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월 서재 책장
컨셉은 GREEN. 나는 왜 이런 걸 즐거워 하는가. 사람은 다양한 걸로 울고 웃을 수 있다. 나는 이런 걸 하는 나를 보며 울고 웃는다.

# 그런데 놓치다
곡성행 고속버스를 타지 못했다. 센트럴터미널에서 오후 3시 차가 막차였다. 빅데이타 시대에 차가 없어 못 가다니 이 무슨-_-...기차는 혹시 있었으려나. 아무튼 나는 빈둥빈둥 무엇을 기다렸다. 여행은 떠나기 전부터 이렇게 겪는 것.
친구는 먼저 갔다. 우리는 늘 기다릴 수 없을 정도로 떠나고 싶다. 누군가는 실제로 그렇게 한다. 누군가는 그들이 가지고 온 이야기를 부러워하고 희망하며 듣는다. 그래서 책은 떠난 자들이 보내 온 편지이자 보고서이다.
바람 속에, 적요 속에 하루종일 걷다가 지쳐 잠들었던 친구가 한밤중에 깨어나 전화를 하기도 했다. 같은 한밤인데도 전화 너머에서 전해지는 그곳 적요는 이곳보다 더 잠잠했다. 내 착각이겠지? 여행지에서 도대체 우리는 뭘 경험하는 걸까.
내가 늦잠 자서 못 내려갔다고 하자 친구는 귀신집 같은 독채에서 또 홀로 자야 하냐며 투덜댔다. 어떤 여행자도 여기 없다고.
그러게...괴로우면서도 이 따뜻한 집을 벗어나는 건 왜 이리 어려운가. 이유인 ˝따뜻한˝을 붙였으니 모순 형용인가.
전혀 GREEN하지 않은 일상.
오늘밤은 친구가 전화 하지 않았다.
# 책을 기다렸어
내일은 구례로 떠나기로 했다. 가지고 갈 책으로 <종의 기원>을 주문했는데 너무 늦게 도착했고 너무 무겁다....)))
책등에 다윈이 쉿! 하고 있는 포즈는 감각적이라 그건 맘에 든다. 겉표지를 벗기니 더욱 종의 기원 같다.


옥스퍼드 컬러판!이라는 홍보문구가 무색했다. 본문과 어우러진 삽화를 기대했는데, 그 컬러판이라는 것이 학습지 만화 스타일로 딸랑 30페이지인 걸 보고 동서문화사, 이게 뭡니까! 속으로 중얼중얼...<종의 기원> 전후 맥락을 살피는 이점은 있겠으나 내가 바란 건 이게 아닌데....



<그래픽 종의 기원>이 랜덤하우스에서 나온 지 얼마 되지 않았는데 품절인 게 아쉽다. 사람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책이 이리 빨리 사라지다니...이참에 외국 원서로 하나 사 볼까. 셜록홈즈 에코백도 받을 수 있고ㅎ;;


그래픽 평전 <찰스 다윈>도 궁금하다. 이쯤 되면 그림을 보겠다는 것인지 책을 보겠다는 것인지...다 보면 좋지, 뭘)))
We are the world, we are the children
We are the ones who make a brighter day~
아무려나 난 낼부터 서울에 없을 것이다. 꼭 없어야 한다. 다윈이 갈라파고스에 도착해 생태 탐구하는 거에 비할 바 아니겠지만, <종의 기원>을 들고 구례 숲을 거닐 수 있길 매우 바란다. eBook을 샀어야...그러나 <종의 기원>은 괜찮은 eBook이 없다.
이렇게 자기 짐의 무게를 알고 감당하며 우리는 여행을 시작한다. 차에서는 잠에 빠지고 도착해서는 온종일 풍경에 빠져 있어도 책은 늘 나와 함께 였다. 거울을 볼 때 확인하는 나였고, 나와 함께 온 내 그림자였다.
ㅡAgalma
˝여행을 한다는 것은 오만한 자아를 인간이라는 고통 받는 편력 군대 속으로 던져 담금질하여 부드럽게 만드는 것이다.˝
ㅡ 니코스 카잔차키스 <스페인 여행> (알라딘 무료 eBook [영원과 하루] : 알라딘 여행 에세이 선집)
˝어떤 땅과 맺고 있는 관계, 몇몇 사람들에 대하여 사랑을 느낀다는 것, 가슴이 제게 맞는 조화를 찾을 수 있는 어떤 장소가 있음을 안다는 것, 한 사람이 얼마 안 되는 일생에 있어서 이만한 것이면 벌써 많은 확신이라 할 수 있다. 아마 그것으로 충분하지는 못하리라. 그러나 어떤 순간에는 모든 것이 이 영혼의 고향을 동경한다. `그렇다. 우리가 돌아가야 할 곳은 거기다.` 플로티노스가 염원했던 그 일체감을 이 땅에서 다시 발견하게 되는 것이 무엇 때문에 이상하겠는가? ˝
ㅡ 알베르 까뮈 <알제의 여름-자크 외르공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