잘 고르는가!(니체 <즐거운 학문> 패러디) 잘난 체 죄송ㅎ; 그래봐야 내가 쓴 책도 아니고ㅎ;;
경제를 주제로 한 어제 5차 대선토론에서 4차 산업혁명이 또 거론되었는데, 이상하게 이 얘긴 하는 사람들만 한다ㅎ 홍 후보와 유 후보는 4차 산업혁명 얘길 꺼내지 않는다. 홍 후보의 ‘강성 노조‘ 운운은 사고의 구태의연함을 보여 준다. 심 후보는 그들의 유연하지 못한 사고방식을 콕 집어 지적했다. 20여 년간 시민단체에서 재벌 개혁 운동을 주도하다 최근 더불어민주당 대선 캠프에 합류한 김상조 경제학자는 <안철수의 생각> 속 경제론은 거의 김상조 자신의 생각이며 지금 안철수는 5년 전 안철수가 아니라고 인터뷰에서 말했다. 내가 김상조 한성대 교수를 눈여겨보게 된 건 손석희 씨가 JTBC 보도국으로 오기 전 13년간 진행했던 M 본부 라디오 아침방송 <시선집중>에 그가 패널로 출연했을 때였다. 괜찮은 사람은 괜찮은 사람을 쓸 줄 알며 끌어들인다. 요즘 더불어민주당을 보며 그런 생각을 자주 한다. 박근혜 정부의 틀을 만드는데 크게 일조한 유 후보가 과연 그런 사람이었을까.
아무튼 4차 산업혁명에 대해 온갖 걱정과 말들이 떠도는데, 이 책은 그런 시대를 맞는 우리의 자세를 점검하게 만든다. 발명과 혁신은 무엇인가.
요즘 내 고민은 멋진 전자 스케치북이라 할 수 있는 아이패드 프로와 아이 펜슬!... 질러라, 질러라, 질러라.... 중얼중얼)))
* 밑줄긋기(p 1 ~ 30)
포스트잇 메모지를 처음 고안한 아트 프라이Art Fry는 그 나름의 방식으로 발명과 혁신을 구분했다.
프라이에 따르면, 발명은 생각을 사물로 옮기는 작업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프라이는 발명에는 대개 아이디어를 검증하고 그 설계안이 실제로 구동되는지 실연해 보기 위한 프로토타입prototype을 만드는 과정이 포함된다고 지적한다.
혁신은 그 이후에 일어나는 일이다. 프라이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사업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장애물과 문제점을 해결해 나가는 작업˝이 바로 혁신이라고 설명했다.
니콜라 테슬라Nikola tesla는 ˝나는 어떤 생각이 떠오르면 머릿속에서 즉시 제작을 시작한다. 상상 속에서 그 구조를 바꾸거나 개량해 보기도 하고, 한 번 작동을 시켜 보기도 한다˝고 썼다. 그는 우리 모두가 지니고 있지만 진정한 활용법을 아는 사람은 드문 정신적 사고 과정을 이야기하고 있었던 것이다.
세계에서 1인당 특허 취득 수가 가장 많은 도시가 어디인지 알아보는 것은 흥미로운 일이지만(네덜란드 에인트호벤이 종종 순위의 최상단에 오른다) ..... 어쨌거나 네덜란드행 비행기를 타고 가서 에인트호벤의 그 매혹적인 수로를 따라 거닌다 한들 갑자기 천재성을 얻게 될 가능성은 희박할 것이다.
1870년대에 토머스 에디슨은 ˝아이디어 공장˝을 세운 뒤, 그 안에 공학자, 기계공, 화학자들을 모아놓고 그들의 어깨너머로 연구 진행을 감독했다. 이 같은 중앙 집권적인 원스톱 발명 방식은 20세기에 인기를 끌었지만, 이제는 에디슨의 백열전구처럼 사양길로 접어들고 있는 신세다. 이미 많은 사람들이 적어도 어떤 의미에서는 스스로 발명가라 자처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AgalmA) 누구나 상당한 양의 책을 읽고 내공이 쌓이면 책에 대해 나도 서평가~ 할 수 있듯이.
1970년대 한층 소형화된 배터리와 트랜지스터가 등장하자, 쿠퍼는 모토롤라에서 함께 근무했던 동료들과 함께 어설프나마 최초의 휴대전화를 조립해 냈다....... 기술의 실현 가능성을 쿠퍼가 입증해 보인 뒤에도, 모토롤라가 최초의 상용 휴대전화를 제품으로 출시하기까지는 10년을 더 기다려야 했다.
쿠퍼가 들려준 이야기는 소위 ‘유레카의 순간‘과는 정반대되는 일화였다. 그는 불가능한 것을 꿈꾸는 것으로 출발해, 마치 영화감독이나 소설가처럼 자신의 상상력을 동원해 미래로 시간 여행을 했다. 실제로 많은 기술이 공상과학 소설의 줄거리처럼 시작된다. 발명가들은 이 밖에도 여러 가지 경로로 택해 자신의 ˝불가능˝한 아이디어가 실제로는 불가피한 미래임을 입증해 보인다.
필요는 발명의 어머니라는 말이 있지만, 분명 옳은 말임에도 이 격언은 허탈해질 만큼 모호한 것이 사실이다. 대체 어떤 종류의 필요가 마침내 감추어진 문제의 윤곽을 드러내 주는 것일까? 어째서 어떤 좌절은 굉장한 아이디어로 이어지는 반면, 대부분은 그러지 못할까?
1970년대에 경제학자 에릭 폰 히펠은 아직 상용화된 해결책이 없는 문제로 고심하는 이런 사람들을 ‘선도 사용자Lead users‘라 이름 붙였다. 선도 사용자는 직업이나 취미 때문에 특별한 종류의 반복과 권태, 위험에 노출된다....... 1982년 카네기멜론 대학교 컴퓨터공학과의 한 교수는 상호 공격이 난무하는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의 문제점을 일찌감치 깨닫고, 온라인에서의 흥분을 가라앉히고자 웃는 표정의 이모티콘[:-)]을 최초로 고안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