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은 인생의 박물관
Depeche Mode "I Feel You" (http://youtu.be/iTKJ_itifQg ) 이 노래 오프닝에 나오는 자동차 브레이크 소리를 BGM으로 들으며 시작~
저도 오르한 파묵이 자주 쓰는 "교통사고"가 어떤 의미일까 곰곰이 생각해 본 적 있어요. 터키 현대화 시기의 상징처럼도 읽히고(<새로운 인생>에서 그걸 잘 말해 주고 있었죠. 고속버스를 그렇게 쓰다니...정말 신선했죠) 오르한 파묵이 세계를 만나면서 새로운 세계로 가며 새로운 해석을 하게 되는 하나의 기점을 소재화 한 게 아닌가 싶었죠. 하루키 작품에 지속적으로 나오는 모티프 "우물, 실종, 지하세계" 같이 말예요. 파묵의 <새로운 인생>은 그래서 특히 하루키 생각을 많이 나게 했어요.
프루스트 리뷰 제목을 "감각의 박물관"이라 짓고 싶었는데, 이미 다이앤 애커먼 책 제목도 있고 여기저기 많이들 쓰니 흐음, 프루스트를 빛내줄 단 하나의 제목이 아니라 난감...흐엉. 그렇게 프루스트 이론들은 꽃을 피웠을 테고.
리처드 도킨스가 <지상 최대의 쇼> 책 제목을 원래 <그저 하나의 이론>으로 하려고 했다가 케니스 밀러가 이미 그 제목을 써 버려서 "그저 하나의 이론"을 <지상 최대의 쇼> 1장 제목으로 쓴 것처럼(<지상 최대의 쇼>가 백 번 낫지!!! ㅎㅎ) 더 멋진 제목을 찾을 수 있으려나요😋
오르한 파묵이 글로 쓴 세밀화를 말씀하시니 프로스트의 이 세밀화는 어떠신지요^^
*
일본사람들의 놀이에서처럼 물을 가득 담은 도자기 그릇에 작은 종잇조각들을 적시면, 그때까지 형체가 없던 종이들이 물속에 잠기자마자 곧 펴지고 뒤틀리고 채색되고 구별되면서 꽃이 되고, 집이 되고, 단단하고 알아볼 수 있는 사람이 되는 것처럼, 이제 우리 집 정원의 모든 꽃들과 스완 씨 정원의 꽃들이, 비본 냇가의 수련과 선량한 마을사람들이, 그들의 작은 집들과 성당이, 온 콩브레와 근방이, 마을과 정원이, 이 모든 것이 형태와 견고함을 갖추며 내 찻잔에서 솟아 나왔다.
ㅡ프루스트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1>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1>에서 제가 가장 좋아하는 묘사 부분입니다. 단 몇 문장으로 요즘의 현란한 그래픽을 능가하는 표현력👍🏻 종잇장처럼 접히고 일어나는 꿈 속 공간을 멋지게 재현한 영화<인셉션>이 스쳐 가기도 하죠^^?
이 부분은 프루스트를 논할 때 흔히 말하는 "의식의 흐름"이라 말하지 않고, 저는 "의식의 꽃"이라고 말하렵니다.
*
물고기자리님 <모든 소설은 인생의 박물관> 페이퍼글에 대한 먼댓글입니다.
http://blog.aladin.co.kr/trackback/787339199/8086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