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쁜 장르의 B급 문화 - 길들여지길 거부하는 자들을 위한 불온성 ㅣ 마니에르 드 부아 Maniere de voir 시리즈 2
슬라보예 지젝 외 지음 /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 2015년 7월
평점 :
§
나 때문인지 세상 때문인지 대체로 다 문제로 거론되지만, 내가 좋아하는 문화, 장르는 대부분 주류 문화가 아닌 B급 문화였다. 이 책 제목을 보는 순간, 이건 꼭 읽어야 해! 했다. 내 원한을 풀어다오~ 왜 공포나 호러는 B급 장르로 분류하는가. 밥은 먹지만 화장실은 안 가는 것 마냥. 평생 낯선 사람은 안 만나는 사람인 양.
이참에 제목 때문에 읽게 되는 책 리스트를 만들어볼까 하기도 했다. 헤르타 뮐러 <우리는 이 세상의 거대한 꿩이다> 같은 제목, 정말 멋지잖은가( <숨그네> 만큼 숨 조이듯하지 않아 약간 아쉬웠다). 샐린저 <호밀밭의 파수꾼>은 제목과 내용, 명성이 발전기처럼 맞물려 돌아가고 있는 양상?
장강명 <한국이 싫어서>는 최근 한국에서 가장 히트한 제목 아닐까 싶다. 곧 10쇄 돌파한다고 들었다.
좋은 제목이라기 보다 직관적으로 주제를 강조한 제목 <나쁜 장르의 B급 문화> 정식 리뷰와 페이퍼 중 어떤 식으로 쓸지 가닥이 잡히지 않아 고심 중이다. 이 글을 수정하든 차후 2차로 또 올리든 할 생각이다.
주말에 읽거나 소개하기 좋은 책이란 생각이 들어 심심풀이 삼아 이 글을 썼다.... 언제나 매사 심각할 수는 없잖은가-_-)
책은 <르몽드 디플로마티크>에 기고된 칼럼 편집 판이라 해야 할 텐데, 각각의 질과 양 편차가 들쭉날쭉해서 별 하나를 뺐다. 하지만 대중문화에 대해 심도 있으면서 쉽고 다양한 관점을 바라던 독자에게는 좋은 길잡이가 돼 줄 것이다. 흔히 문화에 대해 말할 때 이데올로기와 패러다임 등이 성격 나쁜 문지기처럼 서 있는 어렵고 힘든 책이 아니다(그 특성상 아주 없다고는 할 수 없다). 잡지를 읽는 듯한 편집이라 고성이 오가고 자아비판을 요구하는 비평글 같지 않아 좋다. 책 제목이 내포한 키치적 재미와 지식이 가득하다. 평소 대중문화에 대해 관심을 가져왔고 어느 정도 안다고 생각한 나도 몰랐던 혹은 잘못 알고 있던 부분을 점검할 수 있었다.
글렌 굴드는 모차르트를 싫어했는데, 모차르트는 청소년기보다 더 무능한 작곡을 하다 죽은 거라고 말하는 인터뷰는 거의 개그 같다ㅎㅎ (3부-길들여지지 않은 음악에서 만날 수 있다.)
대중문화 지식을 얕지 않으면서 넓고 빠르게 갖추고 싶다면 이 책을 참고해 보라. 5~6시간이면 수료 가능.
<르몽드 디플로마크>는 한국판 웹페이지도 있다. 신문처럼 매일 훑어봐도 좋을 것이다.
▒ www.ilemonde.com/


GTA(자동차 대탈취 게임)는 타자와의 동일시가 죄의식으로 인한 고통이 아닌 쾌락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일깨워준다. 대개 진보주의 정치는 추상적인 타자의 이름으로, 추상적인 타자의 이익을 위해 전개된다. 그렇기 때문에 진보주의자는 진보 정치가 다른 누군가의 운명을 개선하기 위해 스스로 감수하는 희생 정도로 여긴다(반대로 진보정치의 수혜자는 진보정치를 다른 누군가에 의해 강요되는 무엇으로 생각한다). 본래 타자는 이질적이며 불가해한 존재로, 동정이나 무시의 태도로 항상 일정한 거리를 두고 대하는 대상이다. 역할수행게임은 타자와 나 사이의 간극을 뛰어넘으려는 대중의 욕망, 타자를 `다른 누군가`가 아닌 문자 그대로 나와 동일시할 수 있는 사람으로 만들려는 욕망의 표현이다. -p84
1부-스크린 위의 환상 스티브 던컨(뉴욕대 갤러틴 스쿨의 미디어 문화 역사정치학 부교수) <당신은 진보인가? 그럼 비디오게임을 즐겨라>
에르제가 창조해 낸 용감한 어린이 탐방기자 탱탱은 전 세계에서 1억 5천만 부가 팔리며 정상에 올랐다. 드골장군은 앙드레 말로에게 "세계에서 나의 유일한 진짜 경쟁자는 탱탱"(앙드레 말로, <우리가 쓰러트리는 떡갈나무>)이라고 털어놓았을 정도였다. -p121
2부-심심풀이용 대중문화 필립 비들리에(역사가) <뉴욕,거품의 도시>
<레 미제라블>에서 펼쳐지고 있는 것, 곧 이 작품을 하나의 대표적 유형으로 만든 것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위대한 선구자라 할 수 있는 <파리의 미스터리>(1842. 6. 19~1843. 10. 15까지 <르 주르날 드 데바>지에 연재된 우젠느 수(Eugene Sue)의 장편소설)가 있다. 연재소설이라는 하나의 장르를 개척했을 뿐 아니라 `사회문제`라는 하나의 주제를 설정한 작품이기 때문이다. -p131
2부-심심풀이용 대중문화 에블린 피에예(<르몽드 디플로마티크> 기자) <대중소설이 영속성을 띠는 이유>
|