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규원 시전집 2
오규원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랑의 감옥》(1991), 《길, 골목, 호텔 그리고 강물 소리》(1995), 《토마토는 붉다 아니 달콤하다》(1999), 동시집 《나무 속의 자동차》(1995)로 묶여 있다. 시 외엔 편집 의도라든지 해설 등 어떤 부연 자료도 없는 부실한 전집 구성이다. 한국 시단의 큰 시인이라 섣불리 종합평을 넣기 어려워서 였을 수도 있지만 이건 좀.
시집 4권을 다 구비하지 못한 사람에게는 가격면에서 구매하기 괜찮은 시집이겠으나 시 해설 등으로 시의 이해를 원하는 독자들은 각각의 시집을 사는 것을 권한다. 오규원《새와 나무와 새똥 그리고 돌멩이》(2005) 시집에서는 정과리 평론가가 무려 58페이지에 달하는 해설을 썼다-_-;
전집 구성이 한 시인의 발자취를 따라오며 발전상을 보는 의미도 있겠고 그 정서에 공감하는 독자에겐 큰 문제가 아니겠지만 나는 좀 짚고 싶은 게 있다.
80~90년대 한국 시집에서 흔히 느끼게 되는 단점들을 이 시집에서도 역시 발견한다. 그 시대 특유의 자의식이라든지 '월남치마, 비디오 가게, 롯데 목캔디, 둘코락스, 옥경이...' 같은 시대성 묻어나는 단어들과 표현들이 그때를 넘어 지금까지 유효하게 작동하는가 하면 내겐 그것들이 낡아 보인다. 당시의 핍진성은 담았을지 몰라도 현대성 혹은 보편성으로 살아 숨 쉬는가에 대해서 만족스럽지 못하다고 말하고 싶다. 이런 단점 때문에 요즘은 시든 소설이든 의도가 아니라면 특정한 시대나 경향을 드러내는 고유명사나 명칭을 잘 쓰지 않는다. 표현이 좀 객쩍은데 베스트셀러 시인;인 기형도 시만 봐도 그걸 최대한 배제한 걸 볼 수 있다. 기형도 시의 인기 비결 중 하나다.
또 오규원 시인의 다른 단점으로 '여자', '아랫도리' 같은 성적 표현과 연결도 전형적인 남성 시각에서 크게 벗어나 있지 않다. 최근의 성폭력 사건 아니더라도 '대상화된 여성'은 요즘 남성 시인들 시에서도 여전하다.
오규원 시인은 도시성으로 시를 쓸 때보다 자연 속에서의 관찰이 더 돋보이는 시인이다. 자연에 대한 흔한 관조가 아니라 회화적인 구조와 언어 속에서 의미를 톺아보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오규원 시인의 독특한 인식적 세계관이 극명히 드러난다.
이를테면 이런 표현.
여자의 치마 속에서 무슨 일인지
공기가 몇 번 몸을 부풀린다
이 길에서는 소리가
고요의 한구석이다
길에 고인 물속에서 새 그림자 하나
다시 길 위로 급히 오른다
새는 어느 허공에 묻혔는지 보이지 않고
- <처음 혹은 되풀이> 중
바람이 불어도 절은 뒤에 있는
하늘에 붙어
흔들리지 않는다
- <절과 나무> 중
비가 온다, 대문은 바깥에서 젖고 울타리는 위서부터 젖고 벽은 아래서부터 젖는다
비가 온다, 나무는 잎이 먼저 젖고 새는 발이 먼저 젖고 빗줄기가 가득해도 허공은 젖지 않는다
..................라고 말하는 시도 젖지 않는다
- <비> 전문
사루비아를 땅에 심었다 꼿꼿하게
선 그 위에 둥근 해가 달라붙었다
사루비아 옆은 여전히 비어 있다
모두 길이다
- <사루비아와 길> 전문
대개 시를 감상적으로 음미하거나 해석하기 쉬운데, 오규원 시인의 눈은 카메라만큼 즉각적이고 냉철하다. 롤랑 바르트가 말한 ‘상처란 무시무시한 내면성이다‘를 빗대어 보면, 인식이 뼈대로 고스란히 드러나는 오규원 시인의 시는 무시무시한 세계상이라고 할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