ㅡ˝기분 나쁘게 생각하지 말아요˝는 자신이 주도권을 잡겠다는 뜻이다.
ㅡ˝단어는, 나를 보여주는 나의 <광고판>이다˝
ㅡ˝권력이 많은 사람들은 명사를 더 많이 쓸까, 동사를 더 많이 쓸까? - 권력과 지위가 높은 사람들은 명사 그룹에 속하는 단어들을 더 많이 사용하고 권력과 지위가 낮은 사람들은 대명사와 동사에 훨씬 더 많이 의존한다.˝
뜨끔 뜨끔.... 어쭙잖은 점집 가서 복채 내느니 이 책을 사서 보는 게 더 나을지도. 미래는 몰라도 당장에 대한 충고는 꽤 될 테니까.
글의 내용보다 상대의 단어 사용만 봐도 상당한 분석이 된다. 자신에 대한 분석 도구로 사용한다면 더 좋겠지.
리뷰로 쓸 때까지 좀 참을 수 없니? 그렇다. 나는 마시멜로 실험에서 많은 인내심을 보여주는 성공형 인간은 아닌 거다. 흥흥. ˝나˝라는 단어를 아주 많이 써서 지위가 아주 낮다거나 우울증이 심하다 등을 어필할 수도 있겠지. 자기 희화는 상대에게 공격적이지 않으니까. 대선 토론에서 듣기 싫은 표현 중 하나는 ˝우리 ㅇㅇㅇ 후보님께서는....˝의 ˝우리˝. 상대에 대한 우대보다 위선적이라는 느낌이 들어 거북하다. 쓰는 사람에 따라 뉘앙스가 조금 다르기는 하지만. 이 책에서는 "우리"라는 단어를 정치인이 사용할 경우 차갑고 딱딱하며 감정적으로 멀게 느껴지게 하므로 가급적 쓰지 않는 것이 좋다고 한다. "우리"는 다른 사람에게 가까이 다가가는 수단이기도 하지만 말하는 사람이 책임을 벗어나기 위해 쓰는 단어이기도 하다. ˝우리 ㅇㅇㅇ 후보님, 정말 실망입니다.˝ 이런 술어로 이어질 때는 가관이다. 뭘 하겠다고 나섰는데 말을 안 할 수는 없고 죽을 맛이겠지. 언어 능력이 하루아침에 갖출 수 있는 게 아니니까. ˝농담이었습니다˝ 등으로 무사히 넘어갈 수 있다는 생각은 착각. 시간은 바로 다음 문을 열고 그는 자신의 밀고자이자 폭로자가 된다. 말에는 평소의 모든 습관과 생각과 편견과 심리 상태가 바로미터로 담겨 있다. 바깥에선 방심하지 말 것. 그래서 사회생활은 참 피곤한 것. 입은 패션 스타일처럼 꾸미기 어렵다. 글을 아무리 잘 써도 막상 만나면 실망 대방출 하는 이들을 자주 보았다. 우리는 상대의 표정, 언어 사용 등에서 바퀴벌레의 탈출 반응 속도 14ms(밀리초) 만큼 빠르게 지각한다. 흠, 생각할 시간을 벌기 위해 메모판을 들고 다녀야 할까.
아, 오늘도 대선토론을 보겠구나. 우리는 하루에 1만 6천 개의 단어를 사용한다는데, ˝니가 그랬지!˝ 하는 동네 놀이터 싸움이나 ˝내가 다 알아봤거든˝하는 가맥집 13번 테이블 풍경 같은 거 말고 건실한 토론 좀 부탁한다! 원탁에 둘러앉아 말보다 표정 관리가 더 힘들지도. 머릿속이 하얗게 된 걸 상대가 눈치채면 곤란하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