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는 밤늦도록 집안-거의 책-정리를 했고, 몇 권의 책과 이별 예정이거나 이별했고, 서재에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카테고리를 만들었다. 놓고 있고 떨어져 있다는 생각에 불편했던 마음이 순식간에, 늘 함께 한다는 마음으로 환해졌다. 거울이, 겨울이 평생 나와 함께 하듯 어쩌면 그럴 지도 모르지.
어떤 일은 완수보다 시작(始作)이 조급함과 불안을 더 달래준다. 책을 읽는 일은 의무감이 아니라 떨림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괴로움과 두려움보다 떨림이 더 많은 일, 독서. 나는 많은 책들 속에서 그런 연애의 떨림을 바라는 독서 난봉꾼ㅎ;;
묵은 포장을 풀고 작년에 신던 털신을 꺼내 신으며 발끝으로 전해지는 올겨울 온기를 음미했다. 날카롭고 낯선 새 신이 아니어서 편안함도 같이 전해졌다.
새해란 새 시작의 의미보다 뒤를 돌아보며 한때 혹은 계속 원해 왔던 과거를 다시 불러오려는 제의(祭儀)이자 구호(救護)의 재정립인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 프루스트가 ˝잃어버렸던 시간을 풍요롭고 창조적인 시간으로 바꾸˝(민음사 판, p15)려 한 이 책의 주제처럼 말이다.
민음사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1>을 읽으며, 국일 미디어에서도 눈길이 멈췄던 대목에서 멈췄다. 멈추고 나서 그 사실을 떠올렸다는 게 더 정확하다. 언제나 내 눈이 밑줄이다. 번역이 천차만별이어도 이 문장이 담고 있는 어떤 진실은 원석처럼 거기 있었다. 누군가 알아보고 깎고 다듬기 전까지 원석은 빛나지 않는다. 보석은 지고한 손길에서 탄생하고, 우리는 영문도 모른 채 기쁘게 받는다. 그런 의미에서 책은 모두가 나눠 가질 수 있는 행복이며, 인간의 발명 중 가장 멋진 일 중 하나다.
*
잠든 사람은 자기 주위에 시간의 실타래를, 세월과 우주의 질서를 둥글게 감고 있다. 잠에서 깨어나면서 본능적으로 그 사실을 생각해 내기 때문에 자신이 현재 위치한 지구의 지점과, 잠에서 깨어날 때까지 흘러간 시간을 금방 읽을 수 있다. 그러나 그 순서는 뒤섞일 수 있으며, 끊어질 수도 있다. (민음사, p19)
**
잠든 인간은 시간의 실을, 세월과 삼라만상의 질서를 자기 몸 둘레에 동그라미처럼 감는다. 깨어나자 본능적으로 그것들을 찾아, 거기서 자기가 차지하고 있는 지점과, 깨어날 때까지 흘러간 때를 삽시간에 읽어 내는데, 종종 그것들의 열(列)은 서로 얽히고 끊어지고 한다. (국일 미디어, p10)
현실적으로든(읽다가 자게 만든다) 소설적으로든(나도 불면! 나도 몽상! 공감하게 만든다) 모든 불면자의 친구, 프루스트. 그가 회고하는 방들, 밤들, 사람들.
잃어버린 창조의 시간을 꿈꾸며 잠 못 드는 이가 마술사가 되는 겨울밤들을 상상해본다.
이 순간 나는 조금 행복하다. 아주 어둡고 추운 밤에도 어떤 꽃은 피어 있다. 내 한밤의 꿈처럼.
ㅡAgalma
![](http://image.aladin.co.kr/product/1960/90/cover150/8937485613_1.jpg)
![](http://image.aladin.co.kr/product/12/22/cover150/8974251698_2.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1217/pimg_7598491531326620.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